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경미생물학 7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7. 환경미생물학 관련 예상문제 기출문제 총정리

출석수업대체시험(2007) 1. 다음 중 2차 처리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생물학적 처리 ② 유기물 제거 ③ BOD 제거 ④ SS 제거 해설: 4 SS제거는 1차처리에 해당된다. 2. 다음은 생물학적 처리의 원리 중 호기성 공정의 원리이다. 틀린 것은? ①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한다. ② 유기물이 미생물체로 합성되는 비율이 높다. ③ 질소화합물은 NO2- 또는 NO3-로 전환된다. ④ 탄소화합물은 CO2와 CH4로 전환된다. 해설: 4 탄소화합물은 CO2와 H2O로 전환된다. 3. 다음은 활성슬러지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균류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① 중성조건에서 잘 번식한다. ② 균류가 많이 발생하면 슬러지 팽화가 발생한다. ③ 균류는 DO가 풍부한 경우에 잘 번식한다. ④ 균..

환경미생물학 2023.01.24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6. 분자생물학적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법

제6장 분자생물학적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법 6.1 개론 •환경미생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위한 종래의 기술: 현미경 관찰, 배양을 통해 미생물 판별 •현미경 관찰의 한계 - 진핵 및 원핵 미생물은 고등 생물과는 달리 그 형태가 다양하지 않아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형태만으로는 미생물의 종류를 판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름 •배양을 통한 미생물 판별의 한계 - 환경계의 미생물 군집구조를 대변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이유 : 배지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미생물이 다를 수 있고, 배양 가능한 미생물은 전체 미생물의 0.1∼10%에 불가하기 때문) - 시간과 비용을 많이 소모 - 미생물이 여러 세대를 거쳐 자라면서 그 형태와 반응 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 •분자생물학적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법 - 핵산의 추출과 DNA 증폭을 거치..

환경미생물학 2023.01.23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5.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

제5장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 5.1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의 개요 1. 서론 •슬러지 - 넓은 의미: 하수처리 중 발생하는 폐액으로부터의 침전고형물을 의미 - 좁은 의미: 2차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바이오매스(잉여슬러지)를 의미 - 슬러지는 생물학적 하수처리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지만, 그 처리 비용은 전체 공정에서 가장 큼 - 한국의 경우(2005년 현재) 6개월 이상 가동한 하수처리장 287개소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량은 연간 약 250만톤에 이름 - 하수슬러지 처리현황을 살펴보면 해양투기가 75%의 비율로 가능 높은데 2012년 런던협약에 의해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경우 하수슬러지의 처리가 매우 곤란한 상황 2. 슬러지의 종류 •그릿(grit) - 침사지에서 침전 제거되는 모래, 뼈조각, 유리 ..

환경미생물학 2023.01.23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4. 생물학적 하수처리

제4장 생물학적 하수처리 4.1 생물학적 처리개요 1. 서론 •역사적 배경 - 19세기 중엽 영국: 수인성 질병(콜레라) 만연, 특히 런던에서는 이러한 전염병으로 수천 명이 희생 → 폐수처리장의 설치를 권장하는 법률 통과 - 실질적인 폐수처리(20세기 초부터 시작) → 계기: 19세기말 ‘영국의 폐수방류 위원회’가 최종방류수의 수질기준 마련(BOD ≤ 20 mg/L, SS ≤ 30 mg/L) •오늘날의 현황: 한국의 경우(2005년 현재) - 약 294개 하수처리장 - 하루 처리량 2,240만 톤 - 대부분이 2차 또는 그 이상의 처리시설 2. 하수처리의 단계 • 예비처리 - 스크린, 침사지 등을 이용 - 물 위에 뜨는 것은 스크린으로 제거하며 모래와 같이 비중이 큰 것은 침사지에서 침전시켜 제거 •1차..

환경미생물학 2023.01.22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3. 지구환경과 미생물

제3장 미생물에 의한 질병 •질병의 인식전환 - 예전에는 질병이 신의 징벌이나 나쁜 공기 또는 마력 등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생각 - Ignaz Semmelweis (1847) : 분만 시 발생하는 고열질환인 산욕열(puerperal fever)이 손을 씻지 않은 의사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됨을 증명 - Joseph Lister(1867): 소독제를 사용하여 수술에 의한 상처치료 시 감염율을 크게 저감 - Robert Koch(1876): 최초로 특정세균이 질병의 원인임을 증명하고, 병원균설(하나의 특정미생물이 하나의 특정질병을 일으킨다는 설)을 확립 3.1 수인성 질병 1. 콜레라 •원인균 : Vibrio cholerae - 나선균에 속하는 그람음성, 통성혐기성, 무포자 간균으로 바나나처럼 균체가 만..

환경미생물학 2023.01.21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2. 지구환경과 미생물

제2장 지구환경과 미생물 2.1 대기미생물 2. 대기권의 미생물 •대기 중 토착성 미생물은 알려져 있지 않음 •물이나 토양에서 비롯된 미생물이 대기 중에서 어느 정도 생존능력을 지녀 적당한 다른 물이나 토양환경으로 전파될 수 있음 •미생물은 그대로 대기 중으로 들어갈 수도 있으나 홀씨 등의 상태로 대기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기미생물과 관련해서 공기 중 병원성 미생물을 떠올림 2.2. 수중미생물 2. 담수생태계의 미생물 •호수 - 가장 복잡한 미생물상을 나타냄 - 1차생산과 2차생산 미생물이 긴밀히 상호작용 - 빛이 잘 투과되는 연안대에서는 조류가 우점종으로 1차생산이 높고 시안세균도 많이 존재 - 수층대에서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이 우점하며 빛의 파장과 투과량에 따라 우점종이 변함 ..

환경미생물학 2023.01.21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1. 환경미생물의 기초

제1장 환경미생물의 기초 1.1 미생물 1. 미생물 •정의 : 우리의 눈으로 분별할 수 없는 작은 생물을 뜻함 (대략 그 크기가 0.1 mm 이하인 작은 생물을 의미) •특징 : 단세포 또는 다세포로 되어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증식이 빠르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강하고, 종류와 유전자가 다양 •종류 : 세균, 원생동물, 균류, 조류 등 2. 미생물 인식의 역사 •인간은 예전부터 경험적으로 미생물을 인식(발효를 이용하여 술, 치즈 등을 제조·이용) → 하지만 발효 현상이 미생물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알지 못 함 •16세기까지 미생물학의 연구는 미생물을 관찰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여 많이 제한 •17세기에 네덜란드의 레벤후크가 살아있는 미생물을 최초로 관찰 3.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 •..

환경미생물학 2023.0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