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호스피스의 역사
○ 호스피스
- 만성병, 중증 질환, 시한부 환자의 고통과 증상을 완화시키고, 그들의 정서적․정신적 욕구
에 관심을 기울이는 데 초점을 둔 케어의 한 형태이자 철학
○ 호스피스는 라틴어 hospes와 hospitum의 합성어
- hospes는 주인(host)과 접대를 받는 손님(guest) 양자를 뜻하고, hospitum은 손님에게 제
공하는 편안한 장소나 공간을 뜻
- 손님에게 편안한 장소나 공간을 제공하고 손님을 돌본다는 의미
○ 최초의 호스피스는 11세기 유럽에서 생겨남
- 1090년대 십자군운동 시 치료할 수 없는 환자를 십자군이 설립한 시설에서 보살핀 것에서 비롯
- 중세 유럽에서는 성지순례 때문에 호스피스가 상당히 성행
- 하지만 종교개혁으로 가톨릭의 영향력이 약화되자 호스피스도 쇠퇴
- 호스피스는 17세기 프랑스에서 부활
○ 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에 호스피스가 도입
- 1892년 런던에 35개 병상을 갖춘 호스피스가 개설되어 임종을 앞둔 결핵 환자를 케어
- 1905년에는 런던 성 요셉 호스피스가 설립
- 1950년에는 마리 퀴리 기념재단이 말기 암 환자의 케어를 위해 11개 요양원 설립
○ 현대적 호스피스는 1967년 영국 간호사 시슬리 손더스가 임종을 앞둔 환자를 돌보기 위해
런던 교외에 설립한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가 세계 최초
- 병원 봉사활동을 통해 시한부 환자가 가장 절실히 원하는 것은 고통의 완화
- 이들을 진정으로 잘 보살피면 고통이 완화된다는 사실을 깨달음
○ 미국의 호스피스는 손더스의 영향을 직접 받아 설립된 1968년 뉴헤이번 호스피스가 최초
- 1971년에는 코네티컷주에서 가정 호스피스가 시작
- 1978년에는 미국 호스피스협회 결성
- 1981년에는 호스피스 케어에 관한 병원표준이 마련
- 1983년에는 메디케어 호스피스 급여가 신설 : 호스피스가 사회보장급여로 편입되었음을 의미
- 1993년 클린턴 정부는 호스피스를 보건의료 공급자로 정식으로 인정
○ 1980년대에 들어와서 영국을 중심으로 완화의학이 정립되기 시작
- 완화의학은 체계적인 케어를 지향하고, 팀워크를 강조
- 완화의학 팀은 의사(종양내과 의사, 정신과 의사, 완화의학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치료사(재활, 음악, 미술 등), 성직자, 자원봉사자로 구성
- 미국에서는 1984년 미국 호스피스 완화의학협회가 조직
○ 한국의 호스피스는 1965년 강원도 강릉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소속 수녀들이 갈바리의원에
서 임종 환자를 돌본 것이 최초
- 1980년 광주 성 요한 의료봉사 수도회에서 가정 호스피스 활동을 시작
- 1981년 강남성모병원이 우리나라 최초로 호스피스 병동을 개설
- 1991년에는 한국호스피스협회가 결성
'노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42. 호스피스의 유형과 서비스 종류 (2) | 2024.10.04 |
---|---|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41. 완화케어와 호스피스 (4) | 2024.10.03 |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39.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 (6) | 2024.10.01 |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38. 장기요양비용의 조달방법 (4) | 2024.09.30 |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37. 장기요양 1 (7)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