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육학개론

유아교육학과, 보육교사 필수과목 보육학개론 요점 정리 2. 보육의 본질등

반응형

2. 보육의 본질등

 

1. 보육의 본질


1) 전문 양육으로서의 보육
* Saracho와 Spodek(1992)이 분류한 다섯 가지의 양육의 유형
- 시설 보육
- 가정 보육
- 방문 탁아모
- 친척 양육
- 무보조 양육
* Saracho와 Spodek(1992)은 양육의 유형을 전문적 양육과 보호적 양육으로 분류함.
- 전문적 양육: 시설보육과 가정보육
- 보호적 양육: 방문 탁아모, 친척양육, 무보조 양육
- Caldwell(1991)에 의하면 전문적 양육으로서의 보육은 포괄적 서비스이고 가정양육을 보충받는 것.

 

2) 타인의 양육으로서의 보육
- 보육의 본질은 부모가 아닌 타인에 의한 양육특성을 포함하고 있음.
-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아동의 낮 시간 동안의 주 양육자는 기관에 맡기는 비율이
50%로 가장 많았고, 어머니가 주로 돌본다는 비율은 41.6%로 다음으로 높았다.

- Scarr(1992)은 영유아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역할이 같지는 않다고 주장함.
- 어머니가 가정에서의 시간을 가르침의 역할만 하는 데 소모한다면 돌봄의 역할이 부족.
- 교사도 돌봄의 역할만 하는 데 시간을 소모한다면 가르침의 역할이 부족.

 

3) 보육 개념의 구성 요소: 보호 · 양육, 발달, 교육
- 유네스코에서 세계 각국의 영유아 관련 정책을 분석한 Choi(2002)에 의하면, 영유아기에 제공 되는
서비스는 국가마다 여러 가지 다른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세 가지 주요 개념, 보호 · 양육, 발
달, 교육의 변형 또는 상이한 조합이거나 이러한 구성 요소를 위해 준비된 특정한 프로그램임.
- 영유아들이 환경과 자신에 대해서 배우는 동안에 발달은 일련의 학습 과정을 품게 됨.
- 신체적 성장에는 적합한 학습 과정이 수반되어야 함. 학습과 성장은 전인발달에 필수적인 부분.

 

4) 보육의 생태학적 접근 관계
- Lero(1988)는 Bronfenbrenner의 인간 발달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을 사용하여 보육의 생태학적 모델
을 제시함.
- 발달의 맥락은 생태학적 시스템과 시스템들간의 상호관계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Bronfenbrenner이론에
따라 미시체계 내의 요소와 미시체계들 간의 상호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함. 이것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간체계가 됨.
- 이 모델에 의하면, 가정 어린이집의 선택은 변화하는 직업의 유형, 자녀의 발달적 요구에 대한
인식, 부모 및 지역사회 자원의 범위 내에서의 개인적 목표에 부응하여 가정이 채택하는 여러 가지
것 중의 하나임.
- 어린이집 선택은 아동 발달, 가정, 지역사회, 사회 차체에 다른 영향을 끼치고 한부모 가정, 이중 직
업 가정, 주 양육자가 아버지인 가정 등에서 다르게 나타남.

 

5) 다각적 차원에서의 보육의 질

 

* Katz(2003)의 네 가지 시각

 

가. 하향식 견지: 연구자/전문가 시각
- 성인 대 영유아의 비율, 보육교직원의 자격과 안정성, 교사-영유아 관계의 특성, 설비와 자료의 질
과 양, 영유아 개인당 공간 면적, 소방 안전시설 등의 건강 위생 절차와 기준, 보육교직원을 위한
근무 조건과 같이 프로그램과 환경의 특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

 

나. 상향식 견지: 영유아의 시각
- 영유아들의 경험은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의 진정한 결정 요인.
- 나는 여기에 환영받는다고 느끼는가?
- 내가 경험하는 많은 것들이 만족스러운가?

