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육학개론

유아교육학과, 보육교사 필수과목 보육학개론 요점 정리 10. 보육의 이론적 쟁점

반응형

10. 보육의 이론적 쟁점 

1. 보육경험과 부모 및 보육교사와의 애착

 

-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은 하루의 대부분을 부모와 분리되어 보내게 되며 보육교사에 대해 애착을
형성해야 함.

 

1) 부모와의 애착과 분리
- 애착은 아동이 주된 양육자에 대해 가지게 되는 강한 정서적 유대감.
- 볼비(Bowlby)는 애착 형성 시기에 어머니와 오랜 시간 분리되는 경험은 안정적 애착 형성에 방해가
된다고 보았음.
- 그러나 주된 양육자인 어머니와 애착을 형성한 유아는 아버지, 대리양육자와도 안정된 애착형성이
가능하다고 함.
- 보육 시작 후 아동의 애착 변화와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을 비교한 연구 결과
*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은 일차적 애착은 여전히 어머니에 대해 형성함. 보육 시작 후에도 어머니
에 대한 애착이 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남(Cummings, 1980, Lamb, 1976).
* 영아가 보육 시작하기 전과 후에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달라지는지를 고찰한 연구에서도 보육기관
에 다니는 것이 어머니와의 불안정 애착을 유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함(Ahnert, Gunnar, Lamb,
& Barthel, 2004).
어머니가 민감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아이의 보육기관 적응을 도와주는 경우 안정적 애착이 유지되
거나 증진됨.
- 보육기관에 다니게 됨으로써 부모와 장시간 분리되는 경험 여부만으로 아동의 안정적 애착 형성에
대해 예측할 수는 없음.

 

2) 교사와의 애착
-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은 어린이집에 있는 동안 부모를 대신하는 보육교사에 대해 안정적인 애착
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
- 어린이집에 다닌다고 하더라도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이 어머니에 대한 애착을 대체하지 않으며 여
전히 부모가 일차적 애착 대상이고, 보육교사는 이차적인 애착을 형성하게 됨.
-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보육교사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김영명, 1997; Howes & Hamilton, 1992).
- 교사와 안정적 애착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조건은 부모에 대한 애착에서와 다르지 않음.
- 교사는 안정적 애착을 위해서 따뜻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반응적이며 민감하고 욕구에 대해 세심하
게 배려해야 함.
- 부모에 대한 애착과 교사에 대한 애착을 비교한 연구
* 애착유형별 아동의 분포는 어머니, 아버지, 보육교사에 대해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Howes,
1988).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을 보이는 아동의 비율이 부모에 대한 애착의 경우와 교사에 대한
애착의 경우에서 다르지 않음.
* 부모에게 형성하는 애착과 교사에게 형성하는 애착의 안정성은 일치도가 높지 않은 경향이 있음
(Howes & Hamilton, 1992). 즉, 부모에게 안정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교사에게도 안정애착을 형성
하지는 않음.
- 보육기관에 다니는 것이 부모에 대한 아동의 애착을 손상시키는 것은 아님.

- 부모와 안정적 애착을 유지하면서 교사와도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
- 부모와 애착이 안정적이지 않은 아동이라도 교사와 안정 애착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음.

 

2. 보육경험과 영유아의 발달 변화
- 보육을 경험하는 아동의 증가로 보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됨.
- 보육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보육의 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보육특성 이외의 다른 요인들도
고려해야 함.

 

1) 보육경험과 아동발달
가. 보육과 신체발달 및 건강
-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아동의 가족환경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남.
- 서영숙, 김경혜(2003)의 연구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경우 어린이집에 다니는 것이 운동발달과 활동
성을 증가시키며 키와 몸무게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의 흔한 질병에 걸릴 가능성
을 감소시킨다고 함.
- 가정에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환경과 적절한 영양을 공급받는 아동의 경우에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지의 여부가 신체발달이나 운동발달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어린이집에 다니는 것은 아동의 신체발달 및 건강과 관련하여 가정환경의 취약한 측면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그러나 가정에서 양육되는 아동에 비해 감기 등의 전염성 질환에 걸릴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단점도 있음.

