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인복지론

사회복지학, 사복직,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34. 죽음과 죽음불안

반응형

34. 죽음과 죽음불안

1) 죽음


미국 의학협회(1974) 죽음의 정의
- 의학적 죽음은 뇌 기능의 불가역적 정지상태
○  WHO, (2012) 죽음의 정의
- 죽음 : 사람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사망 상태로 가는 죽음의 과정에 있는 순간
- 죽음의 개념 : 일반적으로 종교적, 영적, 철학적 신념에 기초한 추상적이고 입증할 수 없
는 죽음
- 죽음 선언 : 의학 전문가가 사람이 죽었다고 판단하여 공식적으로 죽음을 선언하는 것
- 죽음의 조작적 정의 : 사람의 죽음을 기술하는 생물학적 기준
- 죽음과정 : 살아 있는 상태에서 죽은 상태로 가는 과정
- 뇌사 :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 기능의 불가역적 정지상태에 기초하여 죽음을 진단하고 확
정하는 것
- 뇌간 사망 : 뇌간 기능의 불가역적 정지상태에 기초하여 죽음을 진단하고 확정하는 것

○  한국 의학계의 죽음의 정의
- 심장 기능이 멈추고 맥박이 정지된 상태
- 뇌의 중추부를 포함한 모든 뇌의 불가역적 기능 상실(뇌사)
- 1999년에 제정된 우리나라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은 뇌사를 죽음의 하나로 인정


2) 죽음불안


○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죽음불안
- 죽음불안은 다차원적인 개념
- 인간의 죽음과정에는 몇 가지 단계가 있고 단계마다 표출하는 감정과 죽음에 대한 태도가
다름, 이를 죽음불안 단계라고 함


<퀴블로로스의 죽음불안 5단계>

구분 내용
부정 ∙ 자신에게 닥친 죽음을 거부
∙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일단 죽음을 부정
분노 ∙ 죽음을 피할 수 없고 죽음이 자신의 삶을 통째로 중단시킨다는 사실을 깨닫고 분노를
느낌
∙ 죽음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에도 분노
타협 ∙ 운명과 타협을 시도하는 단계
∙ 종교를 믿는 사람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데, 생명은 신의 것, 신에게 봉사하는
삶이라 생각하며 죽음을 받아들이고 남은 삶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됨
우울 ∙ 더 건강해질 수도 더 젊어질 수도 없다는 사실을 알고 또 용서를 구할 시간도 많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신이 점점 약해진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단계
∙ 우울 단계에서는 슬픔을 느낌, 슬픔은 최종적인 수용 단계를 보다 쉽게 받아들이게 만듦
수용 ∙ 마지막 단계, 평화에 도달한 단계
∙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고, 자신의 지난 삶을 반추하고 자신을 충분히 존중함.
기분이 차분해지고 삶도 건강해짐. 죽음을 윤회과정의 하나로 생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