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0. 바우하우스와 아르데코

반응형

10. 바우하우스와 아르데코

 

가. 바우하우스(Bauhaus)
1)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념
바우하우스는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에서 설립·운영된 학교로, 미술과 공
예, 사진, 건축 등과 관련된 종합적인 내용을 교육하였다.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1919년 바이마르에서 설립했다가, 1925년 데사우로 옮겼다. 바우하우스
(Bauhaus)라는 이름은 독일어로 집을 짓는다는 뜻의 하우스바우(Hausbau)를 도치시
킨 것이며, 1936년 나치스에 의해 강제로 폐쇄되기 전까지 14년간 운영되었다.
바우하우스의 양식은 현대식 건축과 디자인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예술, 건축, 그래픽
디자인, 내부 디자인, 공업 디자인, 활판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바우하우스의 선언문을 살펴보면 “예술가들과 수공예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조형 안에
서 공동의 미래 건설” 이라는 내용 아래 디자인과 사회학적인 관점이 서로 조우하는 순
간이라고 볼 수 있다. “미래의 새로운 건축을 위해 조각, 회화와 같은 순수미술과 공예
와 같은 응용미술이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으로 대량생산 내에서 만들어진 공산
품들이 미적 아름다움과 경제성까지 갖추어야 한다는 목적을 담고 있다. 바우하우스의
최대 목표는 품질 좋은 제품 생산과 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며, 기존의 학교
와는 다른 교육 이념과 커리큘럼을 가진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었다.

마르셀 브로이어, 격자의자(1924)
요스트 슈미트 바우하우스 전시포스터(1923)
데사우 바우하우스

발터 그로피우스도 멤버로 활약한 독일공작연맹의 목적은 미술, 공업, 수공예가 협력해
더욱더 향상된 공업제품을 생산해냄으로써 다른 국가들간의 산업경쟁에서 우위를 차지
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독일공작연맹의 의의를 계승한 바우하우스의 움직임은 시대
적인 흐름인 기능주의(functionalism)를 표방하였다.
바우하우스로 대표되는 기능주의로의 거대한 전환은 네덜란드의 데스 틸과 러시아의
구조주의와 같은 조형적인 관심의 유입과, 독일공작연맹의 규격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
았다.
바우하우스 내에서는 예술가와 공예가뿐만 아니라 학생들과의 위계나 차별 역시 불식
시킨다는 의미에서 교수대신 마이스터(Meister)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개교 이래 1923년까지 학생들은 스위스 화가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으로
부터 형태와 색채에 대한 기본 원리를 배우는 6개월간의 예비교육을 이수하고 도제
(apprentice)가 되어 다음 단계인 3년간의 공예교육과 형태교육으로 넘어갈 수 있
었다. 공예교육은 조각, 목공, 금속, 도자, 스테인드글라스, 벽화, 텍스타일 등의 실
기를 가르치는 각 분야의 공예 마이스터(Werkemeister)가 맡았으며, 형태교육은
자연과 재료에 관해 연구하고 공간, 색채, 구도 및 표현을 지도하는 형태 마이스터
(Formmeister)가 이끌었다.
헝가리 미술가 라슬로 모흘리나기(Laszlo Moholy-Nagy)는 기계를 “시대의 정신”으
로 받아들인 인물로 키네틱 아트(Kinetic Art)의 창시자가 되었다.

라이트 스페이스 모듈레이터(1922~30)

발터 그로피우스는 독일의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사이 유럽 예술의 흐름을 이끈 바우하우스 운동의 창시자로서 직접 설계한 데사우 바우
하우스(1925~1926)는 근대건축의 모범으로 간주할 만큼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니
고 있다.

 

요하네스 이텐은 노랑, 빨강, 파랑의 1차색을 기준으로 그 사이에 혼합색인 2차색을 배
치하고, 다시 1차색과 2차색 사이에 3차색을 배치하여 12색상환을 만들고 서로 마주
보는 색은 혼합하여 보색이 되도록 하였다. 다음에는 12색 상환을 기준으로 중심축에
무채색과 정 반대의 위치에 순색의 색상환을 갖춘 색구를 만들어 세로 6개의 선과 가로
12개의 선으로 색채를 나눠 색의 체계를 바로 잡았다. 두 위대한 예술가에 의해 바이마
르 바우하우스는 근대적 조형의 큰 틀을 제안하였으며, 모든 예술 창조 행위를 결집해
조각, 회화, 공예, 수작업 등의 모든 공방 예술들로 새로운 건축 언어를 재구성하였다.