 

나. 보육과 사회정서발달
- 일찍부터 장시간의 보육을 영아기부터 유아기까지 계속적으로 받는 것은 사회정서적 적응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나타났음(Bates, Marvinney, kelly, Dodge, Bennett,
& Pettit, 1994; Belsky, 2001; Belsky & Eggebeen, 1991; Vandell & Corasaniti, 1990).
- 보육 시작 시기 관련 연구
* 만 1세 이전에 보육을 시작했거나 주당 20~30시간 이상 보육된 경우 3~8세 때 공격성이 높고 성
인의 요구에 잘 따르지 않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Belsky & Rovine, 1988).
* 만 1세 이전부터 어린이집에 다닌 아동은 3~4세 때 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였는데 이 결과는 어
머니의 학력이나 지능을 통제해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남(Baydar & Brooks-Gunn, 1991).
* 만 1세 이전부터 보육을 경험한 아동은 행동문제 중 특히 공격적 행동을 많이 보이며, 만 1세에서 만
2세 사이에 보육을 시작한 경우에도 문제행동을 보이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Hofferth, 1999).
* 그러나 이른 시기에 보육을 시작하는 것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상반된
것도 있음. 크로겐버그와 리트만의 연구에서는 어머니 양육 이외의 보육을 경험하는 2세 아동은
부모나 다른 성인의 요구에 더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남.
- 총 보육시간과 관련 연구
* 보육을 오랜 기간 경험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외재화문제
를 더 많이 보이고, 보육교사와의 갈등 빈도가 높고, 부정적 놀이행동을 더 많이함(NICHD, 2003).
- 기관 보육을 경험하는 아동이 전반적인 문제행동을 덜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음(Field, Masi, Goldstein,
Perry, & Parl, 1988; Howes, 1988; Prodromidis, Lamb, Sternberg, Hwang, & Broberg, 1995).
-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보육의 질을 경험함으로써 보육
이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음.
* 질 높은 환경에서 보육 받은 아동은 집단생활에 협조적이고 성인의 지시에 잘 따르고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질이 낮은 보육을 장시간에 걸쳐 받은 아동은 공격성과 같은 문제행동의 가능성인 높게 나타남.
- 부모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아동은 부모와 함께 있는 시간만큼은 친밀한 상호작용을 하는 아
동에 비해 심한 공격성을 보이는 경향으로 나타남(NICHD, 2003).
-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보육의 질이나 아동과 부모와의 관계 등을
함께 고려해야 보다 명확히 이해가 가능함.

 

다. 보육과 인지ㆍ 언어발달
- 질 높은 보육은 아동의 언어, 읽기, 수학능력과 장기적인 학업성취도를 높아는 것으로 나타남
(NICHD, 2003, Peisner-Feinberg et al, 2001).
- 보육의 질을 직접 평가하고 많은 인원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연구에서는 보육의 질과 인
지 및 언어발달 간의 정적 관계가 빈곤 아동과 빈곤하지 않은 아동에게서 유사하게 나타남
(Burchinal, Peisner-Feinberg, Bryant, & Clifford, 2000).
- 보육의 질이 나쁘지 않다면 아동의 인지ㆍ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음. 보육의 질적
차이에 의해 아동의 언어나 인지발달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기관 어린이집에 오래 다닐수록 인지발달이 더욱 증진된다는 결과가 있음(Ahnert & Lamb, 2003).
- 아동의 특성적인 측면에서 인지적 능력수준이 낮았던 아동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고, 여아보다는
남아의 학업 성취와 인지적 능력 향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Brooks-Bunn, Han,
& Waldfoge, 2002; Desai, Chase-Lansdale, & Michael, 1989).
- 가족의 특성에서 아동이 가족환경에서 인지적 자극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만 1세 이전에
보육을 시작했을 때 5~6세에 평가한 읽기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가족의 특성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낮아 아동의 인지발달 관련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경우에도 보육이 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에 더 큰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남.

