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교육격차와 학력격차 1
1 교육격차의 문제
(1) 교육 불평등
● 교육 불평등은 교육격차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지만, 그 주안점은 교육에 대한 이념적,
사상적, 그리고 더 나아가 상징적 관점을 강조함
● 이와 대조적으로 교육격차는 현상적, 실제적, 가시적 측면에서 교육의 불평등 문제를 보다
구체적이고 접근 가능한 개념으로 받아들이고자 함
(2) 교육격차
● 사회 및 학교의 사회구조적 측면과 아울러 그 기능적 측면에서 교육의 과정과 결과적 측면
을 함께 고려한 관점임
● 투입요건으로서의 기회균등의 격차, 교육실천 활동에서 야기하는 교육과정에서의 격차 그리
고 교육의 결과를 얻는 교육효과의 격차를 포괄하는 거시적 개념임
● 학력은 ‘학업성취를 의미하는 것이며, 학업성취는 수업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얻어
지는 결과’ 임
- 이 결과의 격차는 교육격차의 미시적 관점으로, 수업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으로 학습자
의 양적, 질적, 변화에 있어 제기되는 격차를 말함
● 종래에는 교육격차의 주된 원인이 주로 학생의 타고난 능력이나 지능, 성취동기 등의 개인적
차원에 있다고 보았으나, 점차 이러한 문제는 개인적 차원보다는 사회적 불평등이 반영된 구
조적 차원에서 교육격차의 원인을 찾을 수 있음
● 플라톤(Platon)「공화국(The Republic)」,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s) 「정치론(Politics)」에서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어느 한 단계에 속한다고 보고 이들 각 계급에 따라 그 나름의 기능
과 역할이 주어져야 하는 것으로 사회계급의 불평등을 하나의 선험적 명제로 받아들이는 이
른바 ‘인간 불평등의 자연성’을 주장함
● 로크(J.Locke), 루소(J.J.Rousseau)를 거치는 동안 인간의 불평등, 격차의 문제는 그것이 자
연법칙에 의한 필연적이 결과가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 낸 결과라고 봄
● 마르크스(K.Marx) : 인류의 불평등은 생산양식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함
Ÿ 막스 베버(Max Weber)
- 마르크스가 지적하는 생산양식과 소유양식에 의해 결정되는 계급에 권력, 권위의 개념을
더 추가함
- 재산의 격차는 계급의 격차를, 권력의 격차는 정치적 당의 격차와 갈등을, 권위의 격차는
지위의 격차를 잉태하게 되어 사회에서의 불평등, 불균등 격차는 극대화되기 마련이라는
논리를 주장함
● 루소(J.J.Rousseau) 이후 인간평등론이 강조되는 오늘날, 개인의 본래적인 능력의 차에서 교
육격차가 파생되기 보다는 가정의 사회계층의 차로 인한 사회구조적 요인의 격차에서 교육
격차가 생긴다고 보는 것이 더욱 설득력이 있게 됨
● 특히, 학교교육이란 사회 지배계층의 이해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사회적 조정 장치나
계층 재생산의 매개변인에 불과하다고 보는 갈등론자들은 교육기회는 물론 학교교육 격차가
사회 구조적 불평등에서 기인된다는 이론을 강력하게 제시하고 있음
● 브루코버(Brookover)
- 교육격차를 학교사회 심리학적 맥락에서 접근함
- 학교사회의 사회심리적 요소인 구성원의 상호 기대, 지각, 평가 그리고 학교 사회의 체제
와 밀접히 관련된 학교 풍토가 교육격차를 유발한다고 주장함
● 퍼셀(Persell)
- 사회, 경제적 지배구조가 그것을 지탱해 주는 이념과 밀착되어 교육체제나 교육내용 그리
고 교사-학생의 교실 내 상호작용까지 깊숙이 영향력을 주어 결과적으로 교육효과의 격
차를 필연적으로 유발하게 된다고 함
2 교육격차의 인과론
(1) 개요
● 왜 어떤 학생은 학교교육을 받는 동안 남보다 좋은 성적을 받거나 더 유리한 대우를 받는가
하면, 반대로 다른 부류의 학생들은 남보다 더 뒤지거나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는가?
