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용문화사

(81)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6.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6 66.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6 ■ 발해·통일신라 복식 1. 발해 복식의 일반적 특징 • 지위에 따라 달랐고 방한용으로 담비나 표범 가죽으로 만든 가죽옷을 입었음 • 발해의 담비 가죽은 수출품으로도 유명하였고 용주의 면포와 옥주의 면, 현주의 포 등 직물도 유명했음 2. 통일신라 복식의 일반적 특징 • 기존 신라 복식을 바탕으로 중국의 당나라와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음 흥덕왕은 “다른 나라의 것을 진기하게 여기고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풍조가 가득하다”하여 이를 고치려 했음 • 각 계급의 남녀 별로 사용 가능 한 것과 사용 불가능 한 것을 구분하여 상세하게 규정하였고, 계급에 따라 재질의 품질을 결정하였음 • 다양한 공예 기술과 재질은 당시 생활상태를 추정할 수 있고,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충족시..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5.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5 65.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5 ■ 발해·통일신라 예술가 2. 통일신라의 예술가 • 통일신라 대표적 화가 1) 솔거 : 분황사, 관음보살상 / 단속사,유마상 / 황룡사, 노송 2) 정화, 홍계 : 흥륜사 보현보살상을 그린 승려화가 3) 금박 유물 ‘선각단화쌍조문 금박’ : 통일신라 시대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여 주며 현대 기술로 재현 불가함 ■ 발해 • 발해의 토기는 고구려계와 말갈계로 구분되며 고구려계는 흑색, 회색계의 높은 온도에서 구운 토기로 표면은 매끈하게 연마되어 있고, 말갈계는 적갈색이며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토기 입구에 덧띠무늬가 부착되어 있음 • 궁전과 관청, 집, 사원, 남아 있는 절터 등을 통해 건축 양식 유추가 가능하고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아 고구려 특유의 난방시설 ‘구들’..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4.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4 64.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4 ■ 발해·통일신라 건축 2. 통일신라의 건축 양식 3) 불사건축 • 금당이 가람의 중심이 되었으며 금당의 전면 양측에 2개의 탑을 세움 • 중기 이후 밀교, 선종의 성행으로 내적성찰을 중요시하게 되어 산지가람을 조영 불국사, 경북 경주, 536년(법흥왕 27년) 창건 김대성에 의해 건축 다보탑과 석가탑을 중심으로한 이탑식 가람배치 • 이탑식 가람배치 : 감은사지(경북 월성), 사천왕사지(경북 경주), 망덕사지(경북 경주), 천군리사지(경북 경주), 실상사지(전북 남원), 석굴암(경북 경주 토함산) 4) 주거건축 • 신라와 통일신라의 주거건축은 상호유사하며 시대적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당시의 주거양식에 관한 기록이 전래 - 건축규제와 가사제한 골품제..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3.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3 63.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3 ■ 발해·통일신라 건축 1. 발해의 건축 양식 • 궁전, 관청, 집, 사원, 남아 있는 절터 등을 통해 건축 양식 유추가능 •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아 고구려 특유의 난방시설 ‘구들’ 사용함 • 발해 건물터에서 잘 다듬은 주춧돌과 녹색유약을 발라 구운 주춧돌 장식, 용머리 상, 화려한 무늬와 기와 등 건축 부재에서 발해 특유의 특징을 알 수 있음 v 용머리 - 건물 기단에 끼워 넣어 장식했던 것으로 형태, 조각기법은 같음 - 귀밑까지 찢어진 입, 날카로운 이빨, 튀어나온 눈, 갈퀴 등 악귀를 물리칠 수 있는 상서로운 용의 모습을 나타냄 2. 