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개론

행정직공무원 필수과목 행정학 개론 필기시험에 자주나오는 핵심 이론 요약 정리 3. 정책론

공갱! 2021. 11. 2. 10:42
반응형





정책(policy): a purposive course of action that an individual or group consistently
follow in dealing with a problem (Anderson)
다양한 정의:
행동노선(course of action, choice), 대응책, 해결책(solution),
가설(hypothesis), 실험(experiment), 주장(argument)
공공정책(public policy): public policy is a course of government action or inaction in
response to public problem.
공공문제(public problem): policy problems are unrealized needs, values, or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that may be pursued through public action.
정책목표 (policy goal): 정책을 통하여 이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상태
정책수단 (policy means)
policy, program, 대책, 시책, 계획
정책의 성격
1. 목표지향적
목표수단의 계층제(means ends hierarchy)
2. 규범적 성격
3. 행동지향성
4. 공식적, 권위적 성격
정책체제(policy system)의 구성요소:
1. 공공정책(public policy)
2. 정책관련자(policy stakeholder)
3. 정책환경(policy environment)
policy input -> policy system -> policy output -> policy impact
정책과정(policy process)의 단계
1. 문제(의제)설정단계(problem setting or agenda setting stage)
2. 정책형성단계(problem or policy formulation)
3. 정책선택단계(policy adoption)
4. 정책집행단계(policy implementation)
5. 정책평가단계(policy evaluation)
6. 정책종결단계(policy termination)
cf. 정책적응단계, 정책승계단계

정책결정의 모형
1. elite/mass 모형
정책은 통지 지배 elite의 이해관계에 의해 결정
지배 엘리트와 large passive mass
Wright Mills "The Power Elite"
2. group 모형
정책은 집단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 압력단체와 로비
이해집단 A의 정치적 힘과 skill vs 이해집단 B의 정치적 힘과 skill
Arthur F. Bentley "The Process of Government"
3. 체제모형
정책은 체제의 산출
information theory, system theory의 개념
feedback, input, output, boundary, environment
4. 제도모형
정책결정은 정부기관의 활동
organizational chart of government
5. 합리적 종합적 이론(rational comprehensive theory)
정책결정자는 합리적 인간이라는 전제
목표달성 극대화 방안의 선택
6. 분절적 점증이론 (disjointed-incremental theory)
합리적 종합적 이론에 대한 비판
현상과 조금 다른 목표 고려
7.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Herbert Simon
제한된 합리성
열망수준
8. 혼합탐사모형 (mixed scanning model)
Etzioni
근본결정은 합리모형으로 포괄적 종합적 분석하고 결정
세부결정은 점증모형으로 소폭적 변화
9. 최적모형 (optimal model)
합리모형에 대한 보완으로 Dror가 제안
직관적 판단 (초합리성) 중시,
정책의제설정과정(policy agenda setting)
def. 정부가 사회문제를 공식적인 정책의제로 채택하는 과정
Cobb & Elder의 정책의제 설정과정
social problem
social issue
public agenda
government agenda
의제설정모형
1. 외부주도형
Hirshman의 ‘pressed' 문제
2. 동원형 (내부주도형)
Hirshman의 ‘choice' 문제
3. 내부접근형 (음모형)
공중의제화 과정이 없음
정책의제설정은 누가 주도하는가?
1. 엘리트 이론
2. 다원론
3. 정책창이론 (policy window theory)
의제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1. 공식적 참여자 : 의회지도자, 대통령의 의지 및 역할
2. 비공식적 참여자 : 이익집단의 영향력 행사 (로비, 시위, 정보제공) 로 인한 이슈의 확산
3. 정치제제의 구조: 집권화, 정치행정문화
4. 문제 자체요인: 사회적 중요성, 쟁점화의 정도, 문제의 인지집단의 규모, 해결책의 유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