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산업시대 후기 예술운동
가. 입체파(Cubism)
20세기 초에 프랑스에 일어난 서양미술 표현 양식의 하나를 일컫는다. 입체주의라고도
한다. 큐비즘이라는 낱말이 처음 쓰여진 동기는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의 풍
경화에서 비롯되었다. 20세기 초 브라크는 프랑스의 남쪽 지중해 연안 지방 레스타크
(L'Estaque)에서 사생을 하면서 풍경화를 그렸는데 이 풍경화를 두고 비평가는 입체적
희한함(bizarreries cubique) 이라고 풍자하였으며, 이 낱말에서 후에 브라크의 표현
양식을 본 딴 그림들 및 화가들의 경향을 큐비즘이라 부르게 되었다. 형태의 단순화라
는 세잔의 영향은 후에 피카소와 브라크 등 입체파 화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브라크는 레스타크 지방의 풍경화를 그리면서 대상을 입체적 공간으로 나누어 여러 가
지 원색을 칠하여 자연을 재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적인 공간 구성과 대상의 표현
양식에서 출발하여 브라크는 점차 눈에 두드러진 입체적인 형태, 원통형, 입방형, 원추
형 따위를 종래의 선이나 면을 대신한 표현 수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브라크가 추구
한 입체적 표현 양식은 자연 대상을 순수한 그림 대상으로 완전히 전환시키는 것이었
다. 입체파는 물체의 본질 또는 실체의 형상을 이성에 호소할 것을 주장하고 그 본질을
분석하여 구조를 기하학적인 점과 선으로 재구성할 것을 주장하였다. 피카소는 자연적
원근법에서 탈피하여 자연이 가지고 있는 3차원의 세계 즉 평면적 관점이 아닌 '원뿔,
원기둥, 구'로 상징되는 입체적 관점으로 처리하여 세잔의 회화적 비전을 현실화했으며 복잡한 다원적 공간을 아주 단순하고 축소된 기하학적인 그림으로 만들어 내어 여러 시점을 동시에 전면에서 보여주는 고유한 원근법을 사용하였다. 입체파는 독자적인 예술양식을 추구하였으며, ‘콜라쥬’와 ‘파피에콜레’를 창안하였다.
나. 표현주의(Expressionism)
인상주의, 상징주의, 야수파와 마찬가지로 표현주의는 자연주의 경향에 반대하는 운동
이었다. 표현주의에서는 표현적 측면이 미학적, 객관적인 측면에 비해서 압도적인 무게
를 지닌다. 이것은 미술가들이 자신들의 체험을 관람자를 위해서 표현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통해서 드러나게 된다.
표현주의는 조형예술에서 생겨난 양식이며, 미술운동으로 20세기 초(1901-1925년)에
특히 독일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했던 양식경향이다. 영혼의 표현을 나타내는데 주
력한 표현주의는 사물의 외면을 묘사하는 인상주의와는 대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표현
주의는 인상주의의 특징인 빛과 색채의 유희를 벗어나려는 데에 초점을 두었으며, 대상
의 형태를 단순화 시키고 색채를 사용하는데 매우 간결하고 원색에 국한하고자 노력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표현주의의 화가들은 자연 대상을 단순
히 아름답게 묘사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상이 지닌 혹은 관찰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
의 형태와 내면의 세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주제를 강조하며,
색채와 구도, 형태와 대상의 조화를 과장하거나 생략하고 있는 것이 표현주의의 특징이
라고 볼 수 있다.
20세기의 중요한 예술가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칸딘스키(Kandinsky)는 순수한
선과 색채, 음악적 구성표현이 특징이며, 새로운 기계시대를 상징하면서 자유로운 예술창작을 추구하였다. 이후 큐비즘(Cubism), 미래주의(Futurism), 구성주의
(Constructivism), 데 스틸(De Stile)등의 양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능주의적 디자
인을 형성하는데 일조하였다.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의 강렬한 색채표현과 전위적 구도 형태에서 유래된 야수
파(Fauvisme)는 눈에 보이는 색채가 아닌 마음에 느껴지는 색채를 밝고 거침없이 표
현했으며, 이지적인 큐비즘과는 달리 감정을 중시한 표현주의의 한 형태로도 볼 수 있다.
다. 데 스틸(De Stile)
1차 세계대전 중인 1917년 네덜란드의 신조형주의 운동으로 산업화와 기계화된 현대
사회의 표현방식을 추구하였으며, 장식적인 양식을 거부하고, 순수한 추상을 시도하였
다. 1920년대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은 신조형주의 이론을 체계화하였으
며, 모든 조형요소는 수직, 수평의 직선과 색채는 빨강, 노랑, 파랑의 3원색과 검정, 회
색, 흰색으로 제한한 추상주의 디자인을 시도하였다.
