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의 이해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수필론

반응형

5장 수필론

1. 수필의 개념과 기원

1) 수필의 개념, 장르적 특성(교재 225) : ‘붓 가는 대로’, 자유로운 산문, 어떤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글 쓰는 자의 주관에 의해 자유로운 생각을 옮겨 놓은 글

 

2) 수필의 기원(교재 226)

(1) 동양의 수필(교재 226)

중국 당대(唐代) 시인 백거이의 송려호상공부태원시: 오늘날 수필이 개념과 다름

남송(南宋) 때 홍매(洪邁)가 자신의 문집에 󰡔용재수필󰡕이라고 표제를 붙임

우리나라 박지원의 일신수필: 󰡔열하일기󰡕에 포함됨

고전문학의 수필류는 문집(文集), 잡록(雜錄), 수록(隨錄)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됨

지금과 같은 장르적 개념으로 정착한 것은 1930년대에 들어와서임

(2) 서양의 에세이(교재 228)

에세이라는 말을 처음 자신의 글에 붙인 사람은 프랑스의 몽테뉴임(󰡔수상록󰡕)

이후 영국 베이컨의 수필집 󰡔The Essays󰡕가 출간됨

포멀 에세이(formal essay) : 베이컨형 에세이로, 시사적이거나 추상적인 문제를 주로 경구적·객관적으로 귀납하는 수필로 중수필(重隨筆)이라고 함

인포멀 에세이(informal essay) : 몽테뉴형 에세이로, 인생의 내면적·영적 문제를 주로 명상적·주관적으로 사색하는 수필로 경수필(輕隨筆)이라고 함

(3) 수필과 에세이(교재 230)

수필과 에세이를 같은 것으로 보는 견해 : 백철(󰡔문학개론󰡕)

수필과 에세이를 다른 것으로 보는 견해 : 곽종원, 문덕수, 유병석 등은 동양의 수필은 에세이 가운데 몽테뉴형의 인포멀 에세이 개념에 가깝다고 보았음

 

2. 수필의 특성과 형성과정

1) 수필의 특성(교재 231)

(1) 언어적 측면 : 정제된 언어(교재 231) 정제된 언어, 우아하게 잘 닦은 언어를 기본으로 함

(2) 형식적 측면 : 무형식의 형식(교재 233) - 수필 형식의 다양성 강조

(3) 제재의 측면 : 제재의 다양성(교재 234) - 백철 󰡔문학개론󰡕, 김진섭 수필의 문학적 영역

(4) 내용 전달방법의 측면 : 고백의 문학(교재 235) - 작가 자신이 전면에 나서서 이야기함

 

2) 한국의 수필과 수필가(교재 235)

(1) 1920년대 초반 동인지 󰡔백조󰡕에 박종화, 이광수, 박영희, 현진건 등이 발표 - 1927년 최남선의 백두산 참관기, 심춘순례등 기행문 발표 1930년대 이후 김기림의 수필을 위하여(󰡔신동아󰡕, 1932), 김광섭의 수필문학소고(󰡔문학󰡕, 1934. 1.) - 1938󰡔박문(博文)󰡕이라는 수필 전문잡지가 창간되어 1940년까지 20여 호를 발행함

(2) 1930년대의 수필가(교재 236)

이태준, 이효석, 박태원, 김기림, 정지용, 이상, 노천명 등 김기림과 이태준의 활약이 컸음

김기림 : 대중적인 신문 매체에 적합한 유형, 주로 대도시의 번화한 거리 풍경을 제재로 함

이태준 : 소수의 교양 독자를 대상으로 한 매체에 적합한 유형, 대체로 고적한 집안에서 화단, 화분, 서화 등을 제재로 한 관조적인 작품을 다수 창작함

(3) 이태준의 수필 세계(교재 236)

1930년대 대표적인 소설가, 광복 전까지 소설, 희곡, 수필, 아동문학, 기행문, 비평문, 문장론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창작한 전방위적인 작가임

② 󰡔문장강화󰡕(1940), 󰡔서간문강화󰡕(1943), 󰡔상허문학독본󰡕(1946) 등 비평서 등도 펴냄

이태준은 수필을 오늘날의 경수필 개념에 가깝게 정의하였음

이태준의 󰡔무서록󰡕(1941) : 순서 없이 묶은 57편의 글을 수록한 수필집

(4) 김진섭과 이양하의 수필 세계(교재 238)

김진섭 : 논리적·사색적인 수필(생활인의 철학) - 베이컨의 에세이에 비교됨

이양하 : 서정적·회고적인 수필(신록 예찬) - (C. Lamb) 에세이와 유사함

(5) 윤오영의 수필 세계(교재 240)

첫 수필집 󰡔고독의 반추󰡕(1974)󰡔수필문학입문󰡕(1950)을 출간함

한학에 조예가 깊음, 내간체의 특징을 잘 살린 간결하고 절제된 문체와 서정적인 문장 추구

수필이 문학의 한 장르임을 강조하고 기타의 잡문이나 만필과 구별되어야 함을 역설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