● [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세 가지 원인 ]
- 학생 자신의 능력과 관련된 ‘너 자신이 남보다 똑똑하지 못해서...’라는 능력결핍론
- ‘가정의 생활환경이 좋지 않아서...’라는 이른바 가정의 문화 환경결핍론
- ‘교사를 잘못 만나서...’라는 교사결핍론
● 과거로부터 학업성취의 격차 요인으로 흔히 능력(지능)이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거론됨
● 지능 우위론자들은 ‘지능=성적’이라는 입장에서 성적 격차를 논의하였고, 사회경제학자들은
가정의 문화 환경이나 경제적 지위를 자녀의 학업성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봄
● 최근의 이르러 ‘학교가 차이를 만든다(School can make a difference)’또는 ‘교사가 차이를
만든다(Teacher can make a difference)’라는 명제가 부각되기 시작함
● 물론, 학생의 학업성취는 개인의 능력, 가정배경, 학교 혹은 교사 특성 중 어느 단일 요인에
좌우되지는 않음
- 어떤 의미에서는 이 세 가지 요인이 연쇄적으로 상승작용 하거나 그 반대로 악순환 현상
을 초래하여 학생의 학업성취의 격차를 심화시킨다는 것임
1) 지능결핍론
● 학업 성취의 차이는 흔히 지능 결핍이나 부모의 사회적 지위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강
조되어 옴
● 지능 우위론자들은 ‘지능이 곧 성적’이라는 명제를 내세워 왔고, 사회학자나 경제 우위론자
들은 가정의 문화적 환경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함
● 최근에 이르러 학교의 교육환경, 즉 학교 자체의 사회적 체제나 인적, 물리적, 심리적 특성
이 학생의 타고난 능력이나 가정배경과는 별도로 학생 간, 학교 간 성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거론됨
● 학교교육의 효과, 좁게는 학생의 성적 차이를 앞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음
● 지능결핍론(IQ-deficit theory)
- 학생의 능력 차이에서 파생되는 성적 격차를 지칭함
- 이것은 지능의 유전적 결핍이나 저소득 계층에 속한 아동들이 학교 생활이나 교사 관계에
서 다른 아동에 비하여 빈약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업성취에서 실패하거나 저조하게 된다
는 것임
● 물론, 지능 격차에 관하여는 아직도 유전우위론과 환경우위론이 계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그 결정요인으로는 유전, 환경, 그리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세 가지로 간주됨
● 젠센(Jensen)
- 인간의 생태적 소질에 관한 논문에서 유전요인이 약 80%이고
나머지 20%가 사회적, 문화적, 신체적 제 환경의 영향이라고 제시함
● 아이젱크(Eysenck)
- 개인의 지능적 유전은 80%정도이고 환경에 의한 것은 약 20%정도라고 하여
유전이 인간 형성에 큰 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함
● 라이트와 스미스(Light & Smith)
- 지능에 관한 유전우위론에 대하여 젠센의 측정방법의 오류를 지적하고, 유전에 의한 영향
에 45%, 환경은 31%,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20%, 그리고 오차 4%로 측정하고 있어
유전에 의한 영향이 훨씬 축소됨
- 이 연구의 시사점은 유전적 격차는 지능 격차의 극소 부분만을 설명해 주고 있다는 점
2) 환경결핍론
● 문화적 결핍론(cultural-defcit theory)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교육격차를 유발한다고 봄
- 학생 가정의 문화적 환경, 언어적 그리고 지각, 태도적 배경에서의 차이나 상대적 결핍 때
문에 학교에서 다른 학생에게 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학업성취에서의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임
●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콜먼에 의하여 제시되었고, 이 연구를 재분석한 젠크스(Jencks)에
의해서도 강력히 뒷받침되었음
(1) 콜먼 보고서
● 지금까지 맹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던 교육에 관한 신화와 신념에 대한 강력한 경험적
