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37. 효과적인 학교의 의미

반응형

37. 효과적인 학교의 의미

 

1) 효과적인 학교의 의미


■ 효과적인 학교(effective school)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우리는 먼저 교육효과만을 생각하
여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교만을 효과적인 학교라고 생각 할 수도 있음
■  여기서 우리는 성공적인 학교(successful school)와 좋은 학교(good school)라는 용어와 효
과적인 학교의 차이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
■  성공적인 학교나 좋은 학교는 학생의 학업성취가 높은 학교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그 원인이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든가 학생들의 능력수준이 원래 높기 때문인 경우임
■  그러나 효과적인 학교의 효과성은 학교의 외부에서 주어지는 구성요소에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학교가 갖고 있는 교육력이나 운영의 특성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그러한 학교를 말함
■  따라서 효과적인 학교란 학교의 인적, 물적, 투입여건은 비슷한데 학생이 얻게 되는 지적,
비지적인 산출이나 결과가 다른 학교보다 더 높게 나오는 학교를 말함
■  여기서 학교의 투입여건이란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생의 학업능력, 이를테면 지능
같은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학교내부에서 통제할 수 없는 것임
■  즉, 효과적인 학교란 이런 투입여건은 비슷하지만 그 학교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조직적,
집단적 특성의 차이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결과가 다른 학교보다 더 높은 학교를 의미함
■  한편, 미국을 비롯한 선진 산업국가에서 행해진 효과적인 학교에 관한 일련의 연구들은
학교교육의 효과 여부에 대한 비판보다는 학교자체의 조직, 구조적, 집단적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관한 것임
■  즉, 학교교육에 있어서 과정변인이라 할 수 있는 학교의 내재적 차원, 학급내의 소집단 활동
같은 역동적 관계와 학교의 조직 및 구조적으로 여러 특성들이 어떻게 작용함으로써
학교효과의 폭을 크게 혹은 작게 하느냐 하는 문제에 관심을 돌린 것임
■  효과적인 학교의 효과성은 학교의 사회적 체제의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학교의 사회심리적
특성이나 학교의 조직이나 구조 등의 역학 관계에서 기인한다는 것임
■  효과적인 학교란 학교 내에서 통제할 수 있는 과정변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


2) 효과성에 대한 함의


■  어떤 학교가 효과적인 학교라고 할 때, 그 '효과적'이라는 용어는 가끔 교육의 질과 관계가 됨
■  우리는 학교효과를 논의하기에 앞서 효과성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해 보기로 함
■  효과성에 대한 동의어로 사용되는 용어로는 효율성, 생산성 그리고 어떤 조직의 생존력을 말
하기도 함
■  효과성은 보는 관점에 따라 완전히 다르게 정의 될 수 있다는 것임
- 여기서는 효과성에 관하여 경제적인 관점, 조직 이론적인 관점으로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함
■  경제학에서 효과성이나 효율성 같은 개념은 조직의 생산과정과 관련이 있음
■  생산과정은 투입을 산출로 변형시키는 양식화 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음
■  학교체제에서 투입변인은 이미 주어진 학생의 특성이나 재정적인 자료적인 면을 말함

■  산출변인은 학교교육에서 얻는 학생의 학업성취를 말하며, 학교 내에서의 과정적인 변인은
교수방법이나 교육과정 선택 등과 같이 학생들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영향을 받는 학교체제
내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말함
■  보다 장기간의 산출변인(output)을 우리는 결과(outcome)라고 부름

■  경제적 관점에서 효과성이란 최소의 비용을 들여 최대의 산출을 내는 것을 의미함
■  따라서 효과성의 경제적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입과 산출의 가치가 돈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임
■  다시 말하면, 효과성을 결정하는데 교재나 교사의 급여와 같은 투입변인의 비용에 대해서 밝
혀지는 것이 필요하며, 만약 산출비용이 돈으로 계산될 수 있다면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비
용-효과(cost-benefit)분석과 유사할 수도 있음
■  효과성에 대한 경제적 관점은 투자에 비해서 산출의 결과를 돈이라는 기준으로 분석해 보는
것임
■  Management
- Doing things right
- Efficiency
- Speed
- Bottom line
- Methods
- Practices
- In the system
- Climbing the ladder fast
■  Leadership
- Doing the right things
- Effectiveness
- Direction
- Top line
- Purposes
- Principles
- On the system
- “Is the ladder leaning against the right wall?”

 

3) 조직이론적 관점


■  조직이론적 관점에서
- 효과성 : 어떤 조직의 생존력을 말하기도 함
- 생존력 : 조직을 이끌어 가는 힘이 어디에 있는가임
■  여기서는 경제적, 정치적 이론은 생략하고 기관 체제이론, 인간관계 접근법, 관료적 이론이
라고 할 수 있는 체제구성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1) 기관 체제이론 모형
■  조직은 환경에 적응해 가는 생물학적인 체계와 비교될 수 있음
■  이 접근법의 주된 특징은 조직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느냐임
■  따라서 생존의 의미에서 조직의 효과성으로 유연성과 적응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음


