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자인개론

(116)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8. 바탕과 도형 28. 바탕과 도형 바탕과 도형의 연구는 덴마크의 심리학자 에드가 루빈(Edgar Rubin)에 의해서 시작되 었다. 그는 현상학적 견해를 심리학에 도입하고, 지각(知覺)을 즉사적(?事的)으로 기술 했다. 인간의 감각은 고립된 것이 아니고 주위의 영향을 받으며, 어떤 형을 인식하여도 그것은 주위와의 관계에 의해 도형과 바탕의 인식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바탕에 대한 도형이 되기 쉬운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시야의 중앙을 차지하는 것이 도형이 되기 쉽다. ② 후퇴 방향의 것보다 돌출 방향의 것이 도형이 되기 쉽다. ③ 둘러싸고 있는 형보다 둘러싸여진 형이 도형이 되기 쉽다. ④ 큰 형태보다 작은 형태가 도형이 되기 쉽다. ⑤ 일정한 영역 내에서 동질성의 것보다 이질성의 것이 도형이 되기 쉽다 ⑥ 무..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7. 시지각의 특성 27. 시지각의 특성 가. 형태의 인식 형태를 인식하는 기관은 시각과 촉각으로 촉각은 표면 질감의 미묘한 차이를 느끼며 시 각은 촉각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눈으로 보기만 하여도 형태를 느끼게 된다. 인간에게 있어서 시각은 다른 감각기관보다 발달되어 있어서 정상적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받 아들이는 정보의 약 7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은 몇 개의 영 역으로 되어 있는데 지각되는 것은 이들 영역, 즉 색, 명암, 형태의 영역이 전부 보이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현재 망막에 비치는 그대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물체에 대해 서 가지고 있는 경험적(經驗的)이거나 이론적(理論的)인 내용에 의해서 불완전한 시각 을 보충한다. 우리는 보고 있는 것만을 믿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는 우리가 믿고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6. 입체디자인 26. 입체디자인 가. 형태의 단순화 대상의 형, 명암, 색 등의 특징을 파악하여 강조하거나 생략하여 단순하게 변형시킨 그 림을 단순화라 한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모든 선이나 면, 사물의 구조적인 특성을 간 략화 함으로써 그 사물의 독특한 이미지나 개성이 돋보이게 한다. 어떤 형태라도 단순화의 여러 방법을 익혀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시 각에서 대상을 조형적으로 관찰, 파악하고 변형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디자인 훈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자연의 형태는 동물과 식물을 포함한 생물과 무생물로 구분되며, 모든 조형의 원형이 된다. 여러 형태 중 특히 자연에서 유추되는 특성이 디자인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형 태의 특성으로서 미적 측면을 고려하거나, 구조적 법칙성을 탐구하는 방법과 동적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5. 평면디자인 25. 평면디자인 가. 점에 의한 구성 점에 의한 구성은 디자인 원리에 의한 화면배치의 방법과, 배색에 의한 구성 방법이 있 다. 점의 구성은 서로 다른 크기의 원의 구성과, 같은 크기를 가진 원의 구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점 또는 원의 형태를 연구하는 기본이 된다. 점이 같은 간격으로 연속적인 위치를 가지면 선으로 느끼게 되고, 점이 전면적으로 동 일한 간격의 위치를 가지면 면으로 느끼게 된다. 점이 하나일 때에는 모든 시선이 그 한 점으로 집중되며, 2개의 점이 있으면 서로 끄는 힘이 생기고, 한쪽 점이 클 경우에는 시각의 중심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옮겨진다.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3개의 점은 시선의 연결을 주어 삼각형으로 느끼게 하며, 일직선 상에 점이 위치하면 점은 간격에 의하..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4. 강조(Emphasis)와 대조(Contrast) 24. 강조(Emphasis)와 대조(Contrast) 강조는 특정 요소가 눈에 띄게 하거나, 관심을 끌게 만드는 디자인 기법이다. 강조, 콘 트라스트, 반복, 또는 운동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초점이나 흥미를 중심으로 변화, 변칙, 불규칙성을 의도적으로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3. 리듬(Rythem) 23. 리듬(Rythem) 선이나 면적, 형태, 문양 등의 요소들을 어떠한 체계로 배치함으로써 생겨나는 시각적 인 율동이며,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소들과 관련된 반복으로 만들어진 질서있는 흐름을 리듬이라 한다. 리듬은 반복적인 진동으로 즐거움을 느끼게 하며, 근본적으로 움직임 과 관련되어 있다. 리듬 고유의 반복성이 만들어 내는 흐름에 따라 우리의 시선이 움직 이는 것을 말하며, 시간의 흐름을 눈으로 지각할 수 있다. 리듬이란 규칙성 있는 모티 브들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하나의 디자인 원리로서 리듬은 반복에 근거를 두는데 단조 롭지 않아야 하며, 변화가 있는 반복이 필요하다. 반복에 의한 리듬은 시각적 통일성을 주는 요소로서 예술 작품에 다양하게 표현된다. 리듬은 디자인에서 통일성과 유사성 및 강조성으로 변..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2. 조화(Harmony) 22. 조화(Harmony) 조화는 톨 이상의 요소가 상호관계를 맺어 어울림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두 개 이상의 요소 또는 부분의 상호관계에서 서로 분리되거나 배척하지 않고 통일되어 높은 미적, 감각적 효과를 나타낼 때 나타나는 아름다움이다. 어떤 요소가 전체와 부분 주변의 색 과 크기, 질감 등 조형 요소와 어울릴 때, 또는 환경과 어울림 등에서 가장 아름답고 강 한 인상과 감동을 느끼게 한다. 조화는 통일의 조건이 되며 전체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화는 유사(similarity) 조화와 대비(contrast) 조화가 있다. 유사 조화 는 형이나 색, 재질 등이 서로 비슷한 것끼리 모여서 변화가 있으면서도 통일감을 이루 는 것을 말하며 온화하고 여성적인 안정감을 준다. 대비 조화는 성질이..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1. 통일과 변화 21. 통일과 변화 가. 통일(Unity) 제각기 특성을 지닌 다양한 조형요소들이 서로 어울리게 관계지어 하나로 결합하는미 적 결합을 말하며 또 이들의 움직임을 변화(variety)라고 한다. 통일은 모든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 정리정돈 내지는 안정감을 나타내며, 동적인 변화에서는 길이와 크기의 대소(大小), 간격, 형태 등이 다를수록 변화가 크며, 항상 균형이 깨어지지 않아야 한 다. 모든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반복된 색, 모양, 질감은 서로 가까이 두거 나, 유사 형, 유사 색 등으로 통일과 변화를 동시에 추구한다. 나 변화(Variation) 변화는 화면에 활기를 주고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변화가 지나치면 무질서 해 보일 수 있다. 왜곡과 변형 두 가지로 구분한다.  왜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