비판이며, 미국 교육사회학의 가장 중요한 자료임
● 이 연구는 미국 내 6개의 주요 인종 및 소수민족 집단 간의 학교 간, 지역 간에 존재하는
교육기회와 효과의 불균등 현상 및 원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음
● 그 연구대상은 미국 전 지역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학생 중 1,3,6,9,12학년에 속하는
645,000명과 교사 60,000여 명을 표집하였음
● 103개의 연구 변인을
- 학생의 가정배경 변인 15개(성장지, 부모교육, 부모생존, 가구, 책의 수, 문화 여건 등),
- 학생 집단 변인 31개(전입학생 수, 출석률, 숙제시간, 흑백 인종비 등)
- 그리고 종속변인(언어능력, 비언어능력, 수학성적, 독서능력, 일반정보, 인문과목 선정 등)
으로 구성하였음
● 연구결과
- 학생의 가정배경은 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이것은 학생이 학
교에 다니는 동안 계속하여 영향을 미침
- 학교의 물리적 시설, 교육과정, 교사의 질 등은 성적에 매우 미미한 영향을 주는데, 이 중
에서 교사의 질은 학교의 다른 특성 요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큼
- 학생집단의 사회적 구조는 가정환경과는 별도로 학교의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학교의 성
적에 미치는 영향이 큼
● 즉, 콜먼의 연구는 학교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별로 공헌을 못하고 있으며, 사회적 평등을
위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지었음
- 콜먼의 연구보다 정선된 변인과 발전된 통계방법을 적용해 재분석한 연구도 콜먼 보고서
에서의 분석상의 미비점을 지적할 뿐 그 근본적인 연구결과는 별 차이가 없었음
(2) 젠크스(Jencks)
● 인지능력의 불평등을 설명해 주는 정도를 가정배경요인(60%), 유전요인(35~50%), 그리고
학교의 질(4%)의 순이라고 지적함
●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원인의 순으로는 가정배경, 인지능력, 인종 차, 학교의 질(2% 정도)
의 순이라고 하였음
● 결과적으로 학교는 학업성취 향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주장함
3) 교사결핍론
● 콜먼 연구의 비판자들에 의하여 제기되기 시작함
● 학교 자체의 사회적 특성이나 교사-학생의 대인지각 형태가 가정배경이나 개인의 지적 능력
못지않게 성적 격차를 초래한다고 봄
(1) 마이에스케(Mayeske)
● 콜먼 연구결과를 재분석하여 학교 자체의 집단 특성이 성적에 독립적으로 주는 효과가 큰
것을 알아냈으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가정의 문화환경이 빈약한 경우에는 학교의 영향
이 크게 부각된다고 봄
● 학교 특성, 즉 강한 지도성, 교사의 높은 기대, 좋은 학교풍토, 수업계획, 진행의 주도 면밀
한 점검 등이 학교 간의 교육 격차를 나타낸다는 것임
(2) 맥딜과 릭스비(McDill&Rigsby)
● 학업성취의 격차에 관련된 학교 자체의 특성으로 학교의 학구적 규범을 들었음
● 이러한 학구적 규범을 다음의 6가지 특성으로 요약함
- 학교 구성원인 교사와 학생의 학구적 우수성
- 지적인 풍토지각
- 응집력과 평등주의의 지향
- 과학적 방법
- 인간적 탁월성
- 학구적 지향성
● 브루코버와 동료들
- 학교의 사회심리적 풍토요인, 즉 교사의 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기대, 평가, 신념체계 등이
학교 간의 성적 차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장기적인 연구를 통하여 밝혔음
● 학생의 개인적 능력이나 가정배경의 차이에서 연유되는 교육격차의 문제의 관한 논의가 당
초에는 많은 관심을 끌어왔음
● 하지만, 최근에 이르러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교직원의 교육효과에 대한
신념, 가치체계, 학급 내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교 구성원인 학생, 교사, 타 직원 모두
에게 파급되어 있는 학구적 규범 등에서 파생되는 교육격차의 문제가 크게 부각되기 시작함
● 학교의 사회심리적 특성은 학교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 신념, 평가 그리고 정
서적 분위기 등으로 나타나게 됨
