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비평론
1. 문학비평의 어원과 개념
1) 문학비평의 어원(교재 161쪽)
(1) 비평은 말을 공평하에 하여, 사물의 선·악, 시·비, 미·추를 구별하여 평가하는 작업을 말함
(2) 동양 :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비평이란 뜻의 용어로 ‘지음(知音)’을 사용함
(3) 서양 : 비평(critique)의 어원인 그리스어 ‘Krino’는 ‘판단하다, 감정하다, 재판하다’의 뜻, 라틴어 ‘Criticus’는 ‘재판관, 감정가, 심사원’의 뜻, 영어 ‘criticism’의 형용사인 ‘critical’은 ‘비평적’과 ‘위기’의 두 가지 뜻이 담겨 있음
2) 비평의 개념(교재 163쪽)
(1) 비어즐리 : 모든 비평행위의 원형을 단순하게 도식화함 - ① 대상에 대한 평가, ② 그 평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의 양 측면을 모두 의미하는 것
(2) 체호프 : 비평가를 ‘소꼬리에 귀찮게 달라붙는 파리’라고 혹평함
2. 문학비평의 특성(교재 164쪽)
(1) 롤랑 바르트 : 언어학자인 로만 야콥슨의 이론을 근거로 문학비평을 대상언어에 작용하는 메타언어라고 명명함
(2) 비평은 객관적 지식이나 진실보다는 작품구조 속의 전후관계 등에 대한 논리·분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김수영의 「풀」에서 ‘풀’의 해석 등)
(3) 허쉬 : 작품 텍스트의 분석과정에서 해석과 이해를 구별함
(4) 비평은 ‘(작품의) 해명-교정-이해·향수-설명’의 단계를 거침(임철우 「달빛밟기」 등의 예시)
(5) 엘리엇 : 문예비평의 본질적 기능은 “예술작품의 해명(解明)과 취미의 교정(矯正)에 있다”고 함
3. 문학비평의 방법론(교재 170쪽)
※ 비평의 분류
① 웰렉 : 비평을 외재적 비평(모방론·효용론·표현론)과 내재적 비평(존재론)으로 나눔
② 비평을 행위론(의향중심)과 대상론(감정론, 의미이론, 구조이론 등)으로 구분하기도 함
③ 개별비평의 방법론 : 역사·전기적 비평(역사학), 형식주의·구조주의 비평(언어학), 사회·문학적 비평(사회학과 마르크시즘), 심리주의 비평(정신분석학과 심리학), 신화·원형 비평(종교학), 현상학적 비평(수용미학 이론), 생태학적 비평(생태학) 등
1) 역사·전기적 비평(교재 172쪽)
(1) 생트뵈브와 텐
① 19세기 프랑스 비평가로, 역사·전기적 비평의 선두주자
② 생트뵈브 : ‘그 나무에 그 열매’, 텐 : ‘인종·환경·시대’라는 문학결정의 3요인 제시
(2) 그레브스타인 : 비평의 여섯 가지 주요 요소(원전, 언어, 전기, 명성과 영향, 문화, 문학적 관습)
① 원전의 확정 : 「춘향전」의 경우 100여 종의 이본(異本)을 살펴 어떤 판본을 분석대상으로 삼을 것인지를 확정해야 함
② 언어의 규명 : 「청산별곡」, 김유정 「동백꽃」 등, 장정일의 「아파트 묘지」의 시어, 작품에 나오는 언어의 교정 문제(이육사의 최초작 「말」의 오탈자 등)
③ 전기 : 가장 중심적인 영역은 작가연구임 – 리온 이들(‘포괄적 연대기, 문학적 초상화, 유기적 전기’ 중에서 ‘유기적 전기(비평적 전기)’를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함)
④ 명성과 영향 : 「장화홍련전」이라는 고소설이 개화기 무렵 딱지본(신활자본)으로 출간되어 13판이나 인쇄를 거듭한 사실에 대한 연구, 작가와 독자, 동료 등과의 영향관계
⑤ 문화 : 문학은 당대 문화의 시대정신을 반영함 – 테리 이글턴, 트링링 등의 이론
⑥ 문학적 관습 : 해리 레빈의 용어
(3) 역사·전기적 비평에 대한 비판 : 형식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음
① 작품 자체에 대해서는 소홀하게 된다는 점
② 작품의 과거성에만 집착하여 작품의 현재성에 소홀함
2) 형식주의 비평(교재 178쪽)
※ 형식주의 비평
① 문맥적 비평, 본질적 비평 –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비평으로 자리 잡음
②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 이론, 칸트의 ‘무목적의 목정성’, 콜리지의 이론에서 영향을 받음
(1) 러시아 형식주의(교재 179쪽)
① 대표적인 학자 : 아이헨바움, 슈클로프스키, 야콥슨, 프로프, 토마체프스키, 티니아노프 등
② 1930년대 초 러시아에서 마르크스주의 비평이 득세하면서 활동무대를 체코로 옮겨 야콥슨·무카로프스키·웰렉 등을 주축으로 프라하 학파를 형성함
