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의 이해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희곡론

반응형

6장 희곡론

1. 희곡의 개념과 본질

희곡은 보통 무대상연을 염두에 두고, 특정한 연극적 관습에 따라 인간의 행도와 대화 등을 통해 표현된 허구적 문학작품이라고 정의함

 

1) 희곡의 특질

(1) 연극성, 상상으로 채워지는 텍스트(교재 247) : ‘구멍 뚫린 텍스트

레제드라마’ : 읽히기 위해 쓰인 희곡을 말함

(2) 희곡의 연극적 관습(교재 248)

희곡은 작품의 길이나 시공간적 배경 등의 규모, 사건과 등장인물의 형상화, 표현의 방식 등에서 소설처럼 자유롭지 않음

소설은 길이의 제한이 없지만 희곡은 상연시간의 제한 때문에 일정한 길이 이상이 될 수 없음

소설의 공간적 배경은 무제한으로 자유롭지만 희곡은 무대 상연이니만큼 배경의 제한이 있음

서술자를 내세우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인 것, 인물의 내면묘사 등을 표현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음

(3) 행동과 대화의 문학(교재 248)

극을 의미하는 ‘drama’움직이다, 행동하다는 뜻을 가진 ‘dran’이라는 단어와 결과를 뜻하는 명사형 어미 ‘ma’가 결합(dran+ma)된 단어임

연극배우를 나타내는 ‘actor’, ‘actress’라는 단어도 행동하는 사람을 뜻함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 희곡은 행동하는 인간에 의해서 보는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이다.

화자(narrator)를 통해 이야기가 자유롭게 전개됨 대화의 문학

(4) 희곡의 특성(교재 249) : 무대상연을 전제로 하며(연극성), 작가나 서술자의 개입이 없으며(직접성), 작중인물의 수나 무대, 시간 등에서 한정되어야 한다든가, 압축적이고 극적이어야 한다는 제약을 가지며(제약성), 극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갈등과 해결, 반전 등 플롯을 소설보다 선명하게 드러내며(극적 긴장감), 구어체의 대화를 통해 인물의 성격, 사건의 발전, 심리의 변화 등을 생생하게 드러내는(대화성), 이야기로 된 허구적인 장르(서사성)

 

2. 희곡의 요소

1) 플롯(교재 252)

(1) () : ‘호랑이()+돼지()+()’의 조합으로 되어 있음 갈등, 대립 등이 포함됨

(2)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을 비극의 영혼이라고까지 표현할 정도로 플롯을 매우 중시함

(3) 플롯의 유형 : 개방희곡과 폐쇄희곡

폐쇄희곡 : 엄격성과 집중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적인 희곡을 말함

인간의 행동, 집약된 시공간, 압축된 사건 갈등과 대립이 두드러짐

통일성과 완결성을 지닌 극적 구성의 희곡을 말함

그리스 비극, 17세기 신고전주의 희곡, 19세기 잘짜여진 극등이 있음

개방희곡 : 다양한 시공간 속에서 다양한 인물들의 다양한 사건이 삽화적으로 전개되는 희곡

장면과 장면 사이의 연결관계가 느슨하고 제한되지 않음

중심인물의 중심 줄거리와 부수적인 줄거리가 복합적으로 전개됨

브레이트의 코카서스의 백묵원, 셰익스피어 안토니오와 클레오파트라

(4) 플롯의 단계

3부 구성 : 폐쇄희곡의 구성, ‘시작-중간-’, ‘가능성-개연성-필연성의 원칙으로 진행됨

5부 구성 : 프라이타크의 󰡔희곡의 기교󰡕에서 제시됨

피라미드형, ‘도입-상승-정점-하강-파국의 구조

폐쇄적인 5단계의 구성에만 해당될 뿐 다른 현대극 구조를 설명할 수는 없음

 

2) 언어(교재 255)

(1) 무대지시문 : 대사를 제외하고 무대 위의 모든 일에 대한 지시가 무대지시문에 의해 이루어짐

(2) 대사 : 희곡에서 대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적임

대화 : 간략하고 집중화된 대화, 통사적 논리 정연성, 성격을 나타내고 플롯을 진행시켜야 함

독백 : 모노로그(monologue)라고도 함. 독백은 연극적 약속, 극적 관습임

방백 : 상대역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짧게 몇 마디 던지는 것, 연극적 관습