(2) 조직에 대한 인간관계이론
■  조직의 체제를 내부적으로 향하는 것들, 보이지 않는 것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인간관계 접근법에서 보는 효과성이란 조직 내에서의 개인의 복지나 의견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그 조직에 대한 직업 만족도나 참여 여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
■  한 학교의 효과성을 이런 측면에서 분석한다면 학교 내에서 사무분장에 대한 직무만족도나
각종 연수나 교사 협의회의 참여 정도가 될 수 있을 것임

 

(3) 관료적 이론
■  특히 학교와 같은 조직의 구조나 행정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는 조직의 전체를 화합하는 법
을 찾아내는 문제임
■  전체적으로 융화를 하려면, 개인 간의 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과 전문성 발달을 위한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한 수단이 될 수도 있음
■  그러나 관료적 이론에서는 이런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고 분명하게 규정하고 공식화 해야 한
다는 것임
■  이 관료적 이론에서는 효과성으로 연속성을 그 기준으로 봄
■  학교효과성의 문제를 관료적 이론의 측면에서 분석한다면 조직 전체의 융화차원에서 지속적
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4) 학교효과 관련 요인


■  학교효과란 학교 자체의 특성에서 야기되는 효과로 학교의 집단적 사회심리학적 체제에서
파생되는 것임
■  교육의 결과만이 학교효과가 아니고 교육에 투입되는 변인에서부터 그 과정, 결과에 이르기
까지 총체적 효과를 학교효과로 보아야 함
■  학교사회는 다른 사회체제와 같이 복잡하고 제도적 조직을 가진 하나의 사회체제임

■  학교사회는 행정가, 교사, 학생 그리고 행정직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구성원의
제도적 목표인 '교육하는 것'을 위하여 비교적 지속적인 틀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사회조직이라 할 수 있음
■  학교의 구성원들은 그 환경에 적응하면서 상호작용 관계의 유형을 발전시키고 있음
■  미국을 비롯한 유럽의 선진국에서 수행된 많은 연구 중에서 학교효과를 결정짓는 요인은
학교의 사회적 체제나 학교의 학구적 규범 등이었음
■  일반적으로 사회적 체제는 크게 구성원의 역할, 규범 그리고 가치의 유형에서 비롯됨
■  학교의 사회적 체제는 좁은 의미에서는 학교의 사회심리적 집단규범을 중핵요인으로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학교의 모든 교육환경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함
■  여기서 말하는 교육환경은 학교 내의 학습환경뿐만 아니라, 학교 밖의 교육환경들도
포함할 수 있음
■  이것은 하나의 개별적인 학급, 교육과정 영역, 학년 수준, 더 나아가 지역사회까지도
연관 짓는 개념임
■  한편, 브루코버 등에 의하면 학교의 사회적 체제는 학교의 학습풍토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
■  이들은 학교의 사회적체제는 학교의 학습풍토에 의하여 규정짓게 되며, 그 구성요소로는
학교의 사회심리적 규범, 학교의 조직구조, 그리고 수업실천 행위 등 세 가지 요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음

 

(1) 학교의 사회심리적 규범
■  그 구성요인으로는 주로 학교 구성원의 학교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 기대, 규범, 평가,
감정, 분위기 등으로, 이것들은 학교의 역사적 전통 등에서 파생된 것임
■  다시 말하면, 학생 모두가 잘 배울 수 있고 교사가 잘 가르칠 수 있다는 관념과 기대,
그리고 그에 다른 역할수행은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낳는 중요한 학습환경 특성임을 주장하
고 있음

■  학교 구성원의 이러한 신념, 학구적 규범 그리고 상호기대 및 평가는 전체적인 학교의 문화
적 풍토를 형성하게 됨
■  이 문화적 풍토는 학교 구성원의 사회심리적 관계 구조의 총체이며 학습효과의 성패에 영향
을 주게 됨

 

(2) 학교의 조직구조 및 운영방식
■  이러한 조직은 크게는 학교의 행정적 조직으로부터 작게는 학급 내 학습 집단의 구성형태까
지를 포함하는 개념임
■  일반적으로 학교의 행정적 조직체나 운영방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조직과 분화, 그리고
학급 내 사회적 관계 구조와 관련되기도 함
■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지도 평가를 위한 교사협의체 구성 및 운영,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이나
의사소통 방식에 기초한 형식적 조직을 들 수 있음
■  루터 등의 연구에 의하면, 수업계획을 수립할 때 교사 간의 협조체제가 잘 이루어진 학교는
그렇지 못한 학교보다 학생들의 출석률이 높고 비행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교사들에 대한 장학지원과 수업지원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짐
■  또, 보다 성공적인 교육효과를 나타낸 학교는 그렇지 못한 학교에서보다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3) 학급 내 수업실천 행위에 연관됨
■  이것은 학급 내에서 개인 혹은 집단적으로 표출되는 의사소통의 방식, 행동 강화, 보상방식,
규제나 평가행위, 수업자료 제공과 수업에 투입되는 시간량 등과 관련됨
■  효과적인 수업의 설계는 모든 학생에게 공통된 학습목표를 분명히 인식시키고 수용하게 하여
최대한으로 학생이 주어진 학습목표에 완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  이러한 수업설계에 따른 수업지도 행위가 바로 학교의 학구적 규범으로 교육과정 조직 및
운영 등과 밀접히 관련되거나 일관성 있게 표출되어 교육효과를 좌우하게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