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자인개론

(116)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4. 색의 배색 44. 색의 배색 일반적으로 두 색 이상의 색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어울리는 효과를 배색이라고 하 며, 사람들이 배색의 좋고 나쁨을 생각할 때는 센스와 직관에 의해 결정된다. 배색에 의한 정보전달이나 인간의 심리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배색의 목적은 색채가 지니고 있는 기능과 성격을 잘 이용하여 아름다운 배색을 함으로써 일상생활이나 조형활동을 보다 윤택하게 하고 미화하는 것이다. 색이 아름답고 추한 것을 따지기 전에, 그 색들 은 어떻게 배색되느냐에 따라 아름답게 보일 수도 있고 추하게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두 가지 이상의 색채가 서로 융합해야 미적 효과를 나타내며, 일상생활에 있어서 그 필 요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 환경이나 목적에 배색계획이 적합한지 고려한다.  색의 배치나 면적을 고려하여..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3. 색의 지각적 효과 43. 색의 지각적 효과 가. 진출색과 후퇴색 앞으로 튀어나올 듯이 가까이 보이는 색을 진출색이라고 하고 뒤로 물러나는 듯이 멀리 떨어져 보이는 색을 후퇴색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같은 거리의 빨간색과 파란색을 볼 때 빨간색은 수정체가 두껍게 조절되어 가깝게 보이며, 반대로 파란색은 수정체가 얇게 조절되어 멀리 보이는 것이다. 따뜻한 색이나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앞으로 나와 보이며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진출 되는 느낌을 준다. 조명이나 바탕색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빨강과 파 랑을 같은 거리에 두고 보면 빨강이 더 가깝게 보이지만 조명을 어둡게 하면 오히려 파 랑이 더 가깝게 보인다. 차가운 색이나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은 멀리 떨어져 보이며 이와 같은 후퇴색 역시 조명이나 바탕색에 따..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2. 색의 동화 42. 색의 동화 인접한 주위의 색과 가깝게 느껴지거나 비슷해 보이는 현상을 말하며, 이런 현상을 ‘색 의 동화효과(Assimilation Effect of Color)’라고 한다. 동시 대비와는 반대 개념이다. 배경색의 면적이 작은 줄무늬나 둘러싸인 면적이 작을 때 일어난다. 회색 줄무늬가 초 록색 줄무늬에 섞이면 초록색 쪽으로, 노란색 줄무늬에 섞이면 노란색 쪽으로 기울어 보인다. 좁은 시야에서 보는 복잡한 색채 무늬들이나 섬세한 무늬 등에서 일어나며, 주 위에 비슷한 색이 있을 때 일어난다. 동화 현상의 종류에는 색상 동화, 명도 동화, 채도 동화가 있으며 보통 동시에 일어난 다. 동화 현상은 대비, 작은 면적에서의 색 지각, 혼색 등 모든 현상과 관계가 있으므로 회화, 그래픽, 직물 디자인 등 모..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1. 색의 대비 41. 색의 대비 색의 대비는 2개 이상의 색을 동시에 보거나 계속해서 볼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자를 동시대비, 후자를 계속대비라 한다. 이 때 제시되는 색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각기 지 니고 있는 색의 특성을 더욱 강조하는 경향이 생긴다. 색에는 색상, 명도, 채도의 3가 지 속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의 3가지 대비를 생각할 수 있다. 우리의 시각은 매우 상대적인 것이어서 색채의 차이를 느끼게 하는 속성에 대한 이해와 훈련이 필요하다. 우리가 보는 대부분의 색채는 단독으로 보이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인접한 색채와 함께 보게 된다. 가. 동시대비 1) 명도대비 명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시켰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명도 차가 더 크게 일어나는 현상 이다. 밝은 색과 대비되는..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0. 색의 혼합 40. 색의 혼합 색의 3요소를 혼합하는 것을 색 혼합(Color Mixing)이라 한다. 색을 혼합해서 새로운 색을 만드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  색광을 섞음으로서 새로운 색을 만든다.  각각의 다른 색은 무수한 작은 점으로 병치하고 그것을 조금 거리를 두고 보게 함으 로써 새로운 색을 만든다.  색료를 혼색함으로서 새로운 색을 만든다. 가. 가산(加算)혼합 색광의 3원색은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이며, 색광은 빛의 기본이 되는 색 으로서 색료의 원색처럼 3원색을 섞어서 모든 색광을 만들 수 있다. 태양빛에서 원색을 추출하는 방법은 프리즘을 통과시키는 방법과 색상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빨강 필터는 600~700nm, 녹색 필터는 500~600nm, 파랑 필터..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39. PCCS 표색계 39. PCCS 표색계 일본색채연구소가 1964년에 일본색연배색체계를 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의 이름으로 발표했던 색채조화를 주요 목적으로 한 색체계이다. PCCS의 색표시 방법에는 3차원으로 나타내는 3속성에 의한 먼셀 표색계와 오스트발 트 표색계의 특징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특징적인 방법으로는 명도와 채도를 톤(tone) 으로 하는 개념으로 정리해 색상과 톤의 두 계열로 색채조화의 기본적인 색채계열을 나 타내는 표시방법이며 계통색명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이 표색계는 명암, 강약, 농담 차이로 인한 색의 상태 차이를 비비드, 브라이트, 스트 롱, 딥, 라이트, 소프트, 덜, 다크, 페일, 라이트 그레이시, 그레이시, 다크 그레이시의 12톤으로 분류한다(비비드의 채도..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38. NCS 색표계(Natural Color System) 38. NCS 색표계(Natural Color System) 1979년 스웨덴 색채 연구소에서 1,412색이 수록된 NCS 색표집을 발간하고, 1995년 2차로 1,750색이 수록된 NCS 색표집을 발간하였다. NCS 색체계는 헤링의 4원색 이 론에 기초하여 색상을 노랑(Y), 파랑(B), 초록(G), 빨강(R)의 네 가지 색상으로 구분하 고, 여기에 흰색(W)과 검정색(B)을 포함하여 총 6색을 인간이 구별할 수 있는 가장 기 초적인 색이라 하여 기본색상으로 지정하였다. NCS 색상환은 기본 4색상이 상하좌우 에 위치하고 각각의 사이에 10단계의 중간색이 구성되어 총 40색상으로 구성된다. 중 간색상의 색표기는 이웃하는 두 기본 색상의 감각량을 %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Y30R 은 노랑 감각량이 70..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37. CIE(국제 조명위원회) 색표계 37. CIE(국제 조명위원회) 색표계 색을 빛의 물리량과 인간의 시감각 신경을 자극하는 심리량으로 나타내는 과학적인 표 색계이다. CIE는 색이나 빛에 대한 연구와 결정을 하는 국제조명위원회로 원래 CIE에 서 정해진 특정 파장의 RGB 단색광의 비율로 색을 나타내는 RGB계만 있었지만 마니 너스 값을 포함하여 1931년에 RGB계를 선형 변환한 xyz 색표계로 개선하였다. 표준 광원에서 관찰하는 색의 수치화로 xyz색표계는 CIE 색체계 중 가장 최초로 만들어졌으 며, 기본이 된다. 수치상으로만 표시되어 색지각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L*U*V* 색표계는 명도단계별로 동일한 밝기를 나타내며, L*a*b*색표계는 보다 인간의 감성에 접근하기 위해 연구된 결과로 L*은 명도, a*는 Green과 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