 

다. 외부-내부 견지: 부모의 시각
- 보호적이거나 통제적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존중의 관계인가?
- 거부적, 비난, 편견적이 아니라 수용적, 개방적 포괄적이고 관대한가?
- 나의 자녀를 위한 나의 목표와 가치가 존중받는가?
- 거리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빈번하고 환영받는 접촉인가?

 

라. 내부 견지: 보육교직원의 시각
- 세 가지 차원-동료관계, 보육교직원과 부모 관계, 어린이집 원장과의 관계로 분류함.
- 동료관계: 양질의 동료관계는 지지적, 협동적, 수용적, 신뢰, 존중.

- 보육교사와 부모는 상호 존중하며 지지적인 관계의 발달은 보육교직원의 경험, 훈련, 교육, 개인적
가치관의 조합에 근거한 전문성을 필요로 함.
- 어린이집 원장과의 관계도 보육의 질에 잠재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끼침.

 

2. 보육의 목표
- 보육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음. 우리나라 최초의 보육활동은 빈민구제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만큼 정부중심적인 목표가 강조되었음.
- 이후 보육의 목표는 취업 여성의 자녀양육 문제를 지원하고자 하는 부모중심적 목표가 강조되었으
며, 동시에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중심적 목표가 강조되었음.
- 최근에는 발달에서 초기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육활동으로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도와
주고자 하는 아동중심적 목표가 부각되고 있음.

 

1) 부모중심적 목표
- 양적 · 질적 차원에서 어린이집 확대는 자녀양육자 부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부모중심적 목표가 우
선적이었음.
- 제 3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일과 가정생활 양립이 가능하도록 보육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무엇
보다 우선적인 과제임.
- 이와 동시에 부모의 부재를 최소화하여 영아기 부모역할을 대신해주고 보완해주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함.
- 영아기 부모역할: 보호자의 역할, 훈육자의 역할, 충분한 언어적 상호작용 및 학습기회와 지적 자극
의 제공자로서의 역할
- 아동학대 문제.
- 교사 질 향상을 위한 노력 필요.

 

2) 정부중심적 목표
- 보육활동 초기에는 양육의 책임이 가정과 부모에게 있었으나, 저출산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정부의
보육에 대한 입장이 변화됨.
- 여성들이 직업적 성취에 많은 비중을 두게 되면서 결혼 이후에도 자녀출산을 연기하거나 출산을 하
지 않음으로 인해 저출산 문제가 발생함.
- 2020년 3월 우리나라 출산율은 통계청, 인구동향조사(2018)에 의하면 0.97명으로 나타났음.
- 현재의 인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합계출산율이 2.1명이라는 사실에 비추어볼 때 2050년
경에는 우리나라 인구는 4천만 명 이하로 감소할 수 있음.
- 출산율 증가를 위한 대책 강구 필요.

 

3) 아동중심적 목표
- 보육활동이 여성취업을 위한 보조수단에 불과한 것인지, 보육활동이 아동의 성장발달에 유익한 것인
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짐.
- 이와 동시에 어떤 가정에서 태어나든 잘 자랄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이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조되기 시작함.
- 아동 발달을 위한 논의를 통해 보육 프로그램, 과정 등에 대한 지침이 제시됨.

 

* 보육의 중요한 목표(Segal & Bardige, Woika, & Leinfelder, 2006)
- 안전과 건강을 위해 적절한 학습환경을 보장함.
- 신체 · 인지발달을 촉진시킴.
- 사회정서발달을 촉진시킴.
- 가족을 지원하는 것.

 

* 발달에 적절한 개입(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전략
- 아동의 발달단계를 기초로 하여 교과과정을 구성하는 것.
- 교수방법, 환경구성, 보육행동,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구 전반을 포함하는 것.

 

* 미국유아교육협회(NAEYC)의 기준
- 보육활동이 아동의 연령에 적절한 것.
- 개별적인 아동의 특수성을 고려한 것.
- 종교나 언어, 가치관과 같은 문화적으로 적절한 것.

