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3. 성 고정관념과 젠더

공갱! 2024. 3. 14. 09:27
반응형

23. 성 고정관념과 젠더

1) 일상 속의 성 고정관념


(1) 남녀 성역할
여자 군인, 여자 버스 운전사, 남자 간호사, 남자 베이비시터


(2) 남녀 아닌 다른 성에 대한 사회의 태도
■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를 모두 가지고 태어난 남녀추니의 경우 : 강요된 편입
- 성별이 사회 구성의 기본 원리인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결국 한쪽 성을 택함
- 하나의 성으로 확정하는 시술을 받을 때 몸을 노출할 일이 적은 여성을 택하는 경우가 많음
■  인도의 여성도 남성도 아닌 제3의 성 히즈라(hijra)
- 거세를 통해 새로운 성 정체성과 영성을 얻은 존재라고 여김
- 거세 의례는 니르반(nirvan)이라 부르는데 무욕과 평정의 상태를 의미
- 인도의 힌두교는 모호함을 에너지의 원천으로 여기며 이질적인 상태를 배척하기보다는 공
존하기를 지향
- 힌두교 신화에 등장하는 많은 신은 여자도 남자도 아닌 모호한 유형으로 등장. 과거의 인
도 사회는 히즈라의 모호성을 ‘이상함’이 아닌 ‘다름’으로 인정하여 자긍심을 갖게 하였고
히즈라는 결혼식이나 아기가 태어난 집에서 공연을 해주거나 종교 의례를 수행하는 공식
적 역할 수행. 서구의 젠더 이분법 체계가 인도에 들어오면서 히즈라는 종교적 색채를 벗
어나고 사회적 위치는 하락하여 ‘성적 도착’으로 여겨짐


(3) 언어 속의 성 고정관념 :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  ‘여성스럽다’: 부드러움, 약함, 수동적임, 감성적임
■  ‘남성스럽다’: 강함, 충동적임, 이성적임
■  Superman vs Superwoman
- 영화 <슈퍼맨> 혹은 <스파이더맨>의 남자 주인공은 일상에서 부족하거나 평범한 인간
- <슈퍼우먼>은 집안일과 바깥일을 모두 잘하는 여성을 가리킴
→ 여성의 본분은 어디까지나 집안일이며 공적 영역에서 참여하려면 ‘초인’이 되어야 함
■  It’s easy, He’s easy, She’s easy. 의 차이
- 남성이 ‘헤프다’할 때와 여성이 ‘헤프다’할 때의 의미의 차이
■  성경험 표현 to be laid, to be had, to be taken vs. lay, take, have
- 여성의 성경험은 수동태, 남성의 성경험은 능동태
- 성적 수동성은 여성의 성역할로, 성적 능동성은 남성의 성역할로 정의하는 문화
■  속담 속의 여성
- “여편네 셋만 모이면 접시 구멍을 뚫는다.”
- “여자는 사흘을 안 때리면 여우가 된다.”
- “장작불과 계집은 쑤석거리면 탈난다.”

- “딸은 두 번 서운하다.”
- “계집과 그릇은 내돌리면 깨진다.”


2) 젠더와 성차


(1) 섹스, 젠더, 성역할
■  섹스(sex) : 생물학적 성별
- 몸과 생식기, 염색체, 호르몬 등의 차이를 ‘생물학적 차이’라고 하며 영어로 sex섹스라고

- 남성과 여성의 성기 결합(intercourse)을 중심으로 성을 규정하는 것이 섹스(sex)
- 섹스 개념은 성에 관한 문제를 정치적 문제가 아닌 사적인 문제로 바라보게 함
- 섹스는 생물학적 본능이나 특정 신체기관에 중심을 두고 성은 자연적이고 내재된 본능으
로 규정함
- 따라서 사회적으로 남성과 여성에게 부여한 차별적인 성적인 행동규범이나 성 윤리를 본
능의 차원에서 정당화할 수 있음
- 섹스 개념으로는 성이 지나치게 남성 중심적이며 이성애 중심적이 될 수 있음.
- 예시 : 남성이 성기를 삽입하지 않은 성적 침해를 폭력의 문제로 보기 어렵고 동성 간의
성적 행위도 성의 범주에 포함되기 어려움
→ 이러한 한계 때문에 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가 필요하였고 성적 행위 및 생리학적 반응
을 넘어서 상당히 포괄적인 영역과 사회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으로서 섹슈얼리티 개
념이 등장하게 됨
■  젠더 (gender) : 사회적 성별
- 타고난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성장하면서 얻게 되는 성적 차이는 ‘사회문화적 성’으로
규정하고 영어로 ‘gender(젠더)’라고 표현함
- 생물학을 기준으로 인간을 여성과 남성의 범주로 분류하는 일련의 사회 문화 정치적 과정
을 젠더(사회적 성별)로 이해함
■  섹스, 젠더, 성역할
① 섹스-젠더 구분의 문제점과 극복
☞  섹스-젠더의 구분은 초기 페미니즘의 방식
☞  섹스-젠더 구분 역시도 성별 이분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됨
☞  특히 후기 구조주의의 페미니즘은 성별 이분법이 다양한 성별 정체성을 추구하는 성
적 소수자에 대한 억압을 재생산한다고 지적
☞  생물학적 성차를 의미하는 섹스 개념 자체를 젠더의 산물로 인식하는 관점이 생김.
인간이 반드시 여성이나 남성 가운데 하나로 태어난다는 믿음은 생물학적 사실을 기
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인간을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틀 안에 가두려는 사회적
인식이 만들어 냈다는 것
☞  이제 여성학의 문제의식이 한 걸음 더 진보하여 이제까지 ‘왜 여성은 여성으로 길러
지고 남성은 남성으로 길러지는가?’에서 ‘왜 인간을 남성 또는 여성이라는 단 두 가지의 성별 범주로만 인식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됨
☞  인간을 여성과 남성이라는 두 가지 성별로만 인식하는 것은 인간의 타고난 생물학적
특질에 따른 자연적 결과가 아니라 인간을 단 두 가지 성별만으로 나눈 사회적 고안,
즉 젠더의 결과임
② 성별 고정관념(gender stereotype)
☞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이라는 성격특성에 대한 기대
③ 성역할(gender role)
☞  여성과 남성에게 상이한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는 것


