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기억1
1. 기억의 일반적 특징
1) 기억의 정의
- 과거 경험으로부터 얻은 정보와 지식을 유지하고 현재에 되살려 주어진 과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 기억은 지식을 쌓아두는 저장고, 저장해놓은 지식을 꺼내는 과정을 포함
2) 기억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정보처리관점(information processing)에서의 기억
• 기억의 과정
① 부호화(encoding): 감각 정보가 기억 속에 저장 가능한 표상으로 전환되는 과정
② 파지(retention): 부호화된 정보를 기억 속에 유지하는 역할
③ 인출(retrieval): 기억 속의 정보를 과제 수행을 위해 이끌어 내는 과정
즉, 부호화, 파지, 인출의 세 단계를 거처 기억을 회상하거나 재인함
• 기억의 종류
- 회상(recall):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된 정보를 기억에서 인출해야 하므로 재인보다
더 어렵다.
예) 주관식 단답형 시험
- 재인(recognition): 제시된 것이 기억된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
예) 객관식 오지선다형 시험
• 기억을 지속시간에 따라 감각저장(sensory register), 단기기억(short term memory),
장기기억(long term memory)으로 구분
(2) 정보를 능동적 처리하는 기억
- 기억이란 정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한 결과가 부호화되어 저장되고 인출되는 것
- 근거1) 오기억(false memory): 없었던 일을 회상해내는 기억
로프터스(Loftus, 1997): 어떤 사람은 쇼핑몰에서 가족을 잃어버린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어렸을 때 쇼핑몰에서 가족을 잃어버린 적이 있었다고 자신 있게 회상하는 일이
있었음을 사례로 제시함
: 오기억의 상당수는 상식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사건인 경우가 대부분
- 근거2) 같은 일을 경험하고도 각자의 입장이나 경험에 따라 다르게 기억함
: 사건이 일어난 상황, 사건과 관련된 지식 등을 고려한 결과
- 근거3) 사람들은 조직화라는 방법을 통해 기억함
: 같은 성질을 가진 것끼리 분류, 위계적인 분류방법을 사용
2. 기억과정1
▶ Atkinson & Shiffrin(1968): 세 단계 기억 모형

1) 감각저장 (sensory register)
- 아주 짧은 기간 동안 감각기관에 주어진 자극 그대로 저장해 두는 단계
- 외부의 정보가 눈이나 귀 등과 같은 감각기관을 통해 잠깐 동안 머무는 단계
예) 우리가 교실에 들어올 때 보게 되는 사물들, 냄새, 소리 등 수많은 감각자료를 받아들이게 됨.
▷ 스펄링(Sperling, 1960)의 실험

* 4~5개 보고
* 특정 줄만 회상하라고 요구할 때, 정확히 회상
▩ 저장 시간은 1초 이내로 매우 짧지만 감각저장용량은 무한대이다.
▷ 나이서(Neisser, 1967). 청각 감각저장을 밝힘
- 청각 감각저장의 지속시간은 길면 2초까지 지속됨
- 시각 감각저장: 영상기억 (iconic memory)
- 청각 감각저장: 청상기억 (echonic memory)
▸시각 감각저장의 가치
: 동시에 많은 자극이 주어지지만 우리가 특정 사물에 주의를 기울일 때 그 자극을 잠깐 기억할
수 있게 됨. 선택적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 결과
▸청각 감각저장의 가치
: 소리의 음절이 순서대로 제공되므로 무슨 단어인지 이해하려면 단어 앞부분의 음절을 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해야 함
▩ 감각저장에서 단기기억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가 필요함
2) 단기기억
- 새로운 정보를 잠시 동안 저장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처리하는 것.
- 단기기억은 정보를 10-30초 정도 유지할 수 있음
예) 전화번호 외우기, 우편번호 외우기
(1) 부호화와 파지
• 단기기억의 특징
① 단기기억은 지속시간이 짧다
▷ 피터슨과 피터슨(Peterson & Peterson, 1959)
- 단기기억의 지속시간을 알아보는 연구
* 참가자들에게 기억해야 할 철자 세 개(예 B, Q, R)를 보여주고 367이라는 숫자에서 3씩 숫자
빼기과제를 시킴
* <결과> 10초가 지난 뒤 참여자들은 철자 세 개를 하나도 기억하지 못함
②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
- 아무 관련이 없는 숫자는 순서대로 7개정도를 회상할 수 있음
▷ 조지밀러(Miller, 1956) : 마법의 숫자 7+_2
• 숫자나 낱말을 더 많이 외우기 위한 방법
* 청킹(chunking): 자극들을 단기기억으로 부호화 하는 중에 들어오는 정보들을 의미 있는 자극
단위로 묶는 작업

(2) 인출
- 스턴버그(stenberg, 1969) - 단기기억에 있는 항목을 찾아내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밝힘
▸실험과정
① 기억 세트는 숫자의 개수가 1~8개까지 다양하게 구성
② 기억 세트를 제시한 후에 검색 숫자를 하나 보여 주고, 이 숫자가 세트에 있었는지를 응답하게
함
ex) [2,7,8,5,4]의 기억세트(5단위)를 제시한 후 3이라는 숫자가 포함되어 있었는지 피험자에게
응답하게 함
▸결과
기억세트에 있는 숫자가 더 많을 경우에 검색 숫자가 그 세트에 있었는가를 답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 단기기억에 있는 정보는 사라지는 것인가?
- 다른 정보로 대체되는 것
- 단기기억의 용량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활성화가 정도가 높은 정보가 활성화 정도가 낮은
정보를 밀어내게 됨
(3) 작업기억 (working memory)
▷ Baddeley(1992, 2001, 2002)의 작업기억 모형
- 이는 단기기억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서 들어오는 청각정보와 시공간 정보, 장기기억에서 인출된
정보의 의식적이고 적극적인 처리를 수반한다.
- 작업기억은 우리가 능동적으로 새로운 정보와 옛 정보를 연합하고 문제를 해결 한다.

- 중앙집행기 (central executive) : 정보의 통합, 주의배분과 같은 처리를 담당
- 음운루프(phonological loop) : 저장소 1. 언어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
- 시 공간 잡기장 (visuospartial sketchpad) : 저장소2. 시 공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
예) 우리가 수업을 들을 때 교수님의 목소리(음운루프), 슬라이드화면(시공간 잡기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음
▸작업기억의 효과
- 데인만과 카핀터(Daneman & Carpenter, 1980)
: 작업기억의 용량이 크면 글의 이해점수가 높음
- 휘트니 등(whitney, Ritchie & Clark, 1991)
: 작업기억의 용량이 크면 글을 읽는 동안 효율적인 추론을 함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심리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11. 언어와 사고1 (0) | 2022.06.03 |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심리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10. 기억2 (0) | 2022.06.02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심리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8. 학습2 (1) | 2022.05.31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심리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7. 학습1 (1) | 2022.05.30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심리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6. 감각과 지각2 (0) | 202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