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용문화사

(81)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3.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4 83.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4 ■ 현대의 직업 • 산업기술이 발달하면서 생활환경과 의식구조가 변화했고, 신체적 조건과 이미지 변화 • 경제적 생활 수준 향상으로 직업 선택과정 변화 • 직업 선택의 폭을 넓혀 전문인력 배출로 산업 발전에 기여해야 함 ■ 현대 미용산업 • 유동하는 뷰티와 트랜드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회,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미용산업의 소비시장의 요구와 흐름을 파악하여 고객의 기호를 만족시켜야 함 • 신체적 변화가 심리적 변화를 이끌어 내고 그것에 기대하는 변화는 자기만족감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킴 ■ 현대와 미래의 문화 • 100세 시대를 사는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 산업을 적극 개발해야 함 • 곧 도래할 인구 노령화 시대의..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2.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3 82.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3 ■ 개화기 및 근∙현대 복식 2. 여성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두식 • 개화기를 맞이해도 나라가 존속하고 있는 동안엔 궁중양식이 그대로였고, 조선 후기에 예장에 필요했던 '어여머리', '큰머리'도 그대로 존속하고 있었음 • 처녀들은 댕기머리였고, 부녀자들은 기호를 중심으로 이남은 쪽진머리, 서북은 얹은머리를 하였음 • 1907년 최활란이 당시 동경에서 유행하던 '팜프도어'(히사시까미)를 하고 돌아와 학생들 사이에서 유행하였으나 오래가지는 못함 • 1920년대 미장원이 생겼고, 첫 미용사는 오엽주로 일본에서 미용을 배워 화신백화점에서 미장원을 개업함 (2) 예복 • 조선시대 예복으로 왕비의 적의, 활옷, 원삼, 당의와 스란치마, 대란치마 등이 있음 • 개화기를 맞이..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1.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2 81.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2 ■ 개화기 및 근∙현대 문화 2. 사회적 변화 1) 수공업 쇠퇴 • 일본, 청나라에서의 신문물 수입으로 조선의 수공업이 망함 • 영국제 면포인 옥양목이 들어왔는데 기존 무명과 가격차이가 없고 품질이 더 좋아 조선의 수공업이 거의 망하게 됨 2) 상업 쇠퇴 • 개항장의 시전상인이나 보부상들이 이문을 남겼으나 1883년 조약이 추가되어 외국상인들이 전국적으로 장사를 할 수 있게 되어 상업이 쇠퇴함 • 외국상인들이 정세에 어두운 조선인들을 속여 폭리를 취하거나 고리대를 받기도 하여 상업이 쇠퇴함 3) 농촌의 몰락 • 일본 상인들의 쌀을 이용한 장난(입도선매)으로 농민들이 빚더미에 앉게 되었고, 일본의 일방적인 배상금 요구 등의 이유로 농촌이 몰락하게 됨 ■ 개화기 및 근∙..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0.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80.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1. 일반적 특징 •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기존 사회질서 및 풍습이 타파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근대적 사회로 변화되어 감(강화도 조약 ~경술국치 대략 34년) • 1910년 경술국치를 개화기의 끝으로 보는 견해가 많음 1) 초기 개화기 : 1876~1884 2) 개화 중단기 : 1884~1894 3) 갑오개혁기 : 1894~1897 4) 대한제국 시기 : 1897~1910 • 개화기 중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 때를 개혁이라 해서 따로 지정함 1) 갑오개혁 2) 을미개혁 3) 광무개혁 1) 근대적 학문의 유입과 교육의 근대화 • 조선정부는 전문통역관이 필요하여 동문학을 만들었음(통역관 양성소) • 최초 관립학교 : 육영공원 - 보빙사로 미국에 다녀..