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색의 지각적 효과
가. 진출색과 후퇴색
앞으로 튀어나올 듯이 가까이 보이는 색을 진출색이라고 하고 뒤로 물러나는 듯이 멀리
떨어져 보이는 색을 후퇴색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같은 거리의 빨간색과 파란색을 볼
때 빨간색은 수정체가 두껍게 조절되어 가깝게 보이며, 반대로 파란색은 수정체가 얇게
조절되어 멀리 보이는 것이다.
따뜻한 색이나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앞으로 나와 보이며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진출
되는 느낌을 준다. 조명이나 바탕색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빨강과 파
랑을 같은 거리에 두고 보면 빨강이 더 가깝게 보이지만 조명을 어둡게 하면 오히려 파
랑이 더 가깝게 보인다. 차가운 색이나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은 멀리 떨어져 보이며
이와 같은 후퇴색 역시 조명이나 바탕색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져 보인다. 색의 진출,
후퇴는 팽창, 수축과 함께 건축, 실내 장식, 복식 등 디자인 전 분야에서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나. 팽창색과 수축색
면적이 실제보다 작게 느껴지거나 크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한다. 따뜻한 색이나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외부로 확산되어 보인다. 밝은 바탕에 어두운 색 글자보다 어두운 바
탕의 밝은 색 글자가 더 굵고 커 보이는 경우가 그 예이다. 반대로 차가운 색이나 명도
와 채도가 낮은 색은 내부로 축소되어 보이며, 수축이나 팽창은 절대적이 아니라 두 색
의 비교에 의해 심리적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 명시도
물체의 색이 뚜렷하게 잘 보이는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명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색
상, 명도, 채도의 차이를 크게 한다. 명시도는 중앙선 표시와 교통안전 표지판, 어린이
보호 구역, 고속 방지 턱 등에 활용된다.
라. 주목성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힘을 말하며, 색의 진출, 후퇴, 팽창, 수축현상과 관련이 깊으며
색의 3속성과도 관계가 있다. 명시도가 높으면 주목성이 높으며 따뜻한 색이나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이 주목성이 높다. 색상은 빨간색이 주목성이 높고 녹색은 주목성이 낮
다. 또한 채도 차이가 클수록 주목성이 높다.
사인이나 도로표시, 포스터, 광고 등에 많이 쓰이며, 주목성은 배색관계에서 배경색과
명도 차이가 크고 보색관계에 있는 색채에서 강한 효과를 나타낸다.
마. 공기원근법
15세기 유화의 도입으로 가능해진 이 방식은 레오나르도에 의해 발전되고 정리된 기법
으로 "스푸마토(Spumato)" 기법이라고도 한다. '스푸마토'라는 말은 이탈리아어로 '흐
릿한' 혹은 '자욱한'이란 뜻으로 밝은 톤에서 어두운 톤으로, 어두운 톤에서 밝은 톤으
로 변화시키면서 경계선을 분명하지 않게 처리하는 기법을 말하며, 색의 진출과 후퇴,
팽창과 수축 등과 관련이 있다. 색채나 명암의 그라데이션을 이용하여 시각적 깊이감을
더함으로서 원근감을 얻는 투시법이다.
'디자인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5. 색의 감정 (1) | 2023.04.07 |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4. 색의 배색 (0) | 2023.04.06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2. 색의 동화 (0) | 2023.04.05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1. 색의 대비 (0) | 2023.04.04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40. 색의 혼합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