 

2) 보육경험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
가. 보육요인
① 교사 대 아동 비율
-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침.
-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낮을 경우
* 질병 전염 가능성이 낮아짐. 아동에 대한 감독과 위생지도가 잘 이루어지므로 질병 가능성이 낮
음(Hayes, Palner, & Zaslow, 1990).
* 위험한 상황 발생도 감소함(Hayes, Palner, & Zaslow, 1990).
* 아동은 스트레스가 낮으며 사회적으로 더 유능하고 활발한 언어활동과 놀이를 하는 경향이 있음.
- 교사 한 사람이 보육할 수 있는 적정 인원을 초과할 경우
* 아동에게 부적절하게 대할 가능성이 높아짐(Deitch, 1987).
* 교사는 민감하고 수용적인 방식으로 아동을 대하기 어려워 상호작용의 질이 낮아지게 됨.
② 집단 크기
- 작은 집단 크기
* 감염성 질병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킴. 만 1~3세 사이 아동의 경우에 집단 크기가 4명 이상일 때
질병 위험성이 높아지며 3명이나 그보다 작은 집단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어머니가 양육하는 아
동보다 질병 위험이 더 높지는 않음(Bartlett, Orton, & Turner, 1986; Bell, Gleiber, Mercer, Hifer,
Guineter, Cohen, Epstein, & Narayanan, 1989).
* 교사의 보육행동이 바람직하며 아동의 안전도 개선됨.
- 집단 크기는 보육교사가 상호작용하는 아동의 수와 아동이 상호작용할 또래의 수를 의미하기도 하므로 아동과 보육교사 및 아동 간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침(권혜진, 이순형, 2001).
* 소집단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 및 언어적 상호작용 빈도가 더 높았고 또
래간 상호작용이 협동적, 우호적 성격을 띰.
* 대집단에서 생활하는 아동들은 소집단에서 생활하는 아동에 비해 신체적 공격성이 더 높은 경향
이 있었음.
* 소집단의 보육교사가 대집단의 보육교사보다 아동에게 쓰다듬기, 웃기, 신체적 보살핌 등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고 개별적인 대화를 더 많이 하였음. 명령, 금지, 경고 성격의 상호작용을
덜 하였고 교사와 아동의 관계가 더 친밀하고 우호적이었음.
- 보육교사 4명과 24~28명으로 구성된 큰 집단에서 생활하는 아동보다 보육교사 2명이 12~14명의
아동으로 구성된 작은 집단에서 생활하는 아동이 어린이집에서의 생활에 협조적이며 사고력이나
창의성, 사회적 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작은 집단을 보육하는 교사가 반응적이고 민감하게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것은 아동이 교사와 안
정 애착을 형성하게 하여 아동이 보다 활발한 놀이활동을 하고 공격성이나 사회적 위축성향을
덜 보이며 사회적으로 유능하고 언어발달에서도 앞서는 결과를 나타냄(권혜진,이순형, 2001;
NICHD, 1996; Whitebook, Hpwes, & Phillips, 1989).
- 발달적으로 적합한 교육활동과도 관계가 있음.
* 만 1세 아동은 6명 이하, 만 2~3세 아동은 12명 이하, 만 4~5세 아동은 18명 이하일 때 발달
적으로 적합한 활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Howes, Phillips, & Whitebook, 1992).
③ 보육유형
- 보육유형 자체의 영향이라기보다는 보육유형별로 교사 대 아동 비율, 집단 크기, 교사의 학력 및
경력, 환경, 보육활동의 체계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임.
- 대부분 가정어린이집과 기관어린이집을 비교하였음(이순형, 이옥경, 2000). 기관 어린이집이 가정
어린이집보다 놀잇감이나 교구 교재를 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갖출 수 있으며 프로그램 운영이 체
계적일 수 있음.
- 정서적 적응에는 가정어린이집이 가지는 장점이 있음.
- 가정어린이집이 아동에게 집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어 정서적
부담이 적으며 안정감을 가질 수 있어 보다 활발한 놀이활동이 이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음
