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시론
1. 시어의 특성
1) 시어와 일상어(교재 36쪽)
(1) 시어와 일상어는 다르다(교재 37쪽)
① 18세기 서양 고전주의에서 뚜렷하게 나타남
② 한국에서는 1920년대 초·중반의 상징파와 낭만파 시인이 받아들임
③ 황석우 : “시에 사용되는 말”은 “영어(靈語)”, 곧 영적인 말이라고 함
④ 시어(詩語)는 고아(高雅)하고 아름답고 장식적인 언어라고 보는 시관
(2) 시어와 일상어는 다르지 않다(교재 37쪽)
① 서양 낭만주의에서 널리 받아들인 견해 : 시인 워즈워스, 미국 신비평가 워런
② 시어, 즉 자연스럽지 못하고 꾸며낸 말투, 수사학적 기교를 거부함
③ 워즈워스 : ‘시골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시어로 선택해야 한다고 함
(3) 언어의 용법과 목표가 다르다(교재 38쪽)
① 무카로브스키 : 시적 언어는 고유한 속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기능에 의해서만 규정될 수 있음
② 최재서 : 문학원론에서 시적 언어와 일상어의 차이를 ‘쓰는 방법’의 차이 면에서 기술함
③ 실험 : “나는 맹인입니다”와 “나는 봄을 볼 수가 없습니다” - 시의 언어와 일상의 언어, 또는 과학의 언어와의 차이를 잘 보여줌(프랑스 시인 앙드레 불톤)
(4) 언어의 과학적 용법과 정서적 용법(교재 41쪽) : 리처즈의 이론(시의 언어=의사진술)
2) 시어의 특성(교재 42쪽)
(1) 언어의 내면적 의미와 외연적 의미(교재 42쪽)
① 외연적 의미 : 사전에 정의된 대로의 말의 일반적 의미
② 내연적 의미 : 특정한 문맥 속에서 독자가 외연적 의미 이외에 파악,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의미들을 말함. 곧 함축적 의미를 가리킴
③ 시의 언어는 외연적 의미, 즉 개념 지시의 차원을 넘어선 언어의 상태를 지향함
(2) 함축성(교재 43쪽)
① 개인적 체험의 결과로 부가된 의미 : 서정주의 시 「아지랑이」에서 ‘공덕동’
② 민족적·문화적 또는 특정 사회적 경험과 전통에 의하여 첨가된 의미 : 이상화의 시 「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지금’, ‘남’, ‘땅’ 등
③ 인류 보편적 체험에 관계된 의미 : 가장 흔한 함축적 의미에 해당함
④ 함축성이란 하나의 기호 속에 여러 가지 다양한 의미와 분위기, 상징들이 한꺼번에 녹아 있는 것을 말함 :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
(3) 애매성(교재 46쪽)
① 애매성의 서양 원어는 ambiguity로서 이 말은 ‘두 길로 감’이라는 뜻
② 애매성은 명백성의 반대로서 일반적인 글에서는 피해야 할 결함이지만, 시에서는 오히려 애매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미의 풍부를 기할 수 있음
③ 애매성은 ‘뜻겹침’이라는 말로 번역되기도 함. 애매성은 ‘결함’이 아니라 일종의 ‘능력’임
④ 엠프슨 : 애매성의 7가지 유형에서 이 주제를 다룸
(4) 함축성과 애매성(교재 46쪽)
① 함축성이 좀 더 넓은 범위에서 시어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애매성은 함축성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함축성의 연관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② ‘함축성’이 언어가 지시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그것을 넘어선다는 차원에 중점이 주어진다면, ‘애매성’은 언어가 둘 이상의 의미를 암시한다는 것은 풍부한 시적 자질이라는 점을 옹호하기 위해 시의 개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됨
(5) 시어의 역설 : 시란 기존의 언어, 일상어를 사용하면서도 기존의 언어와 다른 특수한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는 일
2. 서정시의 본질과 현대의 서정시
1) 서정시의 기원과 본질(교재 48쪽)
(1) 포이에시스와 리릭(교재 48쪽)
① 포이에시스(poesis) : 이 말은 원래 자연과 대응하여 인간이 제작한 인공물의 총칭을 뜻하던 것이 이후 의미가 좁혀져 문학 일반을 뜻하는 말로 사용됨
② 고대 사회에서 시(poesis)는 서정시(lyric), 서사시(epic), 극시(drama) 양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는 고대의 리릭(lyic)이 현대적으로 수용된 협의의 시(poetry)와는 장르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함
③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lyic)의 하위 장르로는 ‘오드’, ‘에피그램’, ‘발라드’, ‘철학시’ 등과 더불어 동명의 하위 장르로서의 서정시(lyic)란 명칭이 포함됨 : 전자를 넓은 의미, 후자를 좁은 의미의 서정시라고 부름
(2) 서정시의 특성(교재 49쪽) : ① 일인칭 화자의 독백적 진술, ② 주관적·내면적 정서와 의식의 표출, ③ 동일화의 원리, ④ 현재성, 순간성
2) 서정시의 변화와 현대의 서정시(교재 52쪽)
(1) 전통적 서정시(교재 52쪽) : 김소월의 「진달래꽃」, 한용운의 「님의 침묵」, 정지용의 「향수」, 서정주의 「화사」, 「귀촉도」 등
(2) 현대시의 변화와 탈서정의 흐름(교재 52쪽)
