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1. 유럽의 현대디자인

반응형

11. 유럽의 현대디자인

* 디자인개요
현대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제2차 대전 이후를 말하며 인간이 가지는 감정적인 문제와
태도, 방향 제시와 세계적, 역학적, 철학적인 흐름을 표현하였다. 인간의 상상력과 창
조력을 중시하며 공간적, 시간적, 자연적인 것들과 동떨어진 환상적인 세계를 표현하였
으며, 자연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이 아닌 순수형과 기하학적인 직선과 형태, 공간, 색채
등을 위주로 표현하는 추상표현이 나타났다.


현대 디자인의 이론적 연구의 선구자이며 도시 거주자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에
노력한 르 코르뷔지에는 뉴욕의 국제연합 본부건물을 건립하였고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공업용 강철과 판유리와 같은 현대적인 재료들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근대
를 대표하는 건축양식을 성립하려고 노력하였다. 루이스 설리번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
다’라는 명제로 ‘기능은 형태를 창조하거나 체계화한다’라고 하여 미국적 생산 양식인
컨베이어 시스템 등의 자동적인 연속 생산방식을 개발하여 세계 최초 대중 소비시대로
진입하게 하였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처음 형성된 것은 1954년 ‘Design in
Scandinavian’이라는 전시가 열리면서부터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는 본
질이 서로 다름에도 실용적인 아름다움, 절제된 디자인을 추구하며 스칸디나비아 디자
인으로 분류되었다. 전통적으로 수공예의 전통을 이어왔으며, 지역적 재료의 특성을 살
린 개성적인 형태와 기교에 의한 스칸디나비안 양식이라는 독특한 디자인 특성을 이루
어내었다. 실용성을 중시하면서도 자연과의 조화를 잃지 않는 인간적 감성을 가진 디자
인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스웨덴은 향토주의적이며, 기능적인 디자인으로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값
싸고 훌륭한 품질의 제품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인간중심 사고에서 비롯된 가치관
을 추구하였다. 최근 북유럽 디자인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가구업체가 이케아인데 북유
럽 디자인을 대중화시킨 가구업체로 조립식 가구라는 컨셉트와 함께 좋은 디자인, 저렴
한 가격을 내세우고 있다. 덴마크는 수공예적 전통에 바탕을 두지만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를 수용하는 디자인으로 단순하고 간결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핀 율(Finn Juhl)은 1940년대 덴마크 디자인을 형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치프테인

 

현대적인 그릇들
핀욜의 이지체어

핀란드는 전통공예 정신을 바탕으로 단순성, 실용성, 유용성, 지속성을 유지하면서도
목재와 같이 자연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모험적이면서도 친근감이 내재된 디자인을 추
구하였다. 강한 인쇄 무늬와 비비드 컬러, 단색 배경 위에 추상적인 표현방식을 적용하
는 것이 특징이다. 핀란드의 알바 알토(Alvar Aalto)는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현대디자
인의 선구자로 디자인 특징은 나무를 사용하여 점과 곡선 위주의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