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9. 조선의 문화 6
■ 조선 장식문화
1. 일반적 특징
• 조선 중기부터는 가락지와 노리개, 향갑, 향낭, 침낭 등이 있고, 여름철 적삼에 다는
단추도 장신구의 일종임
2. 남성용 장신구
• 상투관
• 망건, 관자, 풍잠
• 살쩍밀이
• 동곳
• 갓끈
• 광다회, 세조대, 각대
• 호패끈
• 선추
• 안경집
3. 여성용 장신구
• 비녀와 뒤꽂이
• 첩지와 떨잠
• 댕기
• 귀걸이
• 지환
• 노리개
• 향갑, 향낭과 주머니
• 장도
• 단추
<정리>
■ 조선 복식의 일반적 특징
• 태종부터 연산군 시대까지 견직물과 면직물이 모두 성장 발전하는 시기였고,
왕들은 양잠을 적극 권장했고, 관청 중심으로 사, 라, 능, 단 과 같은 고급견직물
생산에 노력을 기울였음
• 연산군은 통직을 설치하고 옷감생산에 실명제를 도입하여 고급 견직물을
생산하였고, 장인의 기술 혁신 위해 견습장인을 중국으로 연수를 보냈음
■ 조선 장식문화
• 상고시대의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의 패용습속은 거의 사라졌고, 금은세공기술은
퇴보하였음
• 머리장식이나 노리개 등은 다양하게 발달하였고, 장신구는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함
• 남성 장신구는 머리 단정하게 하는 관모와 관련있는 상투관, 관자, 살쩍밀이, 동곳,
갓끈 등이 있고, 여성용으로 각종 비녀, 여러 형태의 뒤꽂이, 첨지와 떨잠, 댕기등이
있음
반응형
'미용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1.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2 (0) | 2024.02.23 |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80. 개화기 및 근·현대의 문화 (1) | 2024.02.22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8. 조선의 문화 5 (2) | 2024.02.20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7. 조선의 문화 4 (2) | 2024.02.19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6. 조선의 문화 3 (0)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