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43. 마르크스의 불평등 이론

반응형

43. 마르크스의 불평등 이론

1) 유물론적 불평등이론과 계급


- 인간은 생존을 위해 물질적 경제적 조건을 재생산해야 하는데 이것이 이루어지는
사회관계가 생산관계. 생산관계는 소유와 잉여를 둘러싼 지배 종속 관계이며 이러
한 관계는 역사적으로 변화함.
- 생산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된 지배와 갈등 관계, 적대 관계에 있는 몇 개의 커다란

집단을 ‘계급(class)’으로 봄. 계급은 경제 차원의 사회 분열과 적대 관계를 내포
함. 계급관계는 각 역사적 시기에 나타난 생산관계의 성격에 따라 변화하면서 계
급갈등을 일으킴
- 마르크스는 생산관계를 토대로 정치, 이데올로기, 문화 등 정신적인 삶의 영역들의
재생산이 이루어지며, 궁극적으로 경제적 관계가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관계들(상부구조)의 성격을 규정한다고 봄으로써 경제적 불평등이 정치적, 문화적
불평등의 성격을 규정하는 근본적인 조건이라고 봄.


2) 생산수단의 소유와 양대 계급


-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 계급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
- 봉건사회의 생산수단은 ‘토지’이며 노예사회의 주요 생산수단은 ‘노예’ 자체, 자본
주의 사회의 생산수단은 공장, 기계, 원료, 화폐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본’.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을 소유하면서 타인을 고용하고 노동력(잉여가치)를
착취하여 이윤을 남기는 ‘자본가계급’과,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하여 생계를 위
해 자본가에게 고용되어 생산노동을 하고 임금을 받는 ‘노동자 계급’으로 나뉨.
이들을 자본주의 사회의 양대 계급이라고 봄.


3) 프티부르주아(petite bourgeoisie)


- 자본주의 사회의 양대 계급은 자본가와 노동자이지만 중간에 소자본가계급인 프티
부르주아지도 존재. 부르주아지인 유산계급과 프롤레타리아인 무산계급 사이에 존
재하는 ‘작은 부르주아지’라는 뜻.
예: 수공업자, 소상인, 서비스업자와 지식인을 비롯한 자유전문직 종사자, 공무원 등
- 프티부르주아지는 스스로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자신이 직접 생산에 참
여해야 하는 계급.
- 자본가계급, 프티부르주아지, 노동자계급이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적 계급 분류라고
봄.
-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발달하게 되면 프티부르주아는 대자본가와의 경쟁에서 뒤
떨어져 노동자 계급으로 전락한다고 봄.


4) 계급과 계급의식


- 마르크스는 계급으로 분할된 사회구성원들이 ‘적대적 경제구조’의 지속적인 영향으
로 ‘계급의식’, 즉 집단적인 적대의식과 내부적인 동류의식 또는 계급으로서의 자
기의식을 갖게 된다고 함.
- 생산관계 속에서 객관적으로 특정한 계급위치에 속해 있지만 계급으로서의 자기의 식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상태의 계급이 ‘즉자적 계급(class in itself)’, 자기의식
을 지닌 상태의 계급을 ‘대자적 계급(class for itself)’으로 구분. 즉자적 계급은
생산수단과의 관계에서 동일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집단의 범주라면 대자적 계급
은 자신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면서 조직화된 집단을 의미.


5) 객관적 계급과 계급형성


- 진정한 계급은 ‘대자적 계급’이라고 말해지기도 함.
- 객관적 계급위치가 저절로 계급의식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의 교류를
통해 이해관계의 동질성을 깨닫고 동류의식을 지닌 집단으로 형성되어야 실질적
인 의미를 가짐.
결국 마르크스의 불평등과 계급이론은 단순히 소유나 분배에서의 불평등과 계급
분할을 서술하는 정도를 넘어서, 경제적 생산관계에 기초해 다양한 사회관계가 상
호작용하면서 계급형성과 계급투쟁을 통해 한 사회가 재생산되고 변형되는 역사
적 과정을 설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