① 전위적인 실험시, 해체시, 무의미시, 초현실주의 시 등
② 1930년대 이상의 시, 기문수, 조향 등의 무의미시, 전위적인 실험시, 초현실주의 시, 1980년대 황지우의 시 등
3. 시의 운율(교재 55쪽)
※ 운율과 이미지 : 고전시가에서는 현대시와 달리 운율이 두드러지는 장르였으나 현대시에서는 이미지가 시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
1) 운율의 개념과 형성요소(교재 56쪽)
(1) 운율과 반복(교재 56쪽) : 소리 자질의 반복(김영랑 「끗없는 강물이 흐르네」), 구문이나 의미상의 반복(어휘, 어구, 문장의 반복, 김소월 「금잔디」), 병렬(김현승 「우수(憂愁)」) 등
(2) 운(韻, rhyme)(교재 59쪽) : 일정한 소리가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되는 것
① 두운(頭韻) : 이상화 「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② 요운(腰韻) : 중간운으로, 한국어의 특성상 요운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체로 각운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③ 각운(脚韻) : 한시의 압운
④ 김억의 「봄은 간다」 : 두운과 요운, 각운이 함께 사용된 경우로서, 한국 시에서는 드문 사례
(3) 율(律, meter)(교재 61쪽)
① 고저나 장단, 혹은 강약과 같은 율격적 특징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율격이라고도 함
② 운과 율은 규칙성과 반복성의 공통점을 지니나, 律은 소리의 시간적 질서 위에서 나타나는 길이의 반복이며 韻은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되는 규칙성이라는 점이 서로 다름
③ 운율은 그 언어의 율격적 특징에 지배를 받음 : 고대 그리스 라틴어의 장단율, 독일어와 영어의 강약률, 고대 중국어의 고저율 등(서양의 라임(rhyme), 중국의 平仄(복합율격))
(4) 한국시의 율격 논의(교재 62쪽)
① 음수율(7.5조, 4.4조 등), ② 음보율 : 3음보(고려속요, 민요 등의 서민적인 리듬), 4음보(시조, 가사 등 사대부 문학의 리듬), 김소월의 시(「금잔디」, 3음보 구현)
2) 현대시와 운율(교재 62쪽)
(1) 운율의 일탈과 위반 : 이상 「지비(紙碑)」, 「오감도」 등(띄어쓰기 파괴)
(2) 운율은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다 : D. W. 프랠 – 영화 <일 포스티노>의 예시
4. 시와 이미지
1) 이미지의 개념(교재 65쪽)
(1) 시에서의 이미지는 철학, 심리학 분야와 달리 언어를 매개로 한다는 차이가 있음
(2) 루이스 : 이미지를 ‘언어로 그린 그림’이라고 함(이장희 「봄은 고양이로다」, 정지용 「유리창」)
2) 이미지의 유형(교재 68쪽)
(1) 지각 이미지 : 시각 이미지(김광균 「뎃상」), 청각과 후각 이미지(박두진 「묘지송」), 촉각 이미지(정지용 「유리창」), 근육감각 이미지(이상화 「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미각과 후각 이미지(백석 「여우난곬족」)
(2) 비유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
① 비유적 이미지 : 서정주 「자화상」, ② 상징적 이미지 : 서정주의 시에 등장하는 ‘눈썹’의 상징
5. 시와 비유
1) 비유의 개념과 원리(교재 76쪽)
(1) 아리스토텔레스 : 비유 중에서도 은유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함
(2) 수사학적 비유와 시적 비유
① 수사학적 비유 : 책상다리, 바늘귀, 인생의 황혼기, 역사의 강물 등 – 상투적인 비유, 죽은 비유
② 시적 비유 : 이육사 「절정」(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 기형도 「조치원」(청년들은 톱밥같이 쓸쓸해 보인다)
(3) 비유의 원리 : 유추와 전이(교재 79쪽)
① 유추에 의한 유사성의 발견 :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유추적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유사성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냄
② 전이의 과정 : 유추의 결과 한 대상의 의미를 다른 대상에 전이시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함
(4) 차이성에 기초한 유사성(교재 80쪽)
① 두 대상 사이의 차이성을 더 강조함으로써 새롭고 개성적인 의미를 드러냄
② 리처즈 :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상이성(相異性)이 크면 클수록 긴장도가 커지며, 긴장도가 클수록 좋은 비유가 된다(유치환 「旗빨」 :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2) 비유의 종류(교재 81쪽)
(1) 직유(교재 81쪽)
①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를 직선적이고 명확하게 드러냄
② ‘~와 같이, ~처럼, ~듯이, ~인 양, ~만큼’ 등의 연결어
③ 김영랑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 기형도 「위험한 가계(家系)」, 윤동주 「자화상」 등
