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문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총론
1. 문학의 기원(교재 5쪽)
1) 문학의 매체 : 문학의 매체는 언어임. 즉 “문학은 언어예술이다.”
2) 에이브럼즈(M. H. Abrams)의 이론
(1) 거울과 램프에서 문학의 예술의 형식으로서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함
(2) 우주, 독자, 작가, 작품 – 모방론, 표현론, 효용론, 존재론(객관론)으로 명명함
3) 문학의 기원설
(1) 심리적 욕구설 : 예술의 창작심리, 즉 예술본능을 중심으로 예술의 기원을 고찰하는 경우임
① 모방충동설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됨. 충동이 예술을 낳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으로, 그리스 시대 이래 칸트의 유희충동설이 나오기까지 가장 권위 있는 견해였음
② 유희충동설 : 인간에게는 본디 유희본능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유희본능에서 예술이 나온다는 것. 칸트의 ‘무목적성의 목적’, 스펜서의 주장 등이 있음
③ 자기과시설 : 허드슨(W. H. Hudson)이 주장한 학설로, 예술은 자기를 과시하려는 본능에 의하여 창작된다는 것
(2) 사회적 욕구설
① 헌(Y. Hirn)과 그로세(E. Grosse)의 ‘발생론적 기원설’이 이에 해당함
② 유희충동설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함
③ 예술의 기원이 심미성이 아니라 실용성에 의하여 발생하였음을 밝혀 주는 것임
2. 문학의 어원과 속성
1) 문학의 어원(교재 9쪽)
(1) 문학의 어원
① 문학(literature)은 원래 라틴어 litera에서 왔는데, 그 뜻은 ‘언어로 된 모든 글’을 의미하는 letter와 같은 개념이었음
② 예술적인 글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글도 모두 포괄하는 것이 문학의 원초적 개념임
③ 최근의 문학의 개념은 예술적인 의장이 포함되어 있는 글, 즉 상상력에 바탕을 둔 미적인 범주의 글만을 포괄함
(2) 문학의 장르 : 문학은 예술의 하위 장르로, ‘언어예술’임
2) 문학의 속성(교재 11쪽)
(1) 예술의 어원
① 예술(art, 독 kunst) : 라틴어 ‘ars’로서 ‘조립하다, 궁리하다’의 뜻인데, 어려운 과제를 솜씨 있게 해결할 수 있는 특수하게 숙련된 기술을 가리킴
② 아리스토텔레스 : ‘테크네(techne)’를 ‘생활상의 필요에 의한 기술’과 ‘기분전환과 쾌락을 위한 기술’로 나누어 후자를 ‘예술’로 간주함(‘테크네’는 학문과 경험의 중간 형태)
(2) 언어의 두 종류
① 과학적 언어 : 대상과 언어의 관계가 1대 1의 대응관계에 있음
② 예술적(문학적) 언어 : ‘내포’를 통한 언어의 사용
과학적 언어 | 예술적(문학적) 언어 | ||
개념 | 외연적 언어, 지시적 사용 | 함축적 의미 | |
과학적 진술이나 법적 진술 | 시의 비유나 상징, 소설의 아이러니나 새타이어(풍자) 등 | ||
리처즈 | ‘진술’이라고 명명함 | ‘가진술’이라고 명명함 | |
쿤즈 | ‘논증’이라고 함 필연성과 타당성으로 연결됨 |
‘표현’이라고 함 - 공감각과 언어행위임 |
3) 미를 둘러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차이(교재 15쪽)
(1) 플라톤
① 순수한 최고의 미는 이데아 자체임 – 그중에도 최고는 ‘선의 이데아’를 미의 극치로 꼽음
② 감각적·현상적 세계에 있는 것은 미의 이데아의 불완전한 반영일 때 비로소 아름다운 것
③ 사랑은 미를 향유하려고 하는 정신의 강렬한 파토스적 충동이며, 일종의 광기라고 함
④ 예술을 일종의 기술(특히 모방적 기술)로 파악함 : 이데아의 모방인 침대를 또다시 모방하여 묘사한 화가가 침대를 만든 직공보다도 낮은 위치에 놓임
⑤ 회화는 모든 예술 중에서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 연극·조각·건축 등은 회화보다 높이 평가됨. 음악과 시는 가장 창작적인 예술로 포이에시스(poiesis)로 불림