 

- 이후 이러한 원칙은 더욱 발전하여 DAP전략에서는 발달 이해, 지식을 어떤 방식으로 가르칠 것인
가, 개인차 고려하는 방법, 교육과정에의 적용 등이 연구됨.
- 초기 보건복지부의 보육의 목표: 건강, 안전, 영양, 교육.
- 표준보육과: 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
- 2013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신체운동 ·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신체운동 ·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3. 보육학의 학문적 위치


1) 타 학문과의 밀접성
- 다양한 보육목표 달성을 위해서 보육활동에는 다양한 학문적 지식이 접목될 수밖에 없음.
- 아동학, 유아교육학, 아동복지학, 가족복지학, 사회복지학, 영양학, 간호학 등의 여러 학문 분야와 밀
접한 관련을 갖는 학제적인 학문임.
- 보육교사도 여러 학문 분야의 전공자로 구성됨.

 

2) 타 학문 분야와 차별화되는 특성
- 가족의 복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족복지학이나 아동의 발달과 복지를 우선시하는 아동복지학
과는 차별화됨.
-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특정 계층의 복지에 초점이 맞추어진 사회복지학과도 차이 있음.
- 주 대상은 영유아, 최근에는 초등학교 학생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주요 활동은 이들을 교육하는 것.
- 아동발달에 대한 전반지식이 보육현장에 접목됨과 동시에 교육활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아동
학과도 차별됨.

 

3) 보육과 유아교육의 유사점
- 놀이중심, 생활중심 교육 제공.
- 영유아를 돌보는데 교육과 보육기능을 함께 적용.
- 선진국가에서는 보육과 교육을 통합하여 담당.

 

4) 보육과 유아교육의 차이점
- 보육은 가정의 자녀양육기능을 대행하는 포괄적인 돌봄과 교육을 포함.
- 영유아의 안전, 건강, 위생, 영양의 부분과 일상생활의 부분이 더욱 강조.
- 하루종일 운영함에 따른 운영 실제에서의 차이.

 

* 여러 학문 분야와 관련이 있는 학문.
- 보육학은 여러 학문 분야와 관련이 있는 학제적인 분야이면서 동시에 현장에 적용시키는 실천성을
강조하는 학문임.
- 여러 학문 분야에서 축적된 연구 결과를 효율적으로 보육현장에 접목시키고 부모와 아동, 정부 차원
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육학의 목표.

 

4. 보육모형 설정에서의 쟁점
- 미국유아교육학회(NAEYC)에서 아동발달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시한 보육의 세 가지 기
준(연령적 적합성, 개별성, 문화적 적절성)은 보육활동이 아동의 연령에 적절하고, 개별적인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며,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임.

 

1) 문화적 적절성
- 문화적 적절성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자녀양육을 누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임.

 

가. 자녀양육은 어머니가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
- 전통적으로 우리 문화에서는 자녀양육 역할은 어머니가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
- Chao(1994)의 자녀양육에서의 문화적 차이를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도 유사함.
- Chao(1994)는 중국계 미국인들은 유럽계 미국인보다 어린이집이 아니라 부모나 기타 가족원이
자녀를 키워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부모에 의한 자녀의 양육이나 훈육을 더 강조한다고 함.
- 아직도 우리나라는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데 있어 어린이집보다는 어머니가 양육하는 것을 선호함.
- 기혼여성 취업률은 M자형 곡선.
- 이는 여성의 역할 가운데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문제가
생기면 직업적 성취 자체가 비난을 받는 사회적 분위기와도 관련이 있음.

 

나. 어린이집에 대한 부정적 인식
- 우리 문화에서는 어린 영아를 부모가 양육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어린이집보다는 조부모 양육을
선호함.
- 최근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는 기러기 할아버지는 자녀양육에 대한 우리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현상임.

 

다. 출산율 증가를 위한 노력
- 최근 선진국에서는 여성 취업률이 증가하면서 출산율 하락세가 멈춰지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
- 기혼여성의 출산과 육아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어린이집의 양적 · 질적 확충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
- 보육에 대한 국가적 개입을 통해 출산율을 향상시키는 데 실효성을 거둔 국가가 있는 반면 우리나
라를 위시한 여러 나라에서는 그다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함.

