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예
1) 브루코버(Brookover) 연구
■ 브루코버 등은 학교의 사회체제는 학생들이 내면화하는 역할, 정의, 규범, 기대, 가치, 신념
등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들이 학업성취, 학문적 자아개념, 다른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
다고 주장함
■ 따라서 학생행동과 학업성적은 투입(교사, 학생의 질), 사회적 구조, 학교의 사회적 풍토의
학교 간 차에 의해 설명이 될 수 있다고 함
■ 브루코버는 68개 학교를 연구했는데, 이중 61개교가 백인이 과반수가 넘는 학교였고 흑인학
교는 7개교였음
■ 분석을 위해 학교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을 짝지을 수 있었음
■ 자료는 평가보고서, 학생, 교사, 교장용 질문지에 의해 수집됨
■ 사회적 특성은 학교의 평균적인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학교의 백인 학생들의 비율로 정의됨
■ 그 밖의 학교 투입측정은 학생집단의 크기, 학생들의 평균출석률, 학생 1,000명당 교직원 수
와 교사 경력 같은 것이었음
■ 학교의 사회적 구조에 관련된 요소에는 부모참여, 학생 프로그램의 분화정도, 학급조직의 개
방성, 시간배당, 학교구조에 대한 교직원의 만족도 등이 포함됨
■ 브루코버 등의 연구에서 학교풍토는 학교사회체제에 대한 참여자가 지각하는 규범, 기대,
신념의 총체로 정의됨
■ 학업성적 측정은 Michigan School Assesment의 40개 목표의 각각을 완전 학습한 학생들
의 평균비율로 했음
■ 19개 문항은 독서력 검사이고 30개는 수학에 관한 것이었음
■ 자아개념은 자기에 대한 지각을 말하며, 사회구조, 풍토, 결과 변인에 관한 많은 것들이 질
문지에 의해 평가되었음
■ 사회구조와 관련된 5개 요인들이 사회적 특성이나 다른 투입변인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지고 있고, 측정에서도 관련이 되지만 전적으로 사회적 특성에 의존하고 있지는 않음
■ 학교풍토의 측정은 학생집단 특성과 상관이 높음, 학생들의 학구적 무력감은 학교구성원 전
체(학교집단)의 특성과 .87의 높은 상관이 있었음
■ 별개의 다른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모든 투입, 구조, 풍토변인들은 어느 정도 서로 상관이 있었음
■ 종속변인인 학업성적과 자아개념이나 자기 신뢰감과는 브루코버 등의 이전의 연구에서는
긍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상관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음
■ 일반적으로 높은 학업성적은 자아개념감, 자기 신뢰감과 관계가 없으며, 학교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을 보면 적어도 학교의 풍토와 구조변인과의 다양한 조합과 관계 된다고 볼 수 있음
■ 보고된 학교의 선정기준은 유사한 인종적 배경, SES 수준, 성적, 도시지역학교 등임
■ 연구된 결과는 고(高)성취 학교와 저(低)성취 학교를 구별 지어 주는 몇 가지 일반적 차이점
들을 보여주고 있으나 높은 학교 간에서도 상당한 편차가 있었음
■ 높은 성적의 학교에서 보면 수업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입하고 있고 새로운 개념이나 문제 등
을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투입하고 있음
■ 교사와 학생 간에 학문적인 교류가 빈번하고 백인학교에서는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전체
에 걸쳐 빈번히 일어나고 있었음
■ 낮은 학교에서 보면 교사는 행정적 일에 매달리는 동안 학생들은 노는 시간이 많았음
■ 결론적으로 요약해 보면, 백인학교가 흑인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높기는 하지만 높은 학교에서
는 수업에 보다 많은 시간이 할당되어 있었다는 것임
■ 브루코버 등의 연구를 요약하자면, 교사, 교장 학생들이 학업성적의 향상가능성이 있다고 믿을
때 학교풍토는 학습으로 이끌어지며 학생들 성적이 보다 높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음
■ 이러한 자료들은 상호 관련성이 있고 상관관계가 있음
■ 브루코버 등의 연구는 학교의 투입요인이 학교과정과 독립하여 학생성취결과(성적, 자아개
념, 자기신뢰감)를 예언해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예시해 주는 하나의 종합적이고 성공적인 시도였음
■ 또한 사례연구는 다양한 투입요인을 가지로 있는 학교는 학교 내의 풍토나 구조적 특성 때
문에 학생성취에 서로 다른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음
■ 더욱이 풍토변인들은 투입변인이 설명할 수 있는 만큼 성취에 있어서의 많은 변량을 설명하고 있음
2) 루터(Rutter) 연구
■ 3년간에 걸친 12개 중학교에 대한 연구에서 학구적인 면과 사회적인 면에서 향상을 보인
학교를 발견했음
■ 런던에서의 10세 아동에 대한 조사연구가 이미 1970년에 시작됨
■ 지능수준과 독서성취에 대한 평가 자료는 한 런던지역의 빈민 초등학교 아동들로부터 수집됨
■ 1974년에 재검사가 실시되었음
- 1970년인 10세 때 검사를 받은 대다수의 아동이 취학하고 있는 20개 학교에 집중적으로 실시 됨
■ 비행의 비율이나 성취문제에 있어서 학교 간에 큰 차이가 있었음
■ 학교 간 결과의 차이들이 투입에서의 차이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느냐 하는 문제였음
■ 자료는 단지 결과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20개 중학교가 취급해야만 하는 투입요인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었음
■ 학교 간 투입 특성의 큰 차이를 통계적으로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이며 통계적으