⑥ 예술가는 미의 이데아로부터 오는 영감이나 신적 광기에 의해서, 향수자는 예술로부터의 쾌락에 의해서 참된 예술적 쾌락을 받아들일 수 있음
(2) 아리스토텔레스
① 미는 선과 함께 목적인으로서 ‘인식과 운동의 원리’이고, 그 주된 형식이 질서와 균제와 한정이므로, 수학적 학문의 대상으로 될 수 있는 것임(형이상학)
② “미는 크기와 질서에 있다”(시학) : 예술미 성립의 통일원리를 가리킴
③ 예술이 표현하는 미를 엄숙하고 숭고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골계미와 우아미 등 비속한 것의 아름다움도 인정함
④ 예술에서는 ‘미적 효과로서의 카타르시스(배설·정화)’를 들고 있음. 또 비극은 “연민과 공포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정서의 카타르시스를 완수한다”고 함
3. 문학의 네 가지 관점
1) 모방론(교재 20쪽)
(1) 문학을 바라보는 가장 기본적인 관점이자 가장 오래된 입장으로, 문학을 삶의 현실(세계 및 대상)과 연관시켜 정의를 내리는 입장을 말함
(2) 플라톤 공화국(이상국)에서 문학은 ‘복사의 재복사’라고 비방함 - ‘시인추방론’ 주장, 문학검열제도의 도입 제시
(3)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을 인간이 지닌 속성으로 파악함 : ‘개연성의 법칙’(의미 있는 허구)
2) 효용론(교재 23쪽)
(1) 문학작품과 독자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이론(독자들이 예술작품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 효용론의 분류
① 공리설(교훈설) : 톨스토이의 예술감화론, 근대 계몽주의자들의 작품 등 - 현실적 효용성 강조(나아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문학작품을 ‘계급투쟁의 도구’로 사용하려고 함)
② 쾌락설(오락설) :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충동설, 조선조 양반사대부들의 감인(感人)이나 파한(破閑)이 여기에 해당함(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호이징가의 호모 루덴스 이론
⇒ 최재서의 세 가지 쾌락유형 : 관능적 쾌락, 감각적 쾌락(혹은 미적 쾌락), 지적 쾌락 – 문학에서 요구하는 쾌락은 이 세 가지 유형이 종합된 총체적인 쾌락임
3) 표현론(교재 25쪽)
(1) 문학작품이 작가의 창조력에 의해 완성되는 작품이라는 점에 관심을 보이는 관점
(2) 위즈워스 : ‘시는 격정적 감정의 자발적 범람’이라고 함
(3) 표현론의 분류
① 영감설(靈感說) : 낭만주의 예술관(18세기 말~19세기 초), 플라톤의 입장, 뮤즈에 의해 광기가 주입된 것이 시인임, ‘엑스터시(ecstasy)’의 상태, 개성이나 감성 중시
② 장인설(匠人說) : 고전주의의 견해(17세기 초~18세기 중), 냉철한 이성과 치밀한 계산, 예술작품은 ‘작가의 후천적인 노력’이나 ‘조형생리’, ‘상상력의 발로’라고 함, 합리성과 이성 존중
4) 존재론(교재 27쪽)
(1) 문학작품 자체의 존재가치를 규명하는 관점 : 텍스트의 생명력
(2) 문학텍스트는 ‘동적인 구조’, 즉 유기체임 - ‘문학유기체설’(하나의 문학작품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총체적인 생명체를 이룸)
(3) 기호학에서는 문학텍스트를 ‘자율적인 기호’나 ‘자율적인 실체’로 파악함
'문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희곡론 (0) | 2022.09.13 |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수필론 (0) | 2022.09.12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비평론 (1) | 2022.09.11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소설론 (0) | 2022.09.11 |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시론 (1)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