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43. 호스피스 팀
43. 호스피스 팀○ 호스피스 케어에서 주된 보호자는 가족 케어 제공자와 호스피스 간호사- 가족과 간호사가 호스피스 케어의 가장 중요한 담당자라는 것- 많은 전문가와 성직자, 자원봉사자도 참여- 호스피스 케어는 일종의 팀워크 ○ 호스피스 팀원의 역할① 의사- 팀원에게 환자의 병력 설명, 팀원과의 정기적인 소통을 통한 진료의 감독, 약물투여와검사의 지시, 환자별 의학적 개입수준의 결정② 호스피스 의사- 통증과 중심의 통제에 관한 노하우 제공, 호스피스팀과 의사와 협력해 적절한 의학적개입 결정, 필요하면 환자 가정 방문, 케어플랜, 지시사항, 환자와 가족에 대한 상담③ 간호사- 환자와 가족의 정기적 방문, 전화 서비스, 통증․증상․영양 상태․대소변기능 등 관심 사항에 대한 사정, 환자와 가족 대상 병의 진..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41. 완화케어와 호스피스
41. 완화케어와 호스피스1) 완화케어○ 호스피스가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완화케어- 완화케어는 WHO의 정의가 가장 많이 인용- 중증 질환 또는 시한부 질병을 가진 사람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서 환자 개인의 의료적 욕구와 환자가 원하는 신체적․심리적․정신적 희망 사항을 동시에 고려하는 포괄적 서비스- 완화케어는 암, 심장병, 만성 폐 질환,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치매, 간 질환, 말기신장병등 다양한 형태의 질환을 가진 환자가 이용- 완화케어는 이런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생기는 환자의 고통, 증상,정서적 절망감을 완화시키고, 나아가 환자와 가족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 완화케어는 환자를 편안하게 만드는 케어와도 다름 ○ 완화케어는 팀 접근을 함-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