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42. 평생교육의 발달

반응형

42. 평생교육의 발달

오늘날 세계적으로 평생교육의 파고가 힘차게 일고 있음, 이는 전통적으로 강조해 온 학교
본래의 교육적 기능이나 역할을 무시하거나 부정한다기보다는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교
육에 대한 시대적 요청이며, 교육개혁의 한 양태임
■  어떤 의미에서 평생교육의 출현은 기존 교육 체제에 대한 도전이며, 새로운 교육관 형성이
며, 더 나아가 이것은 기존 교육 체제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인 혁명이라고도 함
■  현대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동, 지식, 기술의 기하급수적 증가,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기
존의 학교 교육만으로 삶의 질을 향상 하는 데에는 많은 제한이 따르게 됨
■  따라서 지금까지 일정한 시기에 제한된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정된 내용과 방법으로 영위해
온 형식적 교육만으로는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고, 인간이 생활
하는 모든 공간에서 형식적, 비형식적으로 평생 동안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임
■  다시 말해서 현대 사회는 변동하는 사회이기 때문에 일정 시기에 걸쳐 실시되는 형식적인
학교 교육만으로는 사회에 나와서 인간답게 살 수 없으며, 또 정보화 사회이므로 모든 사람
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지식,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이 끝난 후에도 평생을 두
고 배우지 않을 수 없게 됨
■  오늘날 거론되고 있는 세계 교육 개혁의 기본 개념으로서의 평생교육 개념은 1965년경부터
그 구체적인 이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음
■  이 개념은 불과 몇 년 되지 않아서 전 세계에 급격하게 파급되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헌법
에 삽입되었음 (제 31조 5항, 6항)
■  아직 평생교육은 개념정립으로부터 그 체제 확립을 위한 내용적, 방법적 그리고 제도적으로
많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는 실정임


1) 평생교육의 필요성


■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이라는 용어는 1965년 유네스코의 성인교육추진 국제위원회
의 랑그랑(P.Lengrand)이 구상한 개념
■  1970년에 「평생교육 입문」이라는 저서를 발표한 후에 평생교육의 개념을 정의함
■  그는 계속 평생교육에 적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국제회의와 세미나를 개최하여 대표적인
연구 보고서인 「미래를 위한 교육(Learning to Be)」을 다시 유네스코에서 출판함
■  평생교육의 개념은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국제적 용어로 알려진 것은 1972년 동경에
서 개최된 제 3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이후의 일임
■  그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1973년 8월 춘천에서 ‘평생교육 발전 세미나’를 개최하여 평생
교육의 개념정립과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의 방향을 협의함
■  랑그랑은 평생 교육의 필요를 자극하는 현대 사회 여건으로 다음에 몇 가지를 지적하고 있음
- 현대의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와 인구의 증대
-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의 발달
- 민주화를 위한 정치적 도전
- 매스컴의 발달과 정보의 급증

- 경제적 수준 향상과 여가의 증대
- 생활양식과 인간관계의 상실
- 이데올로기의 위기
■  이와 같이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는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해 가는
동시에 새로운 발전을 계획하고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모든 교육 역량을 총동원할 뿐만
아니라 과거의 비능률적인 교육체제를 혁신적으로 개편해야 함을 강조함
■  따라서 평생 교육은 사회와 문화의 변동, 과학기술과 의학의 발달, 산업 및 직업 구조의 변
화, 그리고 학교 교육의 한계성으로 인한 교육의 위기 등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요청된 것임
■  평생교육의 출연은 무엇보다도 학교 교육의 기능이 약화 내지 상실된 데에서 비롯됨
■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 구조가 다원화 되면서, 학교는 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한낱 사회
적 지위 상승이란 역할에만 급급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기 시작하였음
■  그 속에서 학생들은 그들의 생활과는 직접 관계가 적은 진부한 지식과 무의미한 기술훈련에
시간을 보내게 됨
■  학교 교육이 청소년의 생활 자체가 아니라 미래를 위한 준비 또는 시험을 위한 훈련이 되기
때문에 학교는 청소년 연령별로 엄격하게 구분하여, 초, 중등, 대학 교육 간의 유기적인 연
속성이 상실되었음
■  전통적 학교교육의 결함으로서 일정한 연령의 청소년에게만 제한, 사실적 지식의 내용 편중,
학교출석을 강조, 교육과 생활의 분리 등을 들 수 있음
■  교육이 본래 삶의 필요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삶의 과정 임에도 불
구하고 학교는 지나치게 획일적이고 경직화 되었으며, 지식 위주로 일관되어 있어 끊임없이
변하는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에는 물론 개인적, 사회적 요구에도 효과적으로 상응하지 못
하고 있다는 것임
■  교육에 대한 비판과 불만은 일리치(탈학교사회), 라이머(학교는 죽었다), 프레이리(피억압자
들의 교육), 실버맨(학급의 위기), 굿맨(잘못된 교육의 의무화) 등의 저서에서 강력하게 표현
되고 있음
■  일리치는 학교는 가르치는 것을 배우는 곳으로, 상급학교 진학을 교육으로, 졸업장을 능력으로,
언어의 유창성을 새로운 것을 구안해 내는 능력으로 오해하며 혼동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음
■  그는 말하기를 우리의 지식은 대부분 학교 밖에서 배운 것이며, 학생은 대다수 교사 없이 또
는 교사와 관계없이 배우게 된다고 하였음
■  프레이리는 교육이 학교 내에 독점물이 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학교 외의 청소년, 성인들
의 문화적 해방을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가난하고 무식한 농민들의 의식을 일깨우고 자기 자신의 문제를 스스
로 해결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대중문해교육의 선두에 섰음
■  라이머는 그의 저서에서 학교는 승리자와 패배자를 구분 짓는 곳이며, 여기서 패배자는 사회
적으로 거세된 사람들이라고 말했음
■  학교는 학생으로 하여금 학교의 규범에 따르도록 강요함으로써 학생들을 길들이는 작용에
강조점을 둔다고 비난함
■  실버맨은 오늘날의 학교는 질서와 통제, 강제와 억압, 그리고 불신으로 가득 차 있으며, 학
생들에게는 순종만을 강요하고 있다고 하였음
■  또 그는 미국 학교 교육에서의 아동들의 정신적 불구화를 지적하면서 학교 교실 안에서는 자발성과 배우는 즐거움, 창조하는 기쁨과 자기의식이 떡잎처럼 시들었다고 하였음
■  평생교육의 대두는 이상과 같은 학교 교육의 목적 상실과 거기에 따른 여러 가지 역기능으
로 인한 교육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필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