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2.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2

반응형

52.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2

 

2. 고구려의 문화사 배경


전개과정
1) 2세기 : 태조왕
- 고대 왕국 기틀 형성, 왕위 세습
2) 4세기 : 소수림왕
- 불교수용, 율령반포, 태학설립
3) 4세기말~5세기 초 : 광개토대왕
- 정복사업, 광개토대왕릉비 -신라 침입한 왜 격퇴
4) 5세기 : 장수왕
- 남진정책, 평양천도, 한강 이남 확보, 중원고구려비

지방권력과 씨족으로 출발하여 기원전 37년 첫 번째 수도 오녀산성 건설함
30년 후 국내성으로 천도
472년 현재의 북한 수도인 평양으로 천도
197년 권력다툼으로 국내성 파괴되었고, 209년 환도산성 세워짐
국내성, 환도산성은 고구려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 였고, 전쟁으로 파괴, 복구 반복되었음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한자와 한문학 삼국 중 가장 먼저 들여옴
소수림왕 2년에 태학세움
경당을 세워 미혼 자제들 -궁술, 독서
옥편과 같은 사전류 유포됨
한자사용으로 국가적 사서편찬 행해짐 -유기 105권 편찬 이후 이를 바탕으로
신집 5권으로 간략하게 재편찬
광개토대왕비 약 1,800자 비문으로 한자 사용 근거 확인
유리왕의 황조가, 정법사의 영고석,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시 등의 한시

 

천문학 발전 – 중국보다 이전에 별자리 발견하여 중국에 일부 수출함
의술 – 침술이 뛰어났음
중공업 – 철 생산과 가공 운영 능력 우수, 높은 제련기술(순도 높은 금 제련)
원시 신앙 – 자연물 숭배, 천신과 지신, 조상신 등 3신 숭배, 샤머니즘적 신앙
나라에서 부여신과 고등신 등 시조신으로 해마다 4회의 제사를 지냄
불교는 소수림왕 2년에 승려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전래한 것이 시초
소수림왕은 초문사, 이불란사 건립 후 국가적으로 불교 받아들임

궁실과 사찰 등 건축물이 현존하지 않으나 고분의 구조를 통해 당시 귀족계급의
호화로운 건축양식을 추측할 수 있음
쌍영총 – 관을 안치한 큰 석실과 그 위에 봉토를 덮은 토총형식으로 섬세하게 그려진
인물화가 있음
무용총 – 무인, 가인의 그림으로 고구려인의 풍속과 복식 알 수 있음
강서대묘 – 사신도로 강건한 고구려 기질 유추 가능 : 청룡과 백호 등이 그려져 있음
수렵총, 각저총, 수산리 고분, 안악 3호분 등의 고분 벽화가 전해짐

고구려식 망새(치미)
쌍영총 입구

 

쌍영총 벽화

고구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118호) -1940년 평양 근처에서 발견됨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19호) -1965년 경남 의령군에서 발견됨
고구려 금동불상 -중국 요령성에서 발견(‘대고구려국’국명 적혀 있으나 제작 년
불분명함)
고구려의 문화는 일본에 많은 영향을 미침 -고구려 화공과 학승이 불교문화
전파(담징)

왕산악이 진의 칠현금을 개량하여 거문고 제작 -100여곡의 악곡 남김
별주부전 -구토지설에 근원을 둔 우화소설
온달 설화 -평강공주를 아내로 맞아 부마와 무장이 된 온달 장군의 역사 설화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낙랑국의 낙랑공주와 고구려왕자 호동이 결혼 후 일어나는
이야기

거문고 연주하는 모습
횡적 또는 횡취
수산리 고분벽화의 악대행렬
고구려의 절풍 장식
고구려의 귀걸이
안학 3호분 귀신기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