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북한 소설문학의 특성
1. 북한 소설문학의 창작원리
1) 주체적 인간학의 정립(교재 321쪽)
(1) ‘인간학’은 막심 고리키의 이론, 이 이론을 기초로 하여 김정일은 ‘주체적 인간학’을 내세움
(2) ‘주체사상’은 인간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철학적 원리에 기초함
(3) 이기영 땅의 주인공 곽바위, 천세봉 대하는 흐른다의 주인공 마영기, 김규엽 새 봄의 주인공 최명진, 고병삼 대지의 아침 주인공 강대우 등을 농민의 전형적 형상으로 제시함
2)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의 구현(교재 324쪽)
(1)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은 구소련 문예이론의 바탕이었음
(2) 맑스-레닌주의에서는 인민성을 가장 앞에 두지만, 북한 주체사상에서는 당성을 가장 앞세움
(3)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은 ‘수령형상 창조’라는 우상화 작업과 무관하지 않음
(4) 북한 문예이론의 특성
① 당성은 결국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강조하는 데 지나지 않음 : 독재화 과정의 이데올로기
② 계급성을 내세워 맑스-레닌주의 미학과 주체사상의 미학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려고 시도함
③ 주체적 문예이론의 인민성은 혁명과 건설의 주인인 인민대중의 자주적 요구를 실현하는 문제와 결부시켜 규명하였다고 함 : 주체사상이 ‘사람중심의 세계관’임을 자랑함
④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은 결국 미국과 남한의 반동적인 부르주아 문학예술의 침투전파를 막기 위함임
3) 종자론과 수령형상 창조(교재 328쪽)
(1) ‘종자’ : 문학예술작품의 핵,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를 의미함
(2)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의 원칙을 구현하는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가 ‘종자’임
(3) 수령형상 창조의 본질과 합법칙성의 강조 :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강조함
2. 최근의 북한 소설의 창작경향
1) 1970년대 북한 소설문학의 특성(교재 331쪽)
(1) 1990년대에 편찬된 북한의 조선문학사 14권에 실린 내용
① 김일성의 혁명역사에 대한 예술적 형상화 : 김일성의 유년시절, 총서 불멸의 역사 등
② 해방 후의 토지개혁투쟁의 형상 : 김규엽의 새 봄(1978)(봄의 서곡에서 제목이 바뀜)
③ 6·25전쟁(북한식 표현으로는 ‘조국해방전쟁’) 현실의 형상화
④ 사회주의 현실에 대한 다양한 형상화 : 남한 출신 지식인들의 혁명과 과정, 간부들의 혁명화 문제, 가정에서의 여성의 위치와 역할문제, 사상·기술·문화혁명의 모든 영역에서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운 현실과 비약을 창조하자는 내용, 노동계급의 사회주의 건설 모습의 형상화 등
⑤ 역사물 창작(장편역사소설의 창작)
2) 1980년대 북한 소설문학의 특성(교재 334쪽)
(1) 인텔리형상 창조(교재 335쪽)
- 이동구 양심과 운명 : 6·25전쟁 배경, 문학교수 박태식, 남한에 정치공작원으로 파견
- 김교섭 생활의 언덕 : 일종의 페미니즘 소설, 대학 나온 여성인텔리 기사들의 이야기
(2) 노동계급의 전형 창조(교재 337쪽)
- 김리돈 철의 신념 : 주인공 노장섭, 강재 일만 톤의 증산이 생의 목적이며 신념임
- 김보행 빈터우에서 : 주인공 주용녀, 남편의 전사, 반동분자에 의한 딸 사망, 친구의 배신
등을 이겨내고 북한 최초의 대형 양수기 생산하는 혁명적 과업을 이룩함
(3) 과학기술의 혁신문제와 청년전위의 주체적 등장(교재 337쪽)
- 염단웅 령마루 : 철광산의 기사장 현우림, 불치병, 광산의 종합기계화 등 성공시킴
- 장동일 밤노을 : 제철소 노동계급 ‘1980년대 속도’를 창조하기 위한 투쟁 묘사
- 정창윤 먼길 : 과학기술문제를 해결하려는 높은 이상을 실현하는 참된 과학자상 묘사
- 남대현 청춘송가 : 청년주인공, 강철직장, 현실주의자들과의 대립, 난관 극복·이상 실현
- 신용선 봄은 아직 멀리에 : 주인공 최정무, 새탄광, 개발자의 어려운 여건 극복
(4) 여성의 자주성의 문제(교재 338쪽) : 새시대의 주체적인 여성 전형 창조
- 김보행 녀당원 : 주인공 주용녀, 노동계급의 전형, 혁명적 수령관의 구현, 여성의 자주성
