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37. CIE(국제 조명위원회) 색표계

반응형

37. CIE(국제 조명위원회) 색표계

 

색을 빛의 물리량과 인간의 시감각 신경을 자극하는 심리량으로 나타내는 과학적인 표
색계이다. CIE는 색이나 빛에 대한 연구와 결정을 하는 국제조명위원회로 원래 CIE에
서 정해진 특정 파장의 RGB 단색광의 비율로 색을 나타내는 RGB계만 있었지만 마니
너스 값을 포함하여 1931년에 RGB계를 선형 변환한 xyz 색표계로 개선하였다. 표준
광원에서 관찰하는 색의 수치화로 xyz색표계는 CIE 색체계 중 가장 최초로 만들어졌으
며, 기본이 된다. 수치상으로만 표시되어 색지각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L*U*V*
색표계는 명도단계별로 동일한 밝기를 나타내며, L*a*b*색표계는 보다 인간의 감성에
접근하기 위해 연구된 결과로 L*은 명도, a*는 Green과 Red, b*는 Yellow와 Blue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중앙은 무채색이며 a*와 b*의 값이 증가하면서 중앙에서 바깥으
로 가게 되면 채도는 증가하게 된다. 특징은 조색을 할 때 색채오차를 알기 쉽고 색채
의 변환 방향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L*a*b* 표색계는 물체의 색을 표현하는데 현재
모든 분야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색계이며, 먼셀이나 NCS 색표계 등
과의 호환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CIE L*a*b* 색채공간
CIE 1931 색좌표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