● 흔히 학급 내에서의 수업 사례에서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교사의 행동, 즉 수업방법 혹은 수
업의 질이 학습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더 나아가서는 어떤 특성을 가진 학생에게는
어떤 수업 방법이 더 효과적인가 라는 것이었음
● 최근에 수행된 몇 편의 연구에서는 교사의 밖으로 드러나는 차이를 가져오는 보다 중요한
요인이며, 더 나아가 그러한 기대 차이에 따라 학생 개개인에 대한 교사의 행동이 달라지게
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음
● 교사의 학업성취에 대한 기대의 높고 낮음이 결과적으로 학생의 성적에 강력한 예언력을 갖는
다는 것은 블룸(B.S.Bloom)의 완전학습이나 로젠탈과 제이콥슨의 자기충족예언에서 잘 나타남
● 교사의 자연 상태에서의 기대 수준이나 의도적인 실험상황에서 유도된 교사의 기대를 막론
하고 교사의 기대효과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는 것임
● 구체적으로 교사의 기대는 교사의 수업행동, 즉 수업계획, 자료 준비나 자료 제시방법, 수업
에 임하는 시간(time-on-task)그리고 학생과의 상호작용과정 등에서 다르게 표출되며, 또
그것이 특정학생에게 전달된다는 것임
(3) [ 블룸(B.S.Bloom)의 완전학습(Mastery Learning) ]
● 학급의 95% 이상이 90점 이상을 받는 것을 의미함.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지능, 선행학습,
교과 또는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을 알고, 교사의 교수 변인을 알면 학습 결과의 90%까지
예측 가능하다고 봄.
● 학습자 특성을 교사가 보다 많이 정확히 파악하면 할수록 보다 효과적인 학습지도 방법을
찾을 수 있고 결과도 바꿀 수 있다고 함
● 현실적으로는 학생수가 많기 때문에 교사가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이기 어
렵고, 개인의 학습능력과 속도를 고려한 수업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음
● 하지만 이 이론을 100% 적용할 수 없다 해도 학습지도에서 학습자에 관하여 많이 알면 알
수록 학습결과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큼
● 완전학습 모형 6단계와 교수학습 활동
- 진단평가 및 사전 교수 (사전지식 확인용 진단평가 실시, 구두 질문, 설문조사, 퀴즈 실시)
- 집단 중심 1차 교수 ( 학습자 지식, 흥미, 경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 수업 )
- 정규적 형성 평가를 통한 학습자 진척도 모니터링 ( 형성평가 통해 학생 진척도를 모니터
하고 처방적 피드백을 제공 )
- 교정적 수업 ( 선호하는 감각 채널 활용하여 학습자의 지능 유형에 따른 수업 )
- 2차 형성평가 ( 2차 형성 평가. 성공자에게도 동일한 평점 부여 )
- 심화, 확장 학습활동 ( 심화 학습 기회 제공. 일부 학생에게 교정 수업 실시 )
3 학력격차의 접근모형
1) 거시적 접근모형
● 사회적 지배구조 모형으로 퍼셀은 마르크스나 베버의 사회 지배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교육
도 필연적으로 경제나 정치와 같이 사회의 다른 제도와 관련, 의존적인 것으로 봄
- 퍼셀은 교육 불평등이 생기는 과정을 사회구조적 단계 - 학교의 제도적 단계 - 학급 내
의 상호작용 단계 - 교육결과의 4단계 모형으로 제시하였음
- 사회구조적 단계에는 사회의 지배구조와 사회의 이념
- 학교의 제도적 단계에는 사회의 구조와 교육의 이념
- 학급 내의 상호작용 단계에는 교사의 기대와 학급 내 상호작용
- 교육결과는 인지적, 비인지적 영역으로 구분하였음
● 이 모형에서 사회의 지배적 구조가 학교까지 깊숙이 파고들어 교육격차를 불가피하게 해 준
다고 봄
● 김유경 : 「교육의 기회균등과 사회계층 이동에 관한 연구」에서 가정환경 차와 학업성취의
불균등, 사회계층에 따른 교육기회의 불균등, 그리고 학교교육과 사회계층 이동에 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함
● 정영애 :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사회화 유형에 따른 학생의 언어모형의 격차에 관한
연구」에서는 가정문화와 학습효과의 상관성을 경험적으로 연구함
(1) 영국의 프로우덴 연구
● 콜먼의 연구결과를 입증함
● 영국의 초등학교 학생을 표집으로 한 연구에서 부모의 태도, 가정환경, 학교특성변인 등 104
개의 변인을 투입