③ 야콥슨의 ‘문학성’, 슈클로프스키의 ‘낯설게 하기’와 ‘난해하게 하기’, 티니아노프의 ‘역동성’의 개념, ‘체계들 중의 체계’ 개념, 프로프의 민담의 형태학 등
(2) 신비평(교재 182쪽)
① 1941년 랜섬의 신비평으로 시작된 비평운동 : 브룩스·워렌·테이트·블랙머·윔사트 등
② 주로 리처즈와 엘리엇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음
③ 의도의 오류(작가의 의도에 매달림), 감정적 오류(독자에게 주요 감정적 효과에만 치중함)
④ 엠프슨의 ‘애매성’, 랜섬의 ‘결(texture)’, 테이트의 ‘긴장(tention)’, 리처즈의 ‘아이러니(irony)’, 브룩스의 ‘패러독스(paradox, 역설)’
(3) 신아리스토텔레스 학파(교재 184쪽) : 부스의 논문 「서술과 극화」의 논쟁에서 비롯됨
(4) 형식주의 비평의 한계점
① 시인의 개인적인 상황이나 시대배경 등을 무시하고 오직 작품에만 초점을 두는 경향
② 문학작품이 어느 정도 그 당대 사회의 시대정신을 반영한다는 것을 무시함
③ 어떤 작품에 대해 언어·이미저리·서술 등 특정한 문제만 강조했을 뿐 그 밖의 점은 도외시함
3) 구조주의 비평(교재 185쪽)
(1) 소쉬르의 구조언어학적 방법에 기초함 : 신화·인류학적 방법(레비스트로스)과 문학분석연구의 방법(그레마스·토도르프·롤랑 바르트·주네트 등)으로 나뉨
(2) 문화현상, 문화적 활동 내지 산물도 결국 하나의 사회적 제도 혹은 ‘의미체계’라고 파악함
(3) 피아제의 의미 체계 : 전체성·변형·자동조절성
(4) 소쉬르 : 기호는 시니피앙(signifiant, 음성 이미지)과 시니피에(singifié, 개념 또는 의미)로 구성됨. 또 구조적 언어인 랑그(langue, 언어)는 기호로 조직되어 있는데, 이것이 음성이미지인 시니피앙(기표)와 그것에 해당하는 개념과 의미인 시니피에(기의)로 나뉨
(5) 무카르조프스키(자율적인 기호), 보디즈카 : 러시아 형식주의에서 현대 구조주의로 이행함
(6) 로트만 : 시적 텍스트는 ‘체계들의 체계’임
(7) 설화에 관한 연구 발전 : 그레마스, 토도르프, 주네트, 브레몽 등
(8) 구조주의 비평의 한계
① 하나의 방법론에 머물고 있다는 비판을 받음
② 공시적 관점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 변화를 도외시함
③ 구조주의 비평에서 상정하는 기본구조는 굉장히 추상적이고 공허해서 문학의 질을 형성하고 있는 모든 특수한 것들을 소홀히 다룬다는 비난을 받음
4) 사회·문학적 비평(교재 187쪽)
(1) 마르크스 비평(교재 188쪽)
① 마르크스는 텐의 ‘인종·환경·시대’의 3요인설에 경제적 요소를 추가함
②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그 시대에 가장 중심이 되는 계급의 구조와 갈등에서부터 파생되는 ‘이데올로기’ 내지 ‘상부구조’를 주장함
(2) 문학사회학 이론(교재 189쪽)
① 프랑스의 골드만, 독일의 아도르노·벤야민·블로흐·피셔 등
② 저서 : 골드만(숨은 신, 변증법적 연구, 근대소설의 사회학), 하우저(예술과 문학의 사회사, 예술사의 철학), 아우얼바하(미메시스), 에스카르피(문학사회학), 벤야민(현대예술과 사회), 루카치(영혼과 형식, 소설의 이론, 역사와 계급의식)
③ 루카치 : 전체성(총체성) 이론에 따라 문학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 이상소설 :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 낭만소설 : 플로베르의 「감정교육」
- 교양소설 :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④ 르네 지라르 : 「돈키호테」부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이르기까지 주요 서양 소설들에 공통되는 구조를 밝힘 - 「돈키호테」는 기사도 소설 모방, 「보바리 부인」은 낭만주의 소설의 여주인공들을 모방, 쥘리앵 소렐은 나폴레옹을 모방함
⑤ 골드만의 ‘세계관’ : 작품 속에 나타난 집합의식 또는 사회집단의 정신구조
- 소설사회학을 위하여 : 문제아 주인공 소설(타락된 사회, 타락된 방식으로 가치 추구)
5) 심리주의 비평(교재 194쪽)
(1) 심리학 소설 : 조이스 「율리시즈」, 울프 「댈러웨이 부인」, 포크너 「음향과 분노」, 이상 「날개」
(2) 심리주의 비평가 : 리드, 버크, 보드킨, 프라이 등
(3) 프로이트 : 꿈의 해석
① 무의식 제시, 인격은 이드(id), 에고(ego), 슈퍼에고(superego, 초자아)로 체계화된다고 함
② 이드는 심적 에너지의 원천, 심적 에너지는 본질적으로 리비도(libido, 성적 에너지)임