(2) ‘성차’라는 신화
■  “여성이 지성에 약하고 감정에 강하다.”
- 여성의 뇌에서 위의 주장과 관련된 결함을 밝히고자 하였고 많은 연구자들이 남성의 뇌
용량이 여성보다 크고 따라서 남성이 여성보다 영리하다고 주장
- 반론 : 같은 남성이라도 키와 몸무게에 비례해 뇌의 크기가 각각 다르다는 점을 밝혀내고
뇌의 무게와 몸무게의 비율을 따져볼 때 상대적으로 여성의 뇌가 큼
■  “생리는 여성과 남성의 지적 성취를 가르는 기준이다.”
- 여성은 생리 때문에 감정의 기복이 심하며 수동적이며 불안, 긴장감, 적대감을 더 많이 가
지며 이는 지적 성취에 불리하다는 것
- 반론 : 훨씬 많은 수의 실험 참가 여성들은 생리 전후를 비교하거나 남성들과 비교해도
생리가 지적 성취와 상관이 없음이 통계적으로 밝혀짐
■  ”태아기의 성 호르몬이 아이의 성 정체감을 자동적으로 결정짓는다.”
- 태아기에 남성 호르몬(안드로겐과 테스토스테론)과 여성호르몬(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
겐)의 차이가 아이의 성을 결정하고 여성호르몬은 감정적 수동적이게 남성호르몬은 능동
적이고 공격적으로 만든다는 것
- 반론 : 존스홉킨스 대학의 머니(John Money) 박사 등은 양성의 성징을 지니고 태어난 아
이 두 명의 성장과정을 관찰. 한 명은 여성으로 한 명은 남성으로 교육하며 길렀더니 두
아이는 각기 다른 성역할을 보이면 자라났다고 함


3) 사회적 구성물로써의 젠더


(1) 사회구성주의
■  젠더는 교육과 사회화를 통한 문화적 습득의 결과로, 성별의 의미나 성역할이 생물학적 성
(sex)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가 성(sex)에 각인됨으로써 젠
더의 의미가 형성되는 것
■  생물학적 성에 따라 태도나 몸가짐, 역할, 일, 성격 등에서 여성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을 나
누고 우열을 정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강요된 고정관념일 뿐 전혀 정당성이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지의 성별 범주로만 인식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됨
인간을 여성과 남성이라는 두 가지 성별로만 인식하는 것은 인간의 타고난 생물학적
특질에 따른 자연적 결과가 아니라 인간을 단 두 가지 성별만으로 나눈 사회적 고안,
즉 젠더의 결과임
② 성별 고정관념(gender stereotype)
☞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이라는 성격특성에 대한 기대
③ 성역할(gender role)
☞  여성과 남성에게 상이한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는 것


(2) ‘성차’라는 신화
■  “여성이 지성에 약하고 감정에 강하다.”
- 여성의 뇌에서 위의 주장과 관련된 결함을 밝히고자 하였고 많은 연구자들이 남성의 뇌
용량이 여성보다 크고 따라서 남성이 여성보다 영리하다고 주장
- 반론 : 같은 남성이라도 키와 몸무게에 비례해 뇌의 크기가 각각 다르다는 점을 밝혀내고
뇌의 무게와 몸무게의 비율을 따져볼 때 상대적으로 여성의 뇌가 큼
■  “생리는 여성과 남성의 지적 성취를 가르는 기준이다.”
- 여성은 생리 때문에 감정의 기복이 심하며 수동적이며 불안, 긴장감, 적대감을 더 많이 가
지며 이는 지적 성취에 불리하다는 것
- 반론 : 훨씬 많은 수의 실험 참가 여성들은 생리 전후를 비교하거나 남성들과 비교해도
생리가 지적 성취와 상관이 없음이 통계적으로 밝혀짐
■  ”태아기의 성 호르몬이 아이의 성 정체감을 자동적으로 결정짓는다.”
- 태아기에 남성 호르몬(안드로겐과 테스토스테론)과 여성호르몬(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
겐)의 차이가 아이의 성을 결정하고 여성호르몬은 감정적 수동적이게 남성호르몬은 능동
적이고 공격적으로 만든다는 것
- 반론 : 존스홉킨스 대학의 머니(John Money) 박사 등은 양성의 성징을 지니고 태어난 아
이 두 명의 성장과정을 관찰. 한 명은 여성으로 한 명은 남성으로 교육하며 길렀더니 두
아이는 각기 다른 성역할을 보이면 자라났다고 함


3) 사회적 구성물로써의 젠더


(1) 사회구성주의
■  젠더는 교육과 사회화를 통한 문화적 습득의 결과로, 성별의 의미나 성역할이 생물학적 성
(sex)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가 성(sex)에 각인됨으로써 젠
더의 의미가 형성되는 것
■  생물학적 성에 따라 태도나 몸가짐, 역할, 일, 성격 등에서 여성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을 나
누고 우열을 정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강요된 고정관념일 뿐 전혀 정당성이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