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38. 효과적인 학교연구

반응형

38. 효과적인 학교연구

효과적인 학교에 관한 연구는 콜먼 연구 이후 학교교육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에 반대
하는 입장으로 투입-산출 연구 모형에서 검은 상자라 여긴 과정(process)부분에 대한 연구
가 그 발단이 됨
■  다시 말하면, 잘사는 집 아이들이 학교에서 공부도 잘하고 성적도 좋으며, 못사는 집 아이들
은 공부도 못하며 성적도 안 좋다는 이른바 사회경제적 배경과 학업성취와 상관이 높다는
실증적 연구가 제시됨
■  이러한 연구는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학생들은 희망이 없다는 느낌을 교사들에게 주어 왔음
■  그러한 연구로는 콜먼의 교육기회균등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들 수 있음
■  이 연구는 1950년대의 'Project Talent' 다음 가는 미국사회과학 사상 두 번째의 거대한 규모임
■  그때까지 맹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던 교육에 관한 신화와 신념에 대한 가장 강력한 경
험적 비판이며, 미국 교육 사회학의 가장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 받음
■  이 보고서는 미국 내의 6개의 주요 인종 및 소수민족 집단 간의 학교 간, 지역 간에 존재하
는 교육기회와 효과의 불균등 현상 및 원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음
■  결국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것은 학교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별로 공헌을 못하고 있으며 사
회적 평등을 위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임
■  콜먼 연구를 재분석한 젠크스 등의 연구에서도 콜먼 보고서의 분석상의 미비점을 지적 할
뿐 그 근본적인 연구 결과는 별 차이가 없었음
■  젠크스는 인지능력의 불평등을 설명해 주는 정도를 가정배경 요인, 유전요인, 그리고 학교의
질 순이라고 지적함
■  즉, 그의 연구결과도 학교는 학업성취의 향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임
■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영국의 프로우덴(Plowden)과 부동 (Boudon)연구에서도 입증이 됨
■  영국의 초등학교 학생을 표집으로 한 연구에서 부모의 태도, 가정환경, 학교의 특성 변인 등
104개의 변인을 투입한 결과,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포부 수준 및
실현도, 관심도가 높았고, 또 좋은 학교의 진학을 원했으며, 학업성취의 격차를 설명해 주는
데 있어서는 부모의 태도, 가정환경, 학교의 특성요인의 순으로 나타남

■  콜먼의 연구에 비판자들은 콜먼 연구는 개인의 특성과 사회구조적 특성을 중요시한 연구로
과정 변인에 대하여 '검은 상자'라고만 여기고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함
■  이런 문제점에 비추어 콜먼 연구를 재분석한 프레드릭슨 등에 의하여 학교 자체의 집단특성
이 학생의 성적에 독립적으로 주는 영향이 큰 것을 알아냄
■  그 후 학교자체의 사회심리적 특성이 학생의 능력이나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함께 학
생의 성적 격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거론 됨
■  이런 학교의 사회적 체제나 집단 특성을 중심으로 학생의 성적 격차를 관련 지어 설명하려
는 노력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 산업국가에서 학교효과(school effectiveness)란 주제로
활발하게 논의됨
■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브루코버와 루터 등의 연구를 들 수 있음
■  이들의 연구는 한결같이 학교의 문화적, 규범적, 사회심리적 요인이 교사의 수업행동에서 학
생과의 상호작용으로 반영되어 성적 격차에 영향을 준다는 것임
■  효과적인 학교에 관한 연구는 학교를 하나의 사회체제로 보고 학교사회의 조직, 규범, 과정
적 측면을 상호연관지어 성적격차를 설명하려는 연구들 중의 하나로, 최근에는 학교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주체라 할 수 있는 교사-학생의 연구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음
■  그 이유는 종전의 교육외적인 연구에 비하여 학교교육과정 부분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개선
이 용이하다는 교육내적 요인을 문제삼고 있기 때문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