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9. 조선의 문화 6 79. 조선의 문화 6 ■ 조선 장식문화 1. 일반적 특징 • 조선 중기부터는 가락지와 노리개, 향갑, 향낭, 침낭 등이 있고, 여름철 적삼에 다는 단추도 장신구의 일종임 2. 남성용 장신구 • 상투관 • 망건, 관자, 풍잠 • 살쩍밀이 • 동곳 • 갓끈 • 광다회, 세조대, 각대 • 호패끈 • 선추 • 안경집 3. 여성용 장신구 • 비녀와 뒤꽂이 • 첩지와 떨잠 • 댕기 • 귀걸이 • 지환 • 노리개 • 향갑, 향낭과 주머니 • 장도 • 단추 ■ 조선 복식의 일반적 특징 • 태종부터 연산군 시대까지 견직물과 면직물이 모두 성장 발전하는 시기였고, 왕들은 양잠을 적극 권장했고, 관청 중심으로 사, 라, 능, 단 과 같은 고급견직물 생산에 노력을 기울였음 • 연산군은 통직을 설치하고 옷감생산에 실명제를 도..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8. 조선의 문화 5 78. 조선의 문화 5 ■ 조선 여성 의복 1.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포로 입혀진 장옷 • 초기에는 당옷, 후에는 장옷 또는 장의로 표기하였음 • 짧은 웃옷인 저고리를 단의라고 했고, 상대적으로 긴 웃옷, 즉 긴 겉옷을 말함 • 왕을 비롯하여 신분에 관계없이 남녀 모두 포로 착용함 • 장의는 17세기까지 지속되었고, 18세기 이후 풍속화에서 보면 쓰개류로 변화하였음(이 때를 기준으로 여자 의복으로 한정함) 2) 저고리 • 포에 비해 짧은 상의류를 가리킬 때 쓰는 가장 대표적인 어휘임 • 한삼류, 적삼류, 고의류, 저고리류, 액마기, 당의, 배거리 등으로 크게 구분함 • 크기에 따라 소, 장, 당 등의 접두사를 붙임 • 단저고리, 곁마기, 장저고리(당저고리, 당의 등) • 상원사 문수보살상의 장씨 회장..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7. 조선의 문화 4 77. 조선의 문화 4 ■ 조선 복식 1. 일반적 특징 • 태종부터 연산군 시대까지 견직물과 면직물이 모두 성장·발전하는 시기였음 • 왕들은 양잠을 적극 권장했고, 관청 중심으로 사, 라, 능, 단 과 같은 고급견직물 생산에 노력을 기울임 • 연산군은 통직을 설치하고 옷감생산에 실명제를 도입하여 고급 견직물을 생산하였음 • 장인의 기술 혁신 위해 견습장인을 중국으로 연수를 보냈음 • 세종의 면업장려정책은 생산량과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음 • 면포는 상류층에서 인기가 많았고, 명나라 황제의 칙서를 가지고 온 중국 사신과 수양대군에게 면포로 만든 단령, 답호, 철릭을 하사하였음 • 중종부터 임진왜란때 까지 옷감생산이 수공업에서 민간수공업으로 확산되는 시기였음 • 정부에서 를 반포하여 농민 계몽하고 잠업진흥정책..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6. 조선의 문화 3 76. 조선의 문화 3 ■ 조선 예술가 1. 신윤복 • 화가(175 8 -18 14 ) • ‘조선 3 대 풍속화가’ • 단원 김홍도,오원 장승업과 함께 삼원으로 불림 • 신윤복 집안은 대대로 화공 세습하였고 종증조부,종조부,아버지 모두 도화서 화원이었음 • 양반가의 생활을 주로 그렸고,여성의 생활상과 남녀의 어울리는 모습을 주로 그림 • 풍경을 자주 그렸고,왕을 상징하는 빨간색을 사용하였음 • 혜원전신첩은 풍속화 모음집으로 양반문화와 복식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자료임 2. 김홍도 • (1745-1806) 조선 후기 풍속화가 • 정조시대 문예부흥기의 대표적 화가로 산수화, 풍속화 비중이 크고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 회화를 구축한 화가임 • 주로 어명, 고관의 명과 청탁을 받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