 

*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인 취업여성의 자녀양육 문제 해결을 위한 어린이집의 양적 확충이 아니라 실
제 부모가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어머니 역할을 대신해줄 수 있는 양질의 어린이집 확충이
관건임.

 

2) 부모와의 분리경험과 영유아발달
- 애착이론에서는 어린 영아와 부모와의 분리경험이 이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함.
- 그 중 키부츠 가족에서 영아의 분리경험은 현재의 어린이집과 가장 유사한 맥락에서 논의될 수 있음.

 

가. 이스라엘 키부츠 가족에서의 분리경험
- 키부츠는 이스라엘을 세우기 오래전에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한 초기 유럽 이민자들이 만든 것. 전통
적인 유대인촌 특유의 밀착된 가족유대가 자녀의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하였음.
- 다른 문화권 부모들처럼 키부츠 부모들도 자신의 아이들에게 관심이 있었으나 사회적 압력으로 관
심을 표현하지 못함. 어머니들이 농장 일을 하는 동안 보모가 아이들을 돌보았기 때문에 아이를
보살피는 방법을 몰랐음.
- Van IJzendoorn과 그 동료들(1992)은 부모와 보모에 대한 애착의 질에서 낮 시간대(아침 7시~오후
4시)에만 키부츠 보육센터에 맡겨진 아이들은 상당히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함. 애착에서 양
가유형을 보인 것은 밤 시간대의 양육관행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는 집단보육의 문제라기보다는 애착의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밤 시간대
의 비일관적이고 불충분한 돌봄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임.

 

나. Karen(1994)의 저서
- 보육원에서의 분노: 보육전쟁이라는 부제가 붙은 저서에서 애착형성과 관련하여 어린이집에서의 적
절한 배려를 강조함.
- 보육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제기하는 것이기보다는 보육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지적해주고
있는 것.

 

3) 부모의 권리와 영유아의 권리
- 부모와의 분리경험이 영유아발달에 미치는 연구결과는 필연적으로 부모의 권리와 영유아의 권리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음.

 

가. 부모의 권리
- 많은 사람들은 어린이집의 확대가 부모의 권리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생각함.
- 따라서 애착이론이 여성을 일차적인 양육자로 간주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어머니의 일방적인 희생
을 강요하는 이론으로 비난하고 있음.
- 그러나 애착이론에서는 양육이 어머니 그리고 여성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는 않음.
- 애착이론의 관점에서 건강한 발달의 핵심은 영유아가 한 명 이상의 성인과 강한 애정적인 유대감
을 형성하는 것.
- 영아는 어머니 외의 여러 사람과 애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애착의 대상이 어린이집 교사일 수 있음.
- 애착이론은 대상이 지나치게 자주 바뀌거나 일관성 있는 상호작용이 결여될 경우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함.
- Bowlby(1951)는 만약 사회가 어린이를 가치롭게 여긴다면 그들의 부모를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함.

 

나. 영유아의 권리
- 영유아보육과 관련된 정책입안이나 실행과정에서 성인의 권리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인 아이들
의 권리도 고려해야 함.

 

* 보육모형 설정 시 가족원에 의한 양육이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하면서 초
기 양육자와의 분리에 대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와 영유아 권리가 동시에 존중될 수 있는 양질
의 보육문화를 만들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함.

 

5. 발달의 개념과 원리


1) 발달의 개념
- 발달은 인간 삶의 과정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양적 · 질적 변화.
- 과거: 세포의 크기나 수의 증가인 상승적 변화만
- 현재: 노화의 과정도 발달임.
- 유사한 개념으로는 성숙, 성장, 학습을 들 수 있으며 발달은 이러한 개념을 모두 포함.

 

가. 성숙
- 외부에서 주어진 자극의 결과라기보다는 유전적으로 예정된 내부 시간표에 의해 발현되는 것.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결과.