(Clarke-Stewart&Gruber, 1984).
- 기관어린이집의 장점: 체계적 운영과 환경의 풍부함에서 가정 어린이집보다 우위에 있음.
- 가정어린이집의 장점: 아동이 가정에서 지내는 것과 유사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적응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
④ 보육시간
-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많이 보낼수록 사회적 유능성이 낮고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며 갈등을 더 많
이 겪는다는 결과를 보여줌(Belsky & Rovin, 1988; Vandell & Corasaniti, 1990).
-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특정 보육시간을 발견하지 못함. 보육시간과 아동의 부정적 사회
정서적 적응 간의 관계는 선형적이어서 보육시간이 길수록 아동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도 증가한
다는 결론을 내림(NICHD, 2003).
- 장시간의 보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당 45시간 이상을 보육기관에서 보내는 아동도 보육의 질만 낮지 않다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음.
* 보육기관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수록 수학적 능력이 향상되며 문제행동도 감소함.
* 질 높은 보육을 받는 아동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가 감소되었고 사회정서적 적응도 높음.
* 질 낮은 보육을 받는 아동은 장시간의 보육이 외현화 문제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나. 교사요인
① 교사 경력
- 보육경력 4년 이상인 교사가 그보다 경력이 짧은 교사보다 영유아에게 보다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며 체
계적인 교육활동을 하므로 교사경력이 긴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지만, 보육경력이 긴 교사가 보육
의 질을 낮게 평가하여 보육경력과 보육의 질 간에 부적인 관계가 나타남(현온강ㆍ 태진, 2000).
- 보육경력과 교사의 보육행동 간에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Snider & Fu,
1990; Howes, Philips, & Whitebook, 1992)도 있으므로 교사 경력이 보육을 경험하는 아동의 적
응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결론은 내릴 수 없는 상황임.
② 아동과의 상호작용
- 민감하게 반응하며 처벌적이지 않은 교사에게 보육되는 아동은 사회적으로 더 유능함(Aureli &
Procacci, 1992; Be가, 1995).
- 일방적 지시나 비판을 적게 하는 교사에게 보육되는 아동은 과제수행능력, 언어능력,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이 높고 아동이 하는 일을 인정해주고 아동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사에게 보육되
는 아동은 문제해결력이 더 높다고 함(Kontos & Wilcox-Herzog, 1997).
- 교사가 아동에게 제한을 많이 가하는 것은 울음 등 영유아의 부정적 행동과 관계가 있고, 교사가
아동을 안아주거나 도움을 주는 것 같은 관심과 애정을 표현하는 것은 영유아의 긍정적 행동과
관계 있음(Howes & Hamilton, 1993).
- 유아의 사회성발달 간의 관계
* 상호작용 질이 높을수록 유아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능력이 높음
(곽주영, 1996).
* 친밀한 상호작용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때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높고 사교적이며 친사회
적 성향이 발달함(Peisner-Feinberg & Burchina, 1997).
-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교사가 아동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아동을
대하는 경우 아동이 쉽게 적응할 수 있다고 함(원영미, 1990).