(2) 은유(교재 84쪽)
① 원관념과 보조관념 상의 연결어 없이 ‘A는 B이다’의 형태로 제시됨 : ‘인생은 일장춘몽’, ‘내 마음은 호수(김동명 「내 마음은」)’ 등
② 아리스토텔레스 : 은유의 전환은 “유(類)에서 종(種)으로, 혹은 종에서 유로, 혹은 종에서 종으로, 또는 유추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함
③ 치환은유와 병치은유(휠라이트의 은유 이론임)
- 대부분의 은유가 치환은유에 해당됨
- 병치은유는 시구와 시구를 병치함으로써 그 병렬과 종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조함
- 치환은유가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상관관계를 중시하는 데 비해서, 병치은유는 사실상
두 개의 대상 사이의 상관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음
- 병치은유의 대표적인 예는 에즈라 파운드 「지하철 정거장에서」
(3) 대유 : 제유와 환유(교재 86쪽)
① 대유 : 어떤 사물을 그것과 연관성이 있는 다른 사물로 대신하는 것으로, 제유와 환유가 있음
② 제유 : 부분으로 전체를 나타내거나 전체로 부분을 지칭하는 경우(‘총’이 ‘무기의 전부’를, ‘빵’이 ‘식량의 전부’를 나타낼 때)
③ 환유 :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 독립된 전체성을 형성하고 있지만, 보조관념이 원관념을 환기시킬 수 있는 경우를 말함(‘백의’가 ‘백의민족’을, ‘이슬비 내리는 이른 아침에 우산 셋이 나란히 걸어갑니다’에서 ‘우산’이 ‘우산을 쓴 아이들’을 가리키는 경우)
④ 은유가 유사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반면, 환유와 제유는 모두 인접성의 원리를 기반으로 함
⑤ 백무산 ‘노동의 밥’,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등
6. 시와 상징
1) 상징의 개념과 원리(교재 88쪽)
(1) 상징 : ‘조립하다’, ‘짜맞추다’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symballein에서 유래함 – 부호, 증표, 기호
(2) 상징과 은유
①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결합을 원리로 한다는 점은 은유와 상징의 공통점
② 은유는 원관념이 표현에 드러나 있거나 문맥을 통해 쉽게 그 원관념을 유추할 수 있지만, 상징에서는 원관념이 불가시적인 사상이나 관념 혹은 정서적인 세계에 뿌리내리고 있어 고차원적인 유추가 필요함
③ 은유는 유추되는 대상끼리 상호의존성을 가지는 데 비해서, 상징은 그 자체로서 독자성을 가지고 존재하므로 의미의 제한을 받지 않음
④ 상징은 은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상의 의미가 더 막연하고 암시적이며 다양성을 가짐
⑤ 상징은 감각적 인상보다는 정신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관념을 표상함
⑥ 은유는 미치는 범위가 좁아서 작품의 일부분이나 한 구절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상징은 작품 전체, 혹은 작가, 한 시대의 작품, 세계 전체 등으로 그것이 미치는 범위가 광범위함
⑦ 상징은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음 : 한용운 님의 침묵 서문 「군말」
2) 상징의 유형(교재 90쪽)
관습적 상징 | 자연적 상징 | 인간의 보편적 심성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비슷한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상징 | |
제도적 상징 | 한 집단의 제도적 장치로서의 상징 | ||
알레고리적 상징 | 의미가 어느 한 가지로 고정된 상징 | ||
창조적 상징 | 개인적 상징 | 개인의 개성이나 창조적 능력에 의해 생성된 상징 |
(1) 관습적 상징(교재 91쪽)
① 자연적 상징 : 하늘(신성함이나 무한한 것), 태양(광명이나 희망), 동양의 국화(고결함), 나무(왕성한 생명력), 보름달(풍요)의 상징
② 제도적 상징 : 태극기(한국을 대표), 학교의 교표나 단체의 마크 등
③ 알레고리적 상징 : 숨기고 있는 주지와 드러난 매체가 1대 1의 지시적인 관계를 가짐
(2) 창조적 상징(교재 93쪽)
① 개인적 상징이라고도 함 : 한 시인의 시세계에서 특별한 내포적 의미를 가짐
② 창조적이고 개인적이며 풍부하고 폭넓은 환기력을 지니는 상징
③ 한용운 「님의 침묵」, 윤동주 「십자가」에서 1연의 ‘십자가’는 제도적 상징, 3연의 ‘십자가’는 개인적 상징임
'문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희곡론 (0) | 2022.09.13 |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수필론 (0) | 2022.09.12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비평론 (1) | 2022.09.11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소설론 (0) | 2022.09.11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문학이란 무엇인가 (1)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