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조사론

경영학, 경제학, 경영지도사 대비 시장조사론 핵심 요점 정리 31. 측정방법과 평가

반응형

31. 측정방법과 평가

 

1) 서열척도를 이용한 측정방법


(1) 순위법(ranking)
응답자들로 하여금 어떤 속성에 대한 조사대상들의 순위를 기록하게 하는 방법
■  비교 대상이 많지 않은 경우(5~7개 정도) 용이한 방법

(2) 범주별순위할당법
■  비교대상의 수가 많을 때 이용 가능한 측정 방법. 모든 조사대상에 대해 순위를 기입하게 하
는 대신 속성의 정도에 따라 대상을 몇 개의 집단(범주)화시키고 분류하게 하는 방식

) 스파게티 시제품 개발 후 소비자에게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는 경쟁제품과 동시에 시식하게
한 후 다음
5가지 범주 중 하나에 분류되도록 함.
경쟁제품보다 맛이 월등하다.
경쟁제품보다 조금 낫다.
경쟁제품과 대등한 수준이다.
경쟁제품보다 조금 못하다.
경쟁제품보다 맛이 형편없다.

 

2) 등간척도를 이용한 측정방법


(1) 등급법(rating): 응답자로 하여금 어떤 측정 대상이 갖고 있는 속성의 정도를 글,
그림, 또는 숫자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

(2) 어의차이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 척도의 양끝에 속성의 정도를 나타
내는 서로 상반되는 수식어를 제시하고 조사대상의 속성 보유 정도에 대한 소비
자의 생각을 측정하는 방법

 

■  어의차이척도법을 통해 각 브랜드, 속성별 평균값을 산출하여, 브랜드 간 차이를 명확히 보
여주는 프로파일 분석(profile analysis)을 하게 됨. 즉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별 각 제품 속
성에 대한 응답을 하게 한 후 그 평균점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여 브랜드 별 강·약점 분석
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

(3) 스타펠척도(stapel scale): 어의차이척도법의 한 변형으로 양극단의 수식어 대신
하나의 수식어만을 평가 기준으로 제시하고 조사 대상의 속성 보유 정도에 대한
소비자의 생각을 측정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수직형으로 제시됨

 

(4)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응답자들에게 서술형으로 작성된 각 질문항목에 대한
동의 또는 반대의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
■  보편적으로 20~30개 정도의 서술문을 활용함
■  긍정적 서술문과 부정적 서술문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활용해야 함
■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총합이 높을수록 보다 호의적인 태도임을 의미함. 따라서 점수
취합 시
, 부정적 서술문의 경우 역으로 점수를 환산하는 것이 필요함
■  )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 사이즈가 크다.’의 경우 부정적 속성을 가진 질문이므로
+5점으로 평가되었을 시, 이는 +1점으로 조정해야 함을 의미함

(5) 등간척도를 이용한 측정방법에서의 고려사항들
■  ① 응답범주의 수
- 조사자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응답범주의 개수를 결정하여야 함
- 가장 널리 이용되는 응답범주의 수는 5개이나 최근 추세는 7개를 사용하기도 함(즉 1점에
서 7점까지 선택지를 부여함)
- 또한 선택지를 제시할 때, 홀수 개로 설정한 경우에는 중심화 경향(즉, 보통이라는 점수)
보일 수 있으니, 짝수 체계로 설정하는 것도 있음. 이 경우 실제로 중립적인 의견을 가
지고 있을 수 있는 응답자가 강제적으로 부정 혹은 긍정적 의사를 표현해야 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해야 함
- 응답범주가 7개 이상인 경우 응답자가 정확히 자기 생각을 답변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 수
집된 정보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② 수의 표현 방법
- 일반적 척도는 1점으로부터 출발하는 양(+)의 수로 표현함
- 하지만 가운데 척도를 0으로 좌우 항목을 양(+)과 음(-)의 수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함

■  ③ 기준점(anchor point)의 설정
- 속성의 정도를 표시할 때, 속성의 빈도를 고려하여, 좌우측에 배열하는 것을 고려함
- 보편적으로 응답자들은 왼쪽편(1~2번 항목)을 오른쪽(4~5번)보다 더 많이 선택하는 경향
을 보여주고 있음
- 따라서 보수적이고 신중한 입장을 취해야 하는 상업적 시장 조사에서는 부정적 평가항목
을 왼쪽에 제시하여 평가 결과가 실제보다 더 좋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3) 비율척도를 이용한 측정방법


(1) 총합고정척도법(constant sum scale): 응답자들에게 일정한 수(예. 10점 혹은
100점)를 주고 이 점수를 속성의 상대적 다과에 따라 여러 측정 대상들에게 나누
어 주게 하는 방법

■  다만 총합고정척도법의 경우 속성의 수가 많아지면 응답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어,
유사한 내용을 묶어 상대적 중요도를 먼저 측정하고, 도출된 가중치에 따라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2) 비율분할법(fractionation): 대상들의 속성 보유 정도를 평가할 때 한 속성의 보유
정도를 기준으로 다른 속성들을 상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

