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3
■ 개화기 및 근∙현대 복식
2. 여성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두식
• 개화기를 맞이해도 나라가 존속하고 있는 동안엔 궁중양식이 그대로였고, 조선
후기에 예장에 필요했던 '어여머리', '큰머리'도 그대로 존속하고 있었음
• 처녀들은 댕기머리였고, 부녀자들은 기호를 중심으로 이남은 쪽진머리, 서북은
얹은머리를 하였음
• 1907년 최활란이 당시 동경에서 유행하던 '팜프도어'(히사시까미)를 하고 돌아와
학생들 사이에서 유행하였으나 오래가지는 못함
• 1920년대 미장원이 생겼고, 첫 미용사는 오엽주로 일본에서 미용을 배워
화신백화점에서 미장원을 개업함
(2) 예복
• 조선시대 예복으로 왕비의 적의, 활옷, 원삼, 당의와 스란치마, 대란치마 등이 있음
• 개화기를 맞이했다 하더라도 왕조의 명맥이 유지되어 궁중예복 및 상류층의 예복은
그대로 존속하였음
• 한일합병으로 왕비의 법복인 적의는 존재를 볼 수 없게 되었으며, 그 밖의 예복은
끈질긴 전통과 함께 구식혼례 또는 수연에서 볼 수 있음
(3) 평상복
• 평상복의 기본을 이루는 것은 저고리, 치마, 버선, 신으로 이 밖에 친의류에 속하는
속적삼, 단속곳, 바지,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가 한동안은 그대로 있었음
• 덧입는 것으로는 배자, 덧저고리가 있었는데 이 때에 마고자, 두루마기 및 속치마가
등장하였음
① 저고리
• 1920년대 이전의 저고리는 일반 부녀자의 경우 저고리 길이가 20㎝ 안팎이었으며,
진동이 16~22㎝로 입어서 꼭 낄 정도였음
• 1920년대에는 일반적으로 저고리 길이, 화장, 진동, 배래, 수구 등이 넉넉해짐
• 1930년대 전후는 저고리 길이가 더욱 길어져 겨드랑이 밑이 13~14㎝ 정도까지
내려갔고, 진동, 소매너비, 수구 등도 더욱 넉넉해졌으며, 고름도 넓고 길어졌고,
동정도 넓어짐
• 차츰 저고리 길이가 길어져 나중에는 저고리가 배꼽을 덮을 만큼 길어졌으며, 긴
길이에 비해 화장이 짧은 것이 이때의 유행이었음
• 1940년 전후에는 고름 대신 단추를 달거나 ‘브로치’를 사용하였음
② 치마
• 일반 부녀자들의 치마에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사회활동을 하는 여성들의 치마
길이가 활동하기 편하도록 짧아졌음
• 치마는 짧은 치마와 긴 치마의 이중구조로 되었고, 가정 밖에서는 짧은 치마를 입고
활동을 하다가도 집에 들어와서는 긴 치마로 갈아입었음
• 서양 여선교사의 양장의 간편함을 본떠 저고리를 길게 하고 치마를 짧게 해서 입기
시작했는데, 짧은 치마도 나름대로 모양이 있어 유행의 변천이 있었음
• 1902년에는 한흥 양복점이 처음 개설되었음
• 1920년대는 양복의 확산기로 양복 착용이 크게 성행하였는데 두루마기 대신
양복에 스프링 코트와 오버 코트를 입었으며 셔츠, 넥타이, 모자, 구두, 지팡이,
회중시계, 넥타이핀 등의 장신구를 갖추었음
• 옥처럼 깨끗한 옥양목, 개화장이라 불린 지팡이, 갓과 망건은 중절모로 바뀜
• 물을 깃는 질그릇 동이는 양동이(서양도자기), 양재기, 양은그릇으로 바뀜
• 짚이나 나무를 태운 잿물이 아니라 수산화나트륨 계열의 양잿물로 청소와 빨래를 함
• 금줄 손목시계, 회중시계는 사치스러운 장식이었고, 칫솔과 치약, 거울, 장갑,
화장품 등도 개화되었음
• 화신상회(화신백화점)
- 공장형태로 노동자를 고용하여 부인용 패물, 각종 장신구, 은제 문방구류를 생산하
여 판매하였음
- 제조와 판매를 맡은 경영주는 신태화로 화신상회를 세워 화신백화점의 발판을 마련함
- 1929년 대공황으로 자금압박에 시달리다 화신상회는 박흥식 손으로 넘어감
'미용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3.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4 (1) | 2024.02.24 |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1.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2 (0) | 2024.02.23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0.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1) | 2024.02.22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9. 조선의 문화 6 (1) | 2024.02.21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8. 조선의 문화 5 (2)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