③ 이드는 리비도를 ‘쾌락원칙’에 따라서 쾌락, 즉 반사동작이나 본능적 행위, 욕구충족에 사용하여 소비함. 이드의 기능이 제한되면 잔여의 에너지를 원동력으로 해서 에고와 슈퍼에고 형성
④ 에고는 ‘현실원칙’에 의해서 지배되며, 초자아의 지령과 이드의 욕구를 조절하고 의식을 통합해서 현실을 이해하고 대상을 파악함
⑤ 초자아는 이드를 억제하고 조정하는 감시역할을 하며 ‘도덕적인 원칙’에 의해 움직임
(4) 라캉 : “무의식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조직되어 있다”고 함
(5)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쾌락원리에서 현실원리로의 이행을 나타냄
(6)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의 제자 아들러와 융(집단 무의식, 원형, 페르소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림자, 자기 등)으로 이어지고 이는 신화·원형 비평이 형성되는 밑거름이 됨
6) 신화·원형 비평(교재 201쪽)
(1) 신화의 체계가 문학작품 속에 하나의 원형의 패턴으로 존재한다고 믿는 데서 출발함
(2) 프레이저, 말리노프스키 등의 문화인류학자와 융 등의 심리학자의 영향이 컸음
(3) 프레이저 황금가지, 레비 스트로스 신화의 구조적 연구, 말리노프스키 미개사회의 성과 억억압, 서태평양의 선원들 등
(4)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과 ‘원형’의 개념
① 옛 조상들의 생활 속에서 되풀이되는 체험의 원초적 심상, 정신적 잔재가 원형인데, 이것은 집단무의식 속에 유전되어 개인적 체험이 되고 이것이 개인의 환상 속에서 표현됨
② 페르소나(탈, 겉면), 정신의 내면인 아니마(남성적인 정신에서의 여성적인 측면), 아니무스(여성적인 정신에서의 남성적인 측면), 그림자(동물적 본성, 악마 이미지), 자기(self) 등이 있음
(5) 노드롭 프라이 : 비평의 해부
① “신화는 궁극적으로는 문학형식의 구조적 조직 원칙인 ‘뮈토스(mythos)’를 의미한다”
② 문학의 네 요소인 뮈토스 : 봄(희극, comedy), 여름(로맨스, romance), 가을(비극), 겨울(아이러니와 풍자)
7) 페미니즘 비평(교재 207쪽)
(1) 매리 울스턴크래프트 : 여권옹호론, 계몽주의 페미니즘
(2) 일레인 쇼왈터 : ‘여성비평’의 영역 창조 – 언술은 페미니스트들의 많은 관심을 끌게 됨
(3) 버지니아 울프 : 사회적 조건을 여성저술에 포함시킨 최초의 여성비평가
(4) 주디스 키건 가디너 : 여성정체성 이론
8) 독자중심 비평(교재 209쪽)
(1) 슐라이어마허에서 가다머까지의 해석학(교재 209쪽)
(2) 수용미학 이론(교재 213쪽) : 야우스(‘기대지평’과 ‘지평의 전환’)와 이저(불확정성, 심미적 효과이론)에 의해 정립됨
9) 문화연구방법(교재 215쪽) : 버밍햄 현대문화연구소
(1) 윌리엄스(문화와 사회, 장구한 혁명), 호가트(읽고 쓰는 능력의 효용) 등
(2) 호가트(초대 연구소장), 스튜어트 홀(2대 연구소장, ‘역사성, 실천성, 갈등’ 강조)
(3) 문화의 ‘일상성’, ‘물질성’, ‘역사성’, ‘실천성’, ‘갈등’, ‘총체성’ 강조, 학제 간 연구 중심
10) 생태학적 비평(교재 217쪽)
(1) 생태학 : 1866년 독일의 동물학자 헤켈이 처음 사용함 – 영어 ‘ecology’의 어원은 그리스어 ‘eokologia’임(오리코(집)+로지아(연구)의 합성어 – 집을 연구하는 학문)
(2) 생태담론 : 심층생태론(아르네 네스), 사회생태론(머레이 북친), 생태페미니즘
(3) 조셉 미커 : ‘문학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함
(4) 생태비평 : 에코크리티시즘(Ecocriticism), 미국 루커트가 처음 사용함
'문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희곡론 (0) | 2022.09.13 |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수필론 (0) | 2022.09.12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소설론 (0) | 2022.09.11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시론 (1) | 2022.09.10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문학이란 무엇인가 (1)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