데 스틸의 역할은 바우하우스의 새로운 조형적인 경향 즉 기능주의의 토대와 대량생산
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 시대를 알리는 상징으로서 인정된다.
데 스틸은 미래파(Futurism)와 이를 수용하였던 독일공작연맹(DWB)을 거쳐 바우하우
스(Bauhaus), 러시아의 아방가르드(Avantgarde)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되며, 이 시
기 부터 본격적인 산업 조형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
라. 다다이즘(Dadaism)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난 실존주의, 반문명, 반전통적인 예술운동이며, 전통적 디자
인 원리와 예술형식을 부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존의 양식을 파괴했다. 대
표적인 표현기법으로는 콜라주(Collage), 프로타주(Frottage), 파피에 콜레(Papier
Collar), 데페이즈망(depaysment), 자동기술법(automatism)등이 있으며, 새로운 조
형이념으로 그래픽 디자인과 타이포그라피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만 레이(Man ray)는 사진에 의한 빛의 조형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렌즈를 사용하지 않
고 인화지에다 직접 피사체를 배치하여 빛을 비춘 결과 나타나는 추상적 영상인 레이요
그래프(rayograph)를 창시했다.
마. 초현실주의(Surrealism)
1920년대 나타난 초현실주의는 "인간의 상상에 자유를 부여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
각했다. 특히 정신분석가 프로이트의 학설에서 영향을 받아, 자유로운 상상력으로서 지성을 초월한 꿈이나 무의식의 세계를 해방하는 것으로서 초현실적인 미를 창조하려고
했다. 초현실주의의 가장 영향력 높은 주도자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미술 이론가인 앙드
레 브르통(Andre Breton)이었으며, 대표적 작가는 막스 에른스트(Max Ernst)로서 프
로이트적인 잠재의식을 화면에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프로타주(frottage: 문지르기) 기
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유년 시절 그는 마룻바닥에 종이를 대고 긁으면 나타나
는 형상에 매료되었으며, 그것을 무의식의 자동기술법이라고 생각했다.
바. 순수주의(Purism)
입체주의 미학을 계승하면서 1918년 오장팡(Ozanfant)과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작성한 ‘입체주의 이후’라는 선언서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1919년 창간된
‘에스프리 누보’(Esprit Nouveau)에 실렸으며, 순수주의 운동은 이 잡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들은 불필요한 장식성이나 과장을 일체 거부하고, 간결하고 명확한 조형
표현을 주장하였다. 즉 그것은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불필요한
장식을 모두 배제하는 기능주의의 관점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회화에서의 환상과 근거
없는 자유에 반대하는 순수주의는 그 모델로 기계를 취하며, 작품에 우연성과 무의식적
표현을 금지하였다. 이들의 원칙을 실제로 엄격히 따른 작가는 극소수였지만, 순수주의
이론은 회화뿐만 아니라 건축, 조각, 공예, 음악, 연극의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근대 건축사상도 여기서부터 전개된 것이었다.
사. 구성주의(Constructivism)
1920년대에 러시아에서 전개된 예술 운동으로 타틀린(Tatlin)이 1913년에 시작한 철
판이나 목편에 의한 부조를 '구성'이라고 부른 것이 발단으로, 현실의 소재에 의한 비재
현적 구성이라는 조형 이념은 구성주의라는 운동으로 발전하여 모스크바 전위 미술계
를 쉬프레마티슴과 양분한다. 회화·조각을 부르주아 미술로 간주, 부정하고 철·글라
스 등 공업 생산물의 사용과 사회적 효용성을 주장하여 건축·디자인·무대 미술 등 조
형의 각 분야를 거의 지배했다. 모형만으로 끝났지만 타틀린의 ‘제3인터내셔널 기념탑’
이 대표작품이다.
알렉세이 간(Aleksei Gan)의 '구성주의 선언'(192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산업과의
일체화를 강력히 추진하였으며, 대표적인 작가는 엘 리시츠키(El Lissitzky)로서 포토
몽타주, 판화, 그래픽 등의 다양한 인쇄 기법의 응용을 통하여 현대적 그래픽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미술사조'는 수평과 수직의 그리드 사용, 과감한 타이포그
래피, 정보화를 위한 체계적 포맷의 계획, 화이트 스페이스의 도입 등 현대 디자인 초
기의 기념비적 작품이다. 구성주의는 추상 예술 운동에도 큰 영향을 끼쳐 1960년대에
서유럽에서 재평가 되고 있다.
'디자인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1. 유럽의 현대디자인 (2) | 2023.03.18 |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0. 바우하우스와 아르데코 (1) | 2023.03.18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 근대 디자인의 발전 (2) | 2023.03.16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7. 근대디자인의 출현 (1) | 2023.03.15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6. 원시~중대의 디자인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