4) 측정의 평가


(1) 조사를 통한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2) 오류의 종류
■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오류
- 응답자가 항상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대답하는 성향을 가진 경우
- 응답자의 지식 수준의 한계로 질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회피할 때
- 응답자의 조사 시점에서의 일시적 특성으로 인한 오류
- 장시간에 걸친 조사로 응답자가 피곤하거나 시장하여 응답에 성의를 보이지 않는 경우
■  자료가 수집되는 상황으로 인한 오류
- 조사 장소의 주변 환경 이슈로 응답자가 집중해서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 주위의 소음이 심한 경우, 날씨가 덥거나 추워 응답을 꺼리는 경우 등
■  응답자와 질문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오류
- 응답자와 질문자의 성별, 출신지역, 직업 등이 상이하여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로 정치적으로 민감한 부분에 대한 조사의 경우 대학생 조사원과 주부 조사원이 질
문을 하는 경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설문지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자료 처리 상의 오류


(3)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  신뢰성과 타당성의 개념
- 신뢰성(reliability): 비체계적(non-systematic) 또는 일시적(transient) 오류의 발생을 의
미함. 응답자가 피로하여 혹은 항목을 잘못 이해하여 잘못된 응답을 하였다면 다음번에
같은 조사를 실시하게 되면 올바른 응답을 할 수 있어, 동일한 응답치가 나타나지 않음.
즉 어떤 상황에서든지 응답자가 동일한 응답을 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의미함
- 타당성(validity): 측정항목에서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오류의 발생 정도를 의미함. 이는
결국 응답자의 잘못이 아니라 조사지의 항목이 잘못 설계된 것으로 반복적 측정을 하여
도 그 오류가 계속하여 발생하게 됨
■  신뢰성과 타당성이 요구되는 이유
- 추상적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개념이 반영된 문항을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게 됨
- 개념은 하나의 문항 혹은 여러 개의 문항을 사용해 측정할 수 있는데, 보편적으로는 여러
개의 문항을 통해 개념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 예) 개인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지능의 여러 영역(수리, 언어 등)을 반영하는 문항을 개
발하여 동시에 활용하는 것


(4) 신뢰성 평가방법 및 개선방안
■  반복측정 신뢰성: 유사한 상황하에서 동일 표본을 대상으로 동일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반
복적으로 측정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 두 측정점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거나
두 점수가 일치되는 비율이 높은 경우에 측정의 신뢰성이 높다고 함
■  두 가지 측정 도구를 이용한 신뢰성: 두 개의 유사한 측정도구(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한 수 두 자료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는 것
■  내적 일관성에 의한 신뢰성: 동일한 개념을 여러 문항으로 질문하여 이러한 항목들이 유사한
값들을 갖는지를 측정하는 방법, 내적 일관성에 의한 신뢰성은 이용하여 측정됨
■  신뢰성 향상 방안

■  설문지의 문항별 설명을 명확히 하여 응답자별로 해석 상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조사원들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설문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하고, 질문방식을 표준화시킨다.
■  답례품을 증정하여 성실한 응답을 구하거나, 길거리가 아니라 제과점, 카페 등과 같은 장소를
단기간 임대하여 조사를 함으로써 기후, 소음 등의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제거한다.
■  성의가 없거나 일관성 없게 응답한 경우 설문지 자체를 폐기시킨다. 이러한 자료가 분석에 이용될
경우 오히려 잘못된 조사결과가 발생하므로 차라리 잘못된 응답이 포함된 설문지를 제외시켜
표본의 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  중요한 질문의 경우 유사한 질문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질문을 하고 대답을 구한다.
■  기존의 조사를 통해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된 설문지 또는 측정항목을 이용한다.
■  코딩, 펀칭과 같은 자료처리과정의 검증을 강화하여 자료처리상의 오류를 줄인다.

 

 

(5) 타당성의 종류 및 개선방안
■  타당성(validity): 조사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히 측정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
■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측정항목이 연구자가 의도한 내용을 실제로 측정하고 있는가
에 대한 평가, 측정항목의 내용타당성은 조사영역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연구자의 주
관적 판단에 의하여 결정되며 명목타당성(face validity)이라고도 함
■  개념타당성(construct validity): 측정문항들이 조사하려는 추상적인 개념을 충분히 반영하였
는가에 관한 것으로 판별 타당성과 집중타당성을 토대로 평가함
-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하나의 측정항목으로 서로 상이한 개념을 측정할 경우
이들간의 상관관계가 낮다면, 판별타당성이 높음
-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하나의 개념을 서로 다른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이들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면 집중타당성이 높음
■  타당성을 높이는 방법
- 연구담당자의 마케팅의 전반 영역에 대한 깊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
- 이미 타당성을 인정받은 측정방법을 이용하는 것
- 상관관계분석과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상관관계가 낮은 항목들을 제거한 후 관계가 높은
변수들만을 개념측정에 이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