- 남대현 청춘송가 : 남주인공 애인 현옥, 직장동료 윤정아의 역할 비중있게 다룸
- 김수경 탄생하는 계절 : 여성과학자의 유연이, 15년 청춘을 바쳐 일에 매진함
- 김교섭 생활의 언덕 : 여성의 문제를 자주성의 문제, 자주적 인간의 문제로 승화시킴,
여주인공 정춘애, 여성 인텔리로서의 자각
3) 1990년대의 북한 소설문학의 특성
(1) 김정일의 형상 창조(교재 340쪽) : 1990년대에 들어와서 강화됨
- 단편소설집 소원 : 「소원」, 「빛나는 한생」, 「아리랑」 등 11편 모두 김정일에 대한 충성심과
사랑을 그리고 있음
- 현승걸 아침해 : 금속공업부 부총국장 지승하의 과오, 김정일이 한번 더 기회를 줌
- 이종렬의 예지 : 영화연출가 최승진의 과오를 ‘통 크고 담력이 있는’ 김정일이 기회를 줌
- 박현 불구름 : 민족해방전쟁을 겪는 어린이 김정일을 조명함
- 백남룡 동해천리 : 천리마고조, 70일 속도전, 사상·기술·문화의 3대 혁명을 주도한 김정일
의 수령형상 창조, 도농 간의 갈등·과학기술의 문제·농촌에 대한 사랑·이성 간의 애정문제·
세대 간의 갈등문제 등을 폭넓게 다룸
(2) 농촌에서의 삶의 가치 고양(교재 343쪽)
- 시집 궤도를 따라서의 리근지 「선희! 좋은 밤이다」 : 잘 익은 햇쌀냄새와 사랑하는 여인
선희의 이미지를 형상화함
- 문학작품집 1990~1991의 최준경 「도시처녀 시집와요」 : 선동성이 강하게 나타남
- 이태윤 「뻐꾹새가 노래하는 곳」 : 도 소재 고등학교 물리선생 ‘나’, 재혼, 전처 아들 ‘영익’을
시골로 보냄, 농장원이 된 농촌청년의 긍지, 시골처녀와의 결혼
- 이태윤 「사랑」 : 도시처녀 이현심, 농촌총각 임욱의 사랑 이야기
(3) 애정모티프의 대담한 등장(교재 344쪽)
- 정현철 「삶의 향기」 : 아버지와 아들 간의 애정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 세대 간의 갈등·이성
간의 문제· 주부의 역할과 사회적 위상 등의 문제
- 이태윤 「사랑」 : 신세대적인 애정관과 여성관, 북한 소설의 ‘사랑’에는 반드시 과학기술문제
가 연루되는 상투성을 보임
- 백남룡 동해천리 : 세 차례의 사랑 이야기, 북천강화학공장 지배인 차웅섭(58세), 노쳐녀
심혜옥(43세), 창조에 대한 열정과 애정의 힘+김정일의 도움으로 복직이 됨
(4) 과학기술문제와 과학환상소설의 창조(교재 347쪽)
- 황정상 푸른 이삭 : 바다개발 총연구소 연구사들, 주인공 진오석, 애인 동해미, 동료 정광원
- 박종렬 별은 돌아오리라 : 로봇 전문가인 노학자 한세웅, 북한의 핵과 관련한 방어논리를
간접적으로 홍보함
(5) 통일염원의 문학(교재 349쪽)
- 림종상 「쇠찌르레기」 : 세계적 조류학자 원흥길(북), 그의 막내아들 원병후(남) 사이의 이별의
한과 민족적 슬픔을 다룬 통일염원의 단편소설
4) 김정은 체제 이후의 북한 소설문학의 특성 : 여성노동력의 활용 모색(교재 350쪽)
※ 2012년 5월, ‘제1회 어머니날’ 제정
① 여성들에게 선심 쓰기를 통해 김정은 체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려는 의도
② 자신의 어머니 고영희의 우상화 시도에 앞선 정지작업의 일환
③ 출산인구를 늘리고 증산을 위한 여성노동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
(1) 남존여비적 여성상에서 주체적 여성상으로(교재 351쪽)
- 김순철 「다시 찾은 모습」 : 주인공 김미옥, 식료풍공장을 현대적인 공장으로 변모시킴, 친구
박미옥, 직장노동자와 가정주부로서의 두 가지 일을 동시에 병행하지 못해 괴로워함
(2) 생활의 보조적 역할에서 ‘주도적인 혁신자상’으로(교재 353쪽)
- 김혜영 「인간의 향기」 : 분조장 박윤식의 아내 우인향, 말썽꾸러기 기용만의 인간개조
(3) ‘꽃’의 이미지에서 여성인텔리의 전형으로(교재 354쪽)
- 김경일 「우리 삶의 주로」 : 여주인공 신해, 새 지배인 홍선희, CNC공정, 여성인텔리 묘사
'문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한국 근현대 소설의 흐름 (0) | 2022.09.14 |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7. 한국 현대시의 전개 (1) | 2022.09.13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희곡론 (0) | 2022.09.13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수필론 (0) | 2022.09.12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비평론 (1) | 2022.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