● 그 결과,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포부 수준과 그 실현도, 관심도가 높
았고, 또 좋은 학교에의 진학을 원했음
● 학업성취의 격차를 설명해 주는데 있어서는 부모의 태도(흥미, 포부), 가정환경, 그리고 학교
의 특성요인 순으로 격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혔음
● 그러나 콜먼 등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학교 자체가 학생의 학업성취의 차이를 유발한다는 연
구 결과가 Mayeske, Beaton, Cohen, Okada, Wisler 등에 의해서 밝혀짐
● 김부태
-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요인으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력 획득 기대 수준이나 지원정
도, 학생들의 진학 계획 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았음
- 학력 상승이 지속되어 오는 가운데 가구주의 교육 정도와 자녀에 대한 기대 교육수준은
일정하게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소득층일수록 일류대학을 강하게 선호하고, 부의
직업적 위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대학진학 계획률과 희망 교육수준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짐
● 한 관련 연구에서는 결과적으로 성별, 지역, 종교, 연령 등의 다른 요인들보다는 부(父)의 교
육수준이 자녀의 학력 획득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
고 있음
2) 미시적 접근모형
● 브루코버와 그의 동료들에 의한 접근모형으로, 기본적인 상정은 학교에서 아동들의 학습행동
은 학교사회 체제에서 파생되는 사회적, 문화적 특성과 함수관계가 있다는 점
● 그들의 연구에서는 학교의 사회적 체제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로 투입-과정-산출 모형을 도
입하였음
- 투입요인으로는 학생집단의 특성과 교직원 배경
- 과정요인으로는 학교의 사회적 구조와 학교의 사회적 풍토
- 산출 변인으로는 성적, 자아개념, 자신감으로 구분하였음
● 이 연구모형은 학생의 학습행동이나 결과의 차이는 학교의 사회적 체제에서 연유되며, 이러
한 학교의 사회적 체제는 학교의 학생구성과 인적 배경의 특성이 주는 영향이 크다고 봄
● 또한 이 투입요인은 학교의 사회적 체제나 학습풍토, 즉 구성원의 학구적 규범, 상호기대,
평가 및 지각의 특징에서 규정된다는 것에 강조점을 두고 있음
3) 교육균형발전 모형
● 앞의 두 가지 접근방법은 서로 독립된 시각이라기보다는 상호 의존적이며 보완적인 입장이
라고 볼 수 있음
● 거시적 접근은 사회구조의 원인 작용에 더 관심을 가지며, 미시적 접근은 학교의 교육체제에
더 강조점을 둘 뿐임
● 따라서 교육의 균형발전의 과제는 교육결과에서의 격차를 초래하는 교육 투입요인의 격차,
교육체제에서 파생될 수 있는 교육과정과 운영에서의 격차를 함께 고찰해야 할 것임
● 교육 균형발전의 접근은 학교사회를 중심으로 그 내외적 관련 요인의 격차, 즉 학교 외적 배
경 특성의 격차와 학교 자체의 특성, 그리고 교육효과에서의 격차로 상호 관련 지어 그 접근
모형을 제시함
● 이 연구에서는 교육결과에 작용하는
- 학교 내, 외적 관련 요인을 학교의 체제적 요인, 즉 교육의 투입요인에 관련된 사회구조
및 배경적 측면
- 교육과정의 조직과 운영에 관련된 학교의 제도 및 이념적 측면
- 학급 내의 대인지각적 측면 등을 중심으로 상호 관련을 지어 고찰함으로써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있음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13. 사회문제 (3) | 2023.10.05 |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12. 학력격차의 결정요인 (2) | 2023.10.04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10. 교육불평등 문제와 접근 2 (1) | 2023.10.02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9. 교육불평등 문제와 접근 1 (4) | 2023.09.30 |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8. 사회이동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