로 의의 있는 학교 간 차이가 있었음
■ 가장 유리한 학생들을 가지고 있는 학교가 반드시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도 아니며,
유사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가진 학교가 때로는 엄청나게 다른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음
■ 한마디로 14세 학생의 행동과 비행률은 가정배경 요인이나 10세 때 검사한 학생의 검사나
설문점수에 의해서 설명 될 수가 없다는 것임
■ 그래서 다시 신중히 조사하기 위해 20개 학교에서 12개 학교로 줄여서 조사함
■ 각 학생들로부터 수집된 세 가지 측정치는 10세 때의 언어 분별 점수, 아버지의 직업, 학생
의 행동발달 점수 등이었음
■ 이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어떤 특정 이론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학교과정이
중요하다는 기존의 생각에 기초한 분석도 아님
■ 일반적으로 검토된 과정은 7가지의 폭넓은 개념 영역으로부터 도출됨
■ 연구과정에 대한 자료는 교사와의 면접, 학생들에 대한 설문자료, 학습관찰 자료임
■ 일련의 중요한 관찰들은 일주일 간의 관찰로 구성되었다는 중간 수준의 학생과 3학년 학급
에서 실시됨
■ 관찰기간은 제일 먼저 교사에 대해서 다음으로는 선택된 개별학생 그리고 전체 학급에 초점
을 맞춘 코드 분류로 분류함
■ 관찰자들은 교사와 아동과의 상호작용과 상벌관계, 그리고 아동에 대한 호악(好惡)의 감정을
관찰하고 코드화 함
■ 연구자들은 행동의 발생뿐만 아니라 거기에 참여하는 학생 비율도 보고하고 있음
■ 예를 들어, 학생의 과제 행동에 대한 평균 참여 학생이 85%라든가, 교사의 시간 중 75%가
수업교과에 보내지고 있다든지 하는 것임
■ 그 밖에도 운동장에서의 행동의 관찰, 학생활동의 기록, 그리고 학생들 간 물리적 폭력의 기
록 같은 일을 함
■ 조사자는 5개의 측정치를 각 학교의 서로 다른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했는데 (예컨대, 출
석, 학생행동, 시험합격, 취업-비행 등), 여기서 논의는 성적과 출석 그리고 학생 행동과 관
련짓고 있음
■ 조사자는 많은 변량과 차이들을 통제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 간에 출석률이나 학생행동
(예: 지각, 과제행동으로부터의 이탈-무관심, 파괴적 행동 등)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
■ 난폭한 학생이 있는 학교라고 해서 반드시 가장 나쁜 학급행동을 보이고 있지는 않았음
■ 학교 간 차이로 성적을 비교하는 일은 어렵지만 12개 학교에 걸쳐 학습진척도를 비교함
■ 학생의 전출입에 따른 편차를 통제했음에도 여전히 성적에 있어 학교 간 차이가 뚜렷했음
■ 학구적인 강조가 학업성적을 올리는 것과 관련이 있었음
■ 예컨대, 숙제를 내주는 것이 안 내주는 것보다 효과가 있었음
■ 숙제를 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그리 많지 않으며 평균 15~30분 정도였음
■ 학문적 강조의 다른 측면은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관련됨
■ 학구적 기대에서 볼 때 하위 1/3에 쳐져 있는 아동들(두 학교의 경우)이 처음에 학생능력을
판별할 때에는 상위 1/3이었음
- 이 예는 기대가 성적차를 만들었다는 증거임
■ 더욱이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의 주간 일과시간의 비율이 학생성적과 관련되고 있음
■ 그 차이는 학교에 따라 219시간~242시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학구적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학교일수록 학구적인 아동들이 보다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음
■ 행실이 바르고 참여적인 학급은 효과적인 수업과 생산적인 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성공적인 학교의 교사들은 학생들과 개별적으로 관계 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관계함
■ 또, 교사들의 빈번한 간섭은 학생들의 과제 이탈을 증가시킴, 그러므로 간섭은 배제하는 게 좋음
■ 그리고 과제 시작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좋은 학생 행동과 결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음 상
과 벌의 효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벌은 학습에 효과가 없으며, 보상이 보다 효과가 있음,
그러나 보상도 간헐적으로 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주시해야 함
■ 시설 활용에 대한 자유로움 이라든가 편의 등에 대한 14개 항목을 척도화에서 조사해 볼 때
높은 점수를 받은 경우에 시험 점수도 높았음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42. 평생교육의 발달 (3) | 2023.11.05 |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41.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과 제언 (1) | 2023.11.04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39.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유형 (4) | 2023.11.02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38. 효과적인 학교연구 (5) | 2023.11.01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37. 효과적인 학교의 의미 (2)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