2) 바우하우스의 역사
바우하우스가 존재했던 기간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바이마르 헌법이 시행되던 시기와
일치하며, 바우하우스는 모두 4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제1기 Bauhaus Weimar (1919~1925)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의 바이마르에서 국립으로 시작되었다.
이텐의 순수미술 경향의 교육은 수공예적인 것과 실질적인 경험을 병행하는 것으로 재
료 성질을 파악하여 창조력을 해방시키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고 조형의 가능성을 스스
로 알아차리게 하여 직감과 무의식을 중요시 하였다.
1923년 바우하우스 역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 새로운 교육이념, 즉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통일’이 제시되었다. 이것은 기계공업과 결부된 제품을 창조해야 한다고 선언하
였으며, 바우하우스 관련 출판물과 포스트를 제작했던 모홀리나기의 독특한 타이포그
래피와 레이아웃은 그 후의 바우하우스의 인쇄물의 큰 특징이 되었다

 

제2기 Bauhaus Dessau(1925~1932)
데사우시에서는 교사와 마이스터용 주택이 건설되었는데, 교사건물 자체가 바우하우
스 새로운 조형대학의 상징이 되었다. 1925년 그로피우스의 뒤를 이어 한네스 마이어
(Hames Mayer)가 학장에 취임하였는데, 마이어는 건축과를 바우하우스중심에 두어
바우하우스는 전문공과대학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1930년 학장 마이어는 정치활동 문
제로 해임당하고, 그 후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가 취임을 했다. 그의
기본 방침은 바우하우스를 교육기관으로서 특히 이상적인 건축교육의 장으로 정리, 통
일한다는 것이었다. 그로인해 바우하우스의 특징이었던 공방에서의 생산 활동은 후퇴
하게 되었으며, 1932년 바우하우스를 유태인의 소굴로 간주한 나치에 의해 폐쇄되었다. 또 이 시기에 ‘바우하우스 총서’ 14권을 간행하여 디자인 사고의 형성에도 기여했다.

예술과 기계기술의 결합을 강조한 바우하우스 교육이념

제3기 Bauhaus Berlin (1932~1933)
1932년 10월에 겨울학기 수업을 시작한 바우하우스는 나치의 탄압과 재정난으로 인해
해산된다. 그러나 바우하우스 이념은 해산한 망명 교사들에 의해 새로운 발전을 계속하
여 졸업생 막스 빌(Max Bill)이 울름 조형대학을 설립하여 바우하우스 정신을 계승하
였다.


제4기 New Bauhaus (1937~1938)
1937년 10월 시카고 미술공예협회의 후원으로 모홀리 나기(Laszlo Moholy-Nagy)
가 시카고에 설립한 미술 교육 기관으로 하버드 대학 건축과 교수였던 그로피우스
를 고문으로 하여 '뉴 바우하우스, 미국 디자인 학교(The New Bauhaus, American
School of Design)라는 명칭으로 36명의 학생들을 입학시켜 발족하였다. 그러나 관리
운영상의 실패로 이듬해인 1938년 폐쇄되었다. 이어서 1939년에 재차 뉴 바우하우스
시대에 협력했던 사람들과 함께 디자인 학교를 재설립하고 주간과 야간과를 병설하여
운영하였다. 1944년에는 '디자인 연구소(The Institute of Design)라 개칭하고 대학
으로 승격시켰다. 1952년에 '일리노이 공과 대학(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에
합병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이념은 근본적으로 독일의 바우하우스와 별 차이가
없지만 새로운 시대에 발맞춘 미국의 실정에 맞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
다. 기초 과정 18개월 후 전공 과정으로서 제품 디자인(product design) 부문과 커뮤
니케이션 디자인(communication design)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베르린 아카이브 디자인 박물관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교육의 특징
1. 교육으로서 가치있는 도구의 사용(기계)
2. 대량생산을 위한 굿디자인 문제해결
3. 창조적 디자인교육을 위해 유능한 교수 채용
4. 응용미술과 순수미술의 경계 해소
5. 예술과 공업시스템의 벽을 해소

 

나. 아르데코(Art Deco)
시각예술 디자인양식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에서 출현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세계 디자인계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존의 전통적 수공예양식과 기계
시대의 대량생산방식을 절충한 스타일인 아르데코는, 주로 풍부한 색감과 두터운 기하
학적 문양, 그리고 호화로운 장식성으로 대표된다.
아르데코는 대량생산을 위한 신기술을 포용하였고, 이 점이 아르데코의 시초라 여겨지
는 자연적인 모티프 중시하는 아르누보(Art Nouveau)와 구분되는 점이다. 역사학자
베비스 힐리어(Bevis Hillier)는 아르데코를 "비대칭보다는 대칭을, 곡선보다는 직선을
지향하며, 기계, 신물질, 대량생산 수요에 적합한 현대양식"이라고 정의했다. 기하학적
패턴을 강조하였고, 20세기 초 미국 뉴욕에 세워진 마천루의 대부분이 아르데코 양식
을 추구하였다. 아르데코의 전성기는 고급스러움, 매혹적, 풍부함, 그리고 신기술 발달
과의 병행으로 대표된다.

크라이슬러 빌딩(1930)
아르데코 파사드
스페인 뮤지카 카탈라나 팔라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