 

다. 아동요인
① 보육 시작 시기
- 생후 6개월 기준으로 어머니와의 애착 비교(일정한 결과 아님)
* 어머니와의 상호작용할 기회가 제한되어 안정적인 애착 형성이 어려움(Brazelton, 1985).
* 어머니와의 분리를 어머니가 자신을 거부하는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안정애착 형성에
덜 불리하다는 주장(Benn, 1986)
- 생후 12개월 기준으로 어머니와의 애착 비교
* 12개월 이전 주당 20시간 이상 어린이집에서 보낸 영아는 회피 애착을 형성하는 비율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들(Belsky, 1988).
* 12개월 이전이나 18개월 이전에 보육을 시작한 아동이 생후 12개월 이후나 18개월 이후에 시작
한 아동보다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김영명, 1997).
- 그러나 박경자(1992)의 연구에서는 생후 9개월 이전부터 보육을 시작한 영아, 9개월 이후 보육을
시작한 영아, 어머니가 양육한 영아의 애착 비교 결과 세 집단 간 차이가 없었음.
- 아동이 어린이집에서 보내는 시간, 어린이집의 수준, 어머니의 특성 등에 따라서 보육 시기가 아
동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
② 기질
- 보육기관에서 심리적, 신체적으로 안정되고 편안하게 지내는 정도와 문제행동에서의 개인차를 이
해하기 위해서는 보육의 질과 함께 아동의 기질도 고려해야 함.
- 순한기질의 아동은 질 높은 보육 시 공격성이 감소된 반면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은 질 높은 보육을 받아도 공격성이 감소되지 않음(Hagekull & Bohin, 1995).
- 까다로운 기질, 반응성이 높은 기질의 아동은 순한 기질의 아동보다 질 낮은 보육을 받았을 때 부
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받으며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보육기관에서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임(De
Schipper, Tavecchio, Ijzendoorn, & Zeijl, 2004).
- 기질이 측정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함. 교사의 지각
과 어머니의 지각에 따른 보육기관 적응의 문제에서 교사는 기질이 보육기관 적응에 영향이 있다
고 보았으나 어머니는 기질이 보육기관 적응과 관련이 없다고 예측한 연구가 있음(NICHE, 1998).
③ 발달
- 1,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인지발달은 모두 의사소통능력의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고 사회정서발달과 인지발달은 의사소통능력을 통해서 어린이집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임영심, 박은주, 문수백, 2012).

 

라. 가족 요인
- 가족은 아동을 어린이집에 보낼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아동을 보낼 어린이집을 선택하며 가족에서
의 경험은 아동의 보육경험과 상호작용하여 보육경험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변화시킬 수 있음.
- 지적 자극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가정의 아동은 만 1세 이전부터 보육을 시작했을 때 읽기와 인지
능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지적자극을 충분히 제공한 가정의 아동은 만 1세 이전에 보육을 시작했을 때
오히려 읽기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Caughy et al, 1994).
-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 어머니가 저학력인 아동은 보육경험이 길수록 수학능력이 높았고, 고학력인 경
우는 보육경험 기간과 아동의 수학능력 간에 관계가 없었음(이경선, 2000).
- 가족특성에 따라 같은 보육을 경험한 아동도 다르게 영향받을 수 있음.

 

마. 교사와 부모의 관계
- 서로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질 높은 보육을 구성하는 요인 중 하나임.
- 가정에 관한 정보와 기관에서의 아동 보육상황, 그날그날 아동의 경험과 정서적ㆍ 신체적 상태를
부모와 교사가 최대한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아동을 보살피는 데 참고할 정보를 얻는다는 중요성
이 있음(Bredekamp & Copple, 1997).
- 브론펜브레너는 아동이 생활하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 간의 상호관련성에 대해 강조했음. 잠재력
실현 수준과 관련됨.
- 교사와 부모가 아동과 아동의 생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서로의 관계가 강화되며 적합한
양육과 보육을 행하는 바탕이 됨.

