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6.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6

반응형

66.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6

 

■ 발해·통일신라 복식


1. 발해 복식의 일반적 특징


지위에 따라 달랐고 방한용으로 담비나 표범 가죽으로 만든 가죽옷을 입었음
발해의 담비 가죽은 수출품으로도 유명하였고 용주의 면포와 옥주의 면, 현주의 포
등 직물도 유명했음

 

2. 통일신라 복식의 일반적 특징
기존 신라 복식을 바탕으로 중국의 당나라와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음
흥덕왕은 “다른 나라의 것을 진기하게 여기고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풍조가 가득하다”하여 이를 고치려 했음
각 계급의 남녀 별로 사용 가능 한 것과 사용 불가능 한 것을 구분하여 상세하게
규정하였고, 계급에 따라 재질의 품질을 결정하였음
다양한 공예 기술과 재질은 당시 생활상태를 추정할 수 있고,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기술적으로 발전한 것을 알 수 있음

 

관리들의 복장
- 단령은 통일신라의 관리복
- 깃이 둥근 단령(團領)에 머리에는 복두라는 모자를 쓴 차림이었음
- 머리에 쓴 복두는 네 가닥의 끈이 달린 모자로, 산봉우리를 연상케 함
- 복두는 중국에서 관복과 함께 도입된 것으로 알려짐
- 그 착용 방법은 네 가닥의 끈 중 두 개는 모자의 앞쪽 턱진 부분에서 묶고 두 개는
뒤쪽에서 묶어 늘어뜨리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

- 복두는 통일신라 시대에 남성이면 누구나 착용할 수 있는 모자로, 신분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었으나 재질을 아주 고급의 비단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감에 따라 834년 흥덕왕 때부터는 일반 비단이나 포로 제한하여
만들게 하기도 하였음
- 깃이 둥글게 만들어진 데서 연유된 이름
- 단령은 길고 둥글게 만든 옷깃으로 목을 둥글게 감싼 후 매듭 단추로 오른쪽
어깨에서 여미어 입는 것임

- 중국의 당나라에서 도입된 것이나, 당나라 역시 실크로드의 다른 지역에서
도입하여 관복으로 착용한 것
- 새로운 형태의 의복이었기 때문에 남성은 물론 여성들도 입어 크게 유행
- 단령이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관리들의 관복으로 착용
- 관복은 옷단에 덧단을 댄 것이 특징

- 단령 아랫단 중간에 있는 가로선이 바로 덧댄 단이며, 이것은 란(欄)이라고도
하였음
- 소매는 소매통이 비교적 넓고 풍성한 것이 특징
- 단령은 마치 상의와 하의로 나누어진 것 같아 보이지만, 허리에 대(帶)를 두르고 대
위로 옷을 빼내어 그렇게 보일 뿐 실제로 상, 하로 나뉜 것은 아님

복두를 쓴 토용
홀을 든 토용
이현 묘의 사신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