침묵 : 침묵도 중요한 희곡언어로서, 특별한 의미를 생산해 냄

3) 인물(교재 260)

(1) 유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교재 261)

유형적 인물은 이야기의 전개를 평면적으로 만들고 생동감을 떨어뜨리며 작품의 개성을 살리기 어렵게 함

16~17세기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즉흥대사와 연기를 한 인물들은 유형적 인물이었음

18세기 이전까지는 대부분 유형적인 인물이었다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이후에 보편적·도덕적 상투성에서 벗어나 흥미롭고 개성적인 인물들이 나타남

개성적 인물은 강렬한 개성과 다양성이 중요하며, 극 전반을 통해 온전한 성격으로 발전함

포스터는 개성적 인물을 입체적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음

(2) 주동인물과 반동인물(교재 262)

주동인물 : 극 중에서 초점이 맞춰진 중심적인 인물로 갈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인물임

반동인물 : 주동인물 다음으로 중요한 인물로, 주동인물과 갈등을 일으키는 반대의 인물임

18세기 이전까지 주동인물은 비범한 인물이었으나 18세기 초부터 평범한 인물이 주동인물로 등장함 : 아서 밀러의 세일즈맨의 죽음의 주동인물은 서민계층을 대표함

반동인물이 주동인물보다 신분이나 권력, 지력 등이 강할 때 갈등은 훨씬 심해짐

비극의 반동인물은 주인공과 갈등하는 대립인물로 동반자 역할이지만, 멜로드라마에서는 주인공을 박해하는 악인으로 등장하는 일이 많음

 

3. 희곡의 종류

1) 비극(교재 263)

(1) 비극의 정의(교재 263)

고대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축제의 종교적인 의식의 하나에서 시작됨

비극의 특징

- 주동인물이 운명이나 성격이나 상황 등에 부딪혀서 투쟁하다 좌절함

- 갈등과 투쟁이 강하게 드러나고 진지하고 장중한 분위기에서 진행됨

- 비극의 주인공은 선을 대표하고, 반동인물과의 갈등은 선악 간의 갈등으로 표현됨

-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비극적 결함은 운명적인 것, 이후의 비극에서는 성격적인 것, 혹은

개인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생기는 것으로 변화함

- 비극적인 결함에 의해 주인공은 파멸에 이르게 됨

(2) 비극의 효과(교재 263) : 아리스토텔레스는 연민과 공포를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낀다고 함

카타르시스는 일종의 정신적 배설, 혹은 정화를 뜻함(감정의 정화)

(3) 비극의 역사와 종류(교재 265)

운명비극 : 숭고한 인물(영웅적인 인물)이 주인공, 파멸에 이르는 원인은 운명적인 결함

성격비극 : 인간의 성격적 결함에 의한 패배를 묘사하는 비극.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오만함), 맥베스(야심), 오셀로(의심), 햄릿(우유부단함)

사회비극 : 19~20세기, 한 개인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사회와의 갈등 끝에 개인이 패배하는 이야기. 밀러의 세일즈맨의 죽음, 입센의 인형의 집, 쇼의 워렌 부인의 직업

 

2) 희극(교재 266)

(1) 희극의 기원과 정의(교재 266)

희극은 사회적·종교적·도덕적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이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한바탕 놀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음

희극은 축제의 정신과 동시에 사회비판적인 성격을 가짐

(2) 희극의 특징(교재 266)

월폴 : “세상은 생각하는 자에게는 희극이고, 느끼는 자에게는 비극이다

희극은 보통보다 열등한 인간을 내세움 : 웃음거리의 대상이 되는 인물

코메디아 델라르테가 대표적임

인간성의 불합리나 사회의 무질서, 모순, 부조화 등에서 빚어지는 웃음에 더욱 주목함

희극은 비극에 비해 지적이고 비판적임

(3) 희극의 종류(교재 267)

상황희극, 소극, 성격희극, 낭만희극, 사상희극, 풍습희극, 사회희극 등으로 나눔

좁은 의미에서의 희극은 소극과 구별하여 문학적으로 수준 높은 해학극을 지칭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