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7.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7

반응형

67.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7

조우관 등 복식 예시

■ 발해·통일신라 남성 의복


1. 발해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단령
단령의 형태는 둥근 깃에 길이가 매우 긴 겉옷으로 관리는 물론 일반인들도 착용할
수 있었음
관리들이 착용하는 경우 계급에 따라 자색, 짙은 색, 연한 붉은색, 녹색으로 옷 색을
다르게 정하였음

단령의 길이는 매우 길어 발등을 충분히 덮었고, 지면에 닿을 정도로 길었음
양 옆이 트여 있는데 그 트임은 허벅지 정도까지 트여 안에 입은 바지 등의 옷 색을
볼 수 있었음
통일신라와는 달리 아랫단에 덧댄 단 장식인 란(欄)의 흔적을 볼 수 없어
통일신라와는 다른 형태의 단령이라 할 수 있음
반면 소매는 매우 길어서 손을 덮고도 남으며 소매통도 매우 풍성함

 

2) 반비
단령 외에 반비를 입고 있는 사람은 반소매 끝에 옷의 색과는 다른 색으로 장식적인
주름선을 댄 것으로 보임
장식적인 주름선은 한 층이 아니라 두 층으로 되어 움직일 때마다 운동감이나
리듬감을 강조한 복장으로도 볼 수 있음
소매 길이가 상박 중간까지 오는 특성 외에는 단령과 마찬가지로 옷의 길이가 긴 편임

 

3) 허리띠
허리에 과구 장식이 있는 가죽띠를 찼는데, 허리에 꼭 끼이게 찬 것이 아니라 약간
헐렁하게 찼음

 

4) 복두
복두는 산 모양이 부드럽게 앞으로 기울어진 모습이며, 복두를 4개의 끈으로
고정하여, 2개는 앞쪽에서 묶었고 2개는 뒤쪽으로 늘어뜨렸음
묶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여 복두 앞쪽의 턱진 부분에 묶인 모습이 어떤 것은
섬세하게 장식적으로 묶었고, 어떤 것은 다소 거칠게 묶었음
복두의 끈을 묶는 방법에 규칙성보다는 개인의 취향이 반영되어 묶은 것임을 알 수
있음

복두 뒤에 늘어뜨린 끈이 단순한 끈 모양이 아니라 긴 물방울 모양으로 길게 드리워
장식하고 있고, 복두 뒤쪽의 끈 2개가 늘어져 있는 것은 통일신라의 복두와 다름
말액(抹額)으로 머리를 둘렀는데, 특히 붉은색 천으로 감아 그 끝을 앞머리에서
장식적으로 매듭지어 올린 것이 뒤쪽의 검은색과 대비되어 강렬하면서도 호화로운
효과를 주며 근엄하고도 활달한 느낌을 주었음
말액(抹額) : 맨 머리나 복두에 둘러쓰는 건

조우관 등 복식 예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