통일신라의 건축 양식 1) 도성건축 • 신라시대 이래 경주를 지속적으로 도읍으로 함 • 695년(효소왕 4년) 황룡사를 중심으로..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2.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2 62.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2 ■ 발해·통일신라 문화 2. 통일신라의 일반적 특징 • 신라가 삼국통일 전쟁 끝에 한반도 역사상 최초 통일을 이룬 시기 1) 29대 태종 무열왕부터 51대 진성여왕에 이르기까지 220연간 존속함 2) 나당전쟁이 끝나는 676년 시점 기준으로 전쟁 사라짐 3) 한반도의 정세가 안정화(한반도 최초 단일국가) 4) 다양한 종족집단(옛고구려계, 백제계, 말갈계 등)이 신라 내부에 공존함 5) 봉건제에서 중앙집권체제의 성격으로 변화 • 시대구분과 명칭 1) 국호 ‘신라’는 삼국시대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통일신라는 신라 당시 사용된 이름이 아닌 근현대 사학자들이 676년 이전의 신라와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낸 시대구분을 위한 명칭임 2) 발해고에 나오는 남북국이라는 용어에서 비롯하여 남..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1.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1 61.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1 ■ 발해·통일신라 문화 1. 발해의 일반적 특징 • 건국 : 발해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며 대조영에 의해 698년에 건국되었음 1) 발해 시조 대조영은 천손으로 자처하였고, 독자적 연호를 제정함 2) 당, 통일신라, 고대 일본과 외교 수립 후 무역이 성행함 3) 당나라는 발해에게 요하유역과 만주 일대 정복 당함 • 안정과 성장 1) 대조영의 뒤를 이어 무왕 대무예는 동북방 말갈족 복속, 만주 북부일대 전체를 장악함 2) 당나라에 대한 지속적 공격으로 한족 여성들을 발해에 상납하였음 3) 무왕 이후 문왕 대흠무 즉위 후 당나라와 친선관계 맺고 선진문물을 받아들임 4) 발해수도가 상경으로 옮겨진 후 농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인구가 증가함 5) 9세기 전반에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0. 백제·신라의 문화 5 60. 백제·신라의 문화 5 ■ 백제·신라 장식문화 2. 신라의 장식문화 • 신라는 금세공이 발달하였음 • 김춘추의 복식개혁으로 당나라식 의복 수입하였고, 귀족사이에서 당나라풍의 의복이 유행하기도 함 • 신라 귀족 여성은 숄이나 목도리에 해당하는 표를 둘렀고 보온성보다는 장식성이 강했음 • 머리가 긴 여자를 미인으로 인식하였고 부인들은 얹은 머리를 하기도 함 - 머리에 옥 등의 장식품을 하였고, 귀걸이, 목걸이, 팔찌, 손에는 지환 등으로 치장함 ■ 백제 • 백제는 세 차례 천도하여, 한성시대, 웅진 및 사비시대가 있었고, 중국에서 문물 받아들여 가야와 왜에 전파하여 공유문화권 형성에 중심지였다. • 부여족 계통인 온조집단에 의해 현재 서울지역 중심으로 건국되었고, 4세기 중반 황해도부터 경기, 충청,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8. 백제·신라의 문화 3 58. 백제·신라의 문화 3 ■ 백제·신라 복식 1. 백제의 복식문화 • 고이왕 27년 신분에 따른 복식제도 성립 : 오랜 양잠과 직조기술로 견직물 생산이 매우 발달했음 - 왕복 : 왕이 입고 있는 복식으로 자주색 도포에 푸른 비단바지 또는 견직물로 만든 바지, 허리에는 흰색 가죽띠를 두르고 검은색의 가죽신을 착용함 - 공복 : 관리가 공무 처리 시 입던 복장으로 국가에서 제정한 복식 - 일반 백성은 베로 만들어진 의복을 입었고 신발의 재료는 짚과 가죽 사용 2. 신라의 복식문화 • 중국 사서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의 복식과 신라의 복식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음 • 신라는 복식에서 백색 숭상 • 법흥왕 때 6부인 복색 제정함 - 자, 비, 청, 황의 4색은 공복, 평인은 백색 또는 흑색의 옷..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