 

나. 성장
- 외적으로 관찰이 가능하기도 하고 측정될 수 있는 신체적인 측면.

 

다. 학습
- 외부에서 주어지지 않으면 저절로 일어나지 않는 변화.

 

2) 발달의 원리
- 인간 발달은 난자와 정자의 수정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원리를 따름.

 

가. 발달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음
- 모든 발달은 정해진 순서가 있음.
- 신체발달에서 걷기 이전에 뛰기가 이루어질 수 없음.
- 옹알이 경험이 추후 음소의 획득과 언어출현으로 이어짐은 언어발달의 일정한 과정.
- 사고의 측면에서도 단순하고 구체적인 사고가 이루어진 후 추상적인 사고가 발달함.

 

나. 발달은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
- 두미발달
- 근원발달
- 세분화 발달

 

다. 발달의 속도는 일정하지 않음
- 발달은 일생을 통해 지속적으로 진행되나 속도는 일정하지 않음.

 

라.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음
- 개인의 발달간에는 많은 차이가 나타남. 어떤 영아는 돌이 되기 전에 말을 하기 시작하고 어떤 영
아는 세 돌이 될 때까지도 말을 하지 못함.
- 다른 사람과의 비교나 표준수치와의 비교는 적당한 선에서 이루어져야 함.
- 발달이 표준차와 너무 많은 차이가 나게 늦을 경우 진정한 지체인지 개인차인지 가려내는 노력 필요.

 

마. 발달의 영역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 · 정서발달 등의 각 발달 영역들은 서로 상호 연관되어 발달함.
- 인간 발달은 각 발달간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균형 있는 발달이 중요함.

 

바. 생애 초기 발달은 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함.
- 인간 발달과정에서 중요하지 않은 시기는 없지만 두뇌 성장의 80%, 성향, 태도, 습관 등의 주요 경
향이 8세 이전에 형성되기 때문에 인간의 초기발달이 중요함.
- 개인의 노력으로 어려서 형성된 성향이나 태도가 바뀌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음. 그러나 잘못된 방
향으로 진행된 발달을 옳은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서는 처음 노력보다 몇 배의 노력이 소요됨.
- 발달의 초기 단계부터 균형 있는 개인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함.

 

6. 발달의 영역


- 발달을 영역으로 나누면 세 영역으로 나뉘어짐. 생물학적 발달, 인지적 발달, 사회 · 정서적 발달.

 

1) 생물학적 발달
- 외관상으로 관찰이 가능.
-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인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 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신체상의 변화.
- 주요 내용: 뇌와 신경계, 대 · 소근육 운동능력, 감각능력.

 

2) 인지적 발달
- 개인의 사고, 지능, 언어능력의 변화.
- 사고의 발달은 언어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됨.
- 주요 내용: 학습, 기억, 문제해결능력, 지능, 언어능력, 창의성

 

3) 사회 · 정서적 발달
-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본능적으로 갖고 태어나는 기본정서와 사고와 관련하여 분화되는 복합정서를
다루는 영역,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기술인 사회적 기술들이 포함되는 영역.
- 주요 내용: 정서, 자아개념

 

4) 아동발달의 단계
- 인간 발달을 연령별 특징에 따라 구분하는 단계이론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태내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노년기로 나뉘어짐.
- 태내기: 수태의 순간부터 출산까지의 시기. 대략 9개월간의 기간.
- 신생아기: 출생 후부터 첫 2주까지.
- 영아기: 신생아기 이후 24개월 까지. 급속한 변화를 보이는 시기.
- 유아기: 만 2세부터 초등학교에 입학기 이전인 만 5세까지의 시기. 인지발달이 왕성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시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통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개념이 발달하는 시기.

- 아동기: 초등학교에 다니는 시기. 부모의 영향 못지않게 또래와 다른 성인의 영향력이 증가 되는 시기. 지
적 호기심이 왕성하기 때문에 인지적인 도약이 이루어지고, 운동기능 및 사회적 관계의 증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