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620)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92. 가상현실 기술 92. 가상현실 기술 1) 가상현실 모델링 언어(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 VRML) 가상현실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요소는 3차원의 공간성, 실시간의 상호작용성, 몰입 등 이다. 3차원의 공간성이란 사용자가 실재하는 물리적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상호작용 과 최대한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만들어 내기 위해 현실 공간에서의 물 리적 활동 및 명령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그것을 다시 3차원의 유사 공간으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의미한다. 3차원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그것을 실시 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컴퓨터와 키보드, 조이스틱, 마우스, 음성 탐지기, 데이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을 통해 사용자는 가상현실에 더욱 몰입할 수 있다. 가상현..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91. 가상현실의 개요와 역사 91. 가상현실의 개요와 역사 가. 개 요 가상현실의 기본 개념은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 보면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등의 시뮬레이션, 세컨드 라이프 등의 게임과 같은 시각매체 역시 가상현실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상현실이라 말하 면 단순히 가상의 공간을 구현하는 것을 넘어서서, 사용자의 오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 여 실제에 근접한 공간적, 시간적인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현실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가하는 등 가상현실 속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가상현실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경험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일방적으로 구현된 시뮬 레이션과..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90. 영상 디자인 90. 영상 디자인 가. 개요 최초의 영상의 개념이 발명한 이래 영상은 TV, 인터넷, 비디오 등 수많은 매체에 의해 무수히 생산되고 소비된다. 1) 영상의 개념 영상이란 영화, TV, 비디오, 광고, 사진 등의 시각 기호로써 렌즈라는 매체를 통해 형 성된 이미지를 뜻한다. 영상을 대중 매체를 통해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영상 커뮤 니케이션이라 하고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문화 현상을 영상 문화라고 한다. 영화, 방 송, 광고, 사진,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과 관련된 산업을 영상 산업이라고 한다. 영상은 전통적인 표현 기호인 언어나 문자, 그림과 달리 피사체를 시각적으로 재현, 복 제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표현 수단으로 평가된다. 다시 말해 언 어는 대상을 개념화시키지만 영상은..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9. 게임 기획 및 프로세스 89. 게임 기획 및 프로세스  게임 기획 게임 기획과정은 게임 개발에 시초가 되는 작업이면서도 결과적으로 게임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게임은 기획단계에서 시나리오 등 게임 내용과 게임 진행방법이 결정되기 때 문에 기획서의 완성이 바로 게임을 절반 이상 완성한 것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중요하 다. 아이디어 창출까지의 과정은 게임 기획과는 별도의 단계로 구별할 수도 있다. 게임 기획은 문서로 옮겨 놓은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조직하는 과정을 말한다고 하여 아이디 어 창출과 구별하는 이도 있다. 그 다음 게임에 대한 스토리 라인을 작성해야 하며 규칙을 설정한다. 이렇게 되면 게임 에 대한 윤곽이 드러난다. 게임 기획과정은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작품의 전 체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작품내용 및 구성, 일러스트..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8. 게임의 분류 88. 게임의 분류 1) 게임의 분류 방법 게임의 종류는 분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눠어진다.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 기 기인 하드웨어와 게임 구현방법, 게임매체, 게임 제작기술, 게임 목적, 게임 내용, 게임 형식 등의 기준이 지금까지의 분류방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통방식에 따라 분 류하기도 한다. 하지만 게임내용과 형식에 따른 분류방식이 보편적이다.  하드웨어에 따른 분류로서 게임이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는 PC게 임, 전용 게임기기를 TV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비디오게임, 기판을 이용하여 업소에서 사용하는 아케이드 게임 등으로 나누어진다.  게임 구현 방법에 따라 통신을 이용한 통신용 게임(인터넷 게임)과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 등으로 나누어진다.  사용자의 수에..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7. 게임디자인의 정의 87. 게임디자인의 정의 가. 정의 1) 일반적 정의 게임 디자인(game design)은 재미를 표현하기 위해 게임의 규칙과 내용을 설계하는 과정을 지칭하는 말이다. 또한 이미 제작된 게임의 설계 양식이나 설계를 기술한 문서 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어원적으로 보면 게임(Game)이라는 용어는 유러 피언 계통의 ‘Ghem’에서 나왔으며 흥겹다, 놀다의 뜻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 임 디자인이란 게임이 어떠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행위로 플레이어에게 어떤 경험을 줄 것인지 기획하는 것이다.  전통적 의미 컴퓨터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입력과 사칙연산을 통해 연산자를 넣어 어플리케이션을 하는 하나의 레져 상품이다.  상업적 의미 게임을 상품화 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간의 감수..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6. 애니메이션 3 86. 애니메이션 3 마. 셀 방식 이외의 애니메이션 1) 컷 아웃(Cutout)과 콜라주(Collage) 애니메이션 컷 아웃 애니메이션은 종이를 오려 조금씩 움직여 가면서 연속된 동작을 만들어 한 프 레임씩 촬영하는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의 한 종류이다. 러시아의 컷 아웃 애니메이션의 대표적인 작가인 유리 놀슈테인(Yuri Norstein)은 컷 아웃 애니메이션 작가로 활동했 다. 놀슈테인이 콜라주 기법에 기여한 점은 캐릭터의 복잡한 감정을 가장 단순한 재료 를 사용하여 표현한 데 있다. 그가 만든 캐릭터들은 종이가 주재료이며 신체 각 부분을 실 혹은 가는 철사로 연결하여 프레임마다 움직일 수 있다. 제임스 스튜어트 블랙턴(J. Stuart Blackton)은 움직임을 위해 매 프레임마다 작업하 는 것보..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5. 애니메이션 2 85. 애니메이션 2 라. 표현기법에 따른 애니메이션의 분류 애니메이션 제작은 기법과 표현 형식, 조형 소재 등에 의해 다양한 영상을 창조하고 있 다. 1) 셀 애니메이션(Cell Animation) 셀 위에 그린 여러 장의 그림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움직임을 만드는 애니메이션의 한 형태이다. 셀 애니메이션은 작화가가 셀 위에 그린 연속적인 그림을 한 프레임씩 끊어 서 촬영한 후 정상 속도로 재생함으로써 연속적인 움직임을 창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원리는 필름 카메라의 기본 속성을 이용한 것으로 필름 카메라가 포착하는 영상은 사실 정지된 이미지일 뿐 그 자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필름 카메라는 1초 에 24장의 연속적인 정지 영상을 기록하는데 그것이 재생될 때 사람들은 이미지가 움 직이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