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4.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4

반응형

64.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4

 

■ 발해·통일신라 건축


2. 통일신라의 건축 양식

 

포석정
안압지

3) 불사건축
금당이 가람의 중심이 되었으며 금당의 전면 양측에 2개의 탑을 세움
중기 이후 밀교, 선종의 성행으로 내적성찰을 중요시하게 되어 산지가람을 조영
불국사, 경북 경주, 536년(법흥왕 27년) 창건
김대성에 의해 건축
다보탑과 석가탑을 중심으로한 이탑식 가람배치
이탑식 가람배치 : 감은사지(경북 월성), 사천왕사지(경북 경주), 망덕사지(경북
경주), 천군리사지(경북 경주), 실상사지(전북 남원), 석굴암(경북 경주 토함산)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4) 주거건축
신라와 통일신라의 주거건축은 상호유사하며 시대적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당시의 주거양식에 관한 기록이 전래
- 건축규제와 가사제한
골품제도에 의해 주거양식을 제한
신분계급에 따라 대지의 규모, 주택의 규모와 사용재료 등을 제한
- 기후조건으로 보아 마루구조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온돌의 사용여부는 불분명

 

■ 발해·통일신라 예술가
1. 발해의 예술가
1) 기진몽
발해의 사진자격으로 일본에서 기진몽 일행은740년 정월에 ‘본국의 음악’을
연주했음(발해음악의 최초기록)


2) 대간지
발해 유민출신으로 작은 경치와 함께 소나무와 돌을 잘 그렸으며 산수화에 뛰어난
화가였음(원나라 때 편찬된 ‘도회보감’ 기록)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다방면에 걸쳐 우수한 미술이 발달함
- 회화 : 송석과 대간지의 이름이 전해지고 있음
- 발해의 그림은 정효공주 묘의 벽화에서 추정가능함
- 불교미술과 조각 발전함
- 발해의 공예 : 화문, 토기/미술 등의 토제공예, 금속공예 발달

 

발해의 토기
v 고구려계
- 흑색, 회색계의 높은 온도에서 구운 토기로 표면은 매끈하게 연마되어 있음
- 고구려 토기와 많이 유사함
v 말갈계
- 적갈색이며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토기 입구에 덧띠무늬가 부착되어 있음
- 당나라의 삼채기법을 받아들여 만들어짐

 

말갈식 토기, 바리
고구려식 토기, 항아리
청동목걸이, 마차부속구, 청동방울
골제장식판, 토제인물상, 뒤꽂이
청동허리띠
철검
부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