 

3. 통합보육


1) 연령 통합
- 연령 통합보육은 한 반을 구성하는 아동의 연령 범위가 1년 이상 되도록 반을 구성하여 보육하는 방식.
- 핵가족화 및 형제 없는 아동 증가 추세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 범위가 제한적인 아동의 사회적 경
험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게 됨.
- 연령 통합교육 및 보육을 할 때 간과해서는 안 되는 요인들(Mason & Burn, 1996)
* 연령 통합 교사는 동일 연령 학급 교사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며 교육에 대한 동기나 열의가 적음.
- 연령 통합보육의 장점
* 사회성 발달 측면에서 다양한 대인관계 경험으로 사회적 유능성을 기를 수 있음.
* 경쟁적인 행동이 덜 발생하기 때문에 동일 연령 보육에서보다 아동 간의 공격적인 행동이 적게 나타남.


* 사회적으로 위축되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은 사회적 기술이 덜 발달된 연소 아동과 상호작용하
며 사회성 발달을 보충할 수 있는 기회와 자존감을 향상시킴.
* 인지발달이나 언어발달 측면에서 연소아동은 연장아동의 언어나 인지적 과제수행을 모방할 기회를
많이 가지게 되므로 발달이 촉진됨. 아동 간의 언어나 행동모방은 발달수준 차이가 너무 큰 성인
을 모방하는 것보다 쉽기 때문에 연장 아동과의 협력과정에서 학습하는 것이 학습 효과를 더욱 높
일 수 있음.
* 연장 아동은 연소 아동의 학습을 도와주면서 자신감을 증진시킴.
* 타인과 협력의 중요성을 배우게 함.
- 연령 통합보육의 단점
* 교사가 일과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데 시간과 노력을 더 많이 쏟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 교사의 적절한 훈련이 없다면 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
* 학부모의 이해부족. 연장아동의 부모는 더 어린아이들과 생활하면 인지적 자극이 불충분한 환경이
라고 생각할 수 있고, 연소 아동의 부모는 위축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

 

2) 장애아 통합
- 초기에는 비장애아와 분리된 교육이었으나 점차 분리하지 않는 통합교육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
가고 있음.
- 장애아 측면에서 통합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
* 장애아는 통합학급에서 지적인 자극을 많이 받으며 폭넓고 다양한 경험을 하므로 발달에 도움을 받음.
* 비장애아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발달적으로 앞선 행동을 모방하여 학습.
* 장애정도가 심한 아동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을 통합보육과 특수보육 상황에서 비교한 연구에서 특
수 보육 상황보다 통합 보육을 받은 장애아가 발달적으로 더 많이 앞선 연구가 있음(Hundert,
Mundy, & Vernon, 1998).
- 비장애아 측면에서 통합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
* 사람들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태도를 배움.
* 장애아 통합보육을 경험한 아동의 다양성에 대한 개방과 존중은 문화, 성, 능력 등 장애 이외의 다
른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으로까지 일반화 될 수 있음.
- 장애아 통합보육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사항
* 교사들의 부정적 태도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장애아를 대하는 두려움을 없애고 장애아에 대한 잘
못된 인식을 바로잡음으로써 개선될 수 있음.
* 장애아 보육경험이 교사의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 있는 한편, 장애아 보육경험으로
좌절감이 쌓이고 보육활동을 장애아에게 맞춰 조정해야 하는 어려움을 느끼게 되면서 장애아 통
합보육을 적용하는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결과도 있음.
* 장애아 보육에 대한 지식 부족이 장애아 통합보육의 실행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므로 교육
을 통해 교사의 유능성과 자신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
* 장애아와 비장애아의 부모는 통합보육기관에 아이를 보내는 것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에서 염려
하게 되며 장애아 부모는 소외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음.
* 비장애아의 부모는 교사의 아이의 인지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장애아 행동모방 가능
성에 대해 염려함.
* 장애아의 부모는 통합보육 상황에서도 특수보육에서 제공되는 것과 서비스가 차질 없이 제공될
것인지와 비장애아 부모들의 편견에 대해 염려함.
- 장애아 통합보육기관에 보내는 부모의 태도에 대한 조사 연구(Turnbull & Winton, 1983)에 따르
면 장애아 통합보육은 장애아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데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고 시간이 흐르
면서 아동들의 적응도도 유의미하게 상승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