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45. 마르크스와 베버, 계급과 계층의 비교

반응형

45. 마르크스와 베버, 계급과 계층의 비교

1) 마르크스와 베버의 불평등 이론 비교


- 둘 모두 경제 불평등을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른 계급 개념을 통해 설명하지
만 베버는 계급을 시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여러 하위 계급으로 세분화해서 설명.
- 베버에게 계급은 불평등의 다양한 차원—계급, 지위, 파당—중 하나이므로 그의 계
급이론은 불평등이론의 한 영역에 속함.

- 베버는 불평등의 가장 기본은 권력이라 파악하기 때문에 권력 중심 다원론의 불평등 이론
- 마르크스는 소득이나 소비와 같은 분배관계에서 계급의 근거를 찾으려는 방법을
비판하면서 분배관계는 생산관계의 외적 표현에 불과하다고 봄. 소득과 부는 계급
관계의 산물이며 지위와 파당 역시 계급관계에 의해 규정되며 독립적인 기원을
갖지 않는다고 봄.


<마르크스와 베버의 계급 분류 비교>

마르크스의 분류 베버의 분류
1. 부르주아지(자본가계급)
2. 프티부르주아지(소자본가계급)
3. 프롤레타리아(노동자계급)
1. 유산자
1) 기업가
2) 금리생활자
2. 무산자
1) 중간계급
2) 숙련노동자
3) 반숙련노동자
4) 미숙련노동자

2) 계급과 계층


- 계급과 계층의 차이
계급은 사회집단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인 반면, 계층은 관계적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범주의 성격.
■  계급은 지배-피지배 관계나 적대 관계를 포함하고 있어서 같은 집단에서 소속감을 지닐 수
있는 반면, 계층은 집단의식을 형성하거나 조직을 이루어 집합적 행동을 벌이는 주체나 세력
이라는 의미가 없고 단순히 서열적 귀속의식에 불과함.
■  계급은 경제 불평등을 분류의 기준으로 삼는 반면, 계층은 다원적인 분류 기준. 마르크스나
베버의 계급은 모두 ‘생산관계’나 ‘시장상황’과 같은 경제적 요소에 따라 분류되고 계층은 소
득이나 재산 이외에도 교육수준, 직업, 생활양식 등 여러 요소를 포함.
- 계급 분화
■  자본가에 고용되어 있으면서도 다른 노동자를 관리, 감독하고 통제하는 위치에 있는 상층노
동자들이 생겨나게 됨. 전통적인 구중간계급인 프티부르주아와 구별하기 위해 ‘신중간계급’
이라 부름. 이들은 구중간계급과 달리 자본을 소유하지 못하여 자본가에 고용되어 있으나 전
문적 지식이나 능력으로 관리자로서 자본가로부터 위임받은 일정한 권력을 지님.
■  노동자 계급 내부에서는 직종에 따라 생산직, 사무직, 기술직, 고용상 지위에 따라 정규직,
비정규직으로 분화
■  자본가계급은 산업자본가와 금융자본가, 독점자본가 등으로 분화

 

<계급과 계층의 차이>

계 급 계 층
생산수단의 소유 및 통제를 둘러싼
사회관계에 따른 분류
재산이나 소득의 수준에 따른 임의적 분류
사회적 성격 공유 분석적 필요에 의한 통계적 범주
역사적 변동 초역사적 성격
계급의식, 집합적 행동 피상적·서열적 귀속의식
경제적 불평등 다원적 불평등

3) 사회 이동의 개념과 유형


- 사회이동이란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적 위계상 다른 위치로 옮겨가는 것을 말함.
이때 사회적 위계는 주로 직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기준으로 삼음. ‘상승이동’
이나 ‘하강이동’처럼 사회적 평가가 서로 다른 지위 간의 이동인 ‘수직이동’을 의
미하는 경우가 많음.
- 사회이동의 유형
■  한 개인이 일생 중 두 시점 사이에서 경험한 직업적 지위의 이동을 ‘세대 내 이동’이라 하고,
두 세대 이상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계급, 계층의 이동을 ‘세대 간 이동’
■  직업의 지위가 상승한 것으로 보이지만 산업 구조의 변화로 전체 사회에서 비슷한 지위를
점하고 있는 것을 구조적 이동이라 하고, 세대 간의 수평이동을 의미
■  예: 가난한 농부와 중소기업 노동자 아들은 직업 지위 상승으로 보이나 상대적 시점으로 보
면 부모나 자녀가 전체 사회에서 비슷한 지위를 차지하므로 지위의 계승임.
- 사회이동과 사회의 유형
■  수직이동, 세대 간 이동이 자유롭고 많이 일어나는 사회를 개방형 사회, 사회이동이 어려운
사회를 폐쇄형 사회
■  사회이동의 개방성이 평등한 사회의 지표는 아님. 계층 격차가 큰 피라미드형 사회에서도 사
회이동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고 계층격차가 작은 사회에서 사회이동이 활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