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3
■ 고조선·고구려 복식
1. 고조선의 복식사 배경
• 증보문헌비고, 연려실기술 등에 “머리에 개수하는 법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음
- 의복 정제를 말하는 것으로 고유 복식이 이때 부터 형성된 것으로 추측
- 사기, 조선열전 등에 “연나라 장수 위만이 조선 입국할 때 추결만이복을 하였다”는
기록이 있음
1) 추결 : 고대 머리장식인 상투를 의미함
2) 만이복 : 중국복식과 다른 호복을 착용하고 있음을 표현한 것임, 고조선의 복식은
한족과 달리 스키타이계 호복임을 알 수 있는 것
• 부여의 시조 해모수를 묘사한 기록 “머리에는 조우관을 쓰고 허리에는 용광의
칼을 찼다”
- 조우관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초 기록임(두 손을 합장한 것과 같은 모양인 변형모에
새의 깃을 꽃은 것)
- 유목민족의 조류 숭배 사상인 샤먼적 의의를 추측
• 해모수는 최초의 조우관 착용자로 기록되어 있음(제정일치의 인물로 추정 가능)
• 삼국지, 위서동이전 등에 “부여인들은 백의를 숭상하며 백포로 만든 소매가 큰
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었다”는 기록이 있음
- 부여는 추운 지역으로 귀족들은 짐승의 가죽으로 만든 옷을 덧입었고, 상을 당하면
남녀 모두 순백색의 옷을 입고 부인들은 포로 된 얼굴을 덮는 천을 착용하고
장신구는 하지 않았음
• 옥저와 동예의 경우 후에 고구려에 복속됨
- 옥저는 복식이 고구려와 동일
- 동예는 남녀 모두 둥근 긴 옷을 입었고, 남자는 은화장식, 여자는 바지를 입지 않고
비단에 솜을 넣어 누빈 형태의 옷을 착용함
• 삼한 가운데 마한의 관리자층은 관모를 착용함
- 의복은 직물로 만든 포를 입고 짚신류나 가죽신을 신었음
- “마한 사람은 영주로 의복에 부착시켜 장식했다”는 기록을 통해 구슬로 의복을
장식했음을 추측할 수 있음
- 북방 유목, 기마 민족이 의복에 영주나 금, 은 등으로 장식했고, 이는 고분 출토품을 통해 확인
2. 고구려의 복식사 배경
• 고구려 깃발은 종류가 많지 않았고, 단순하며 무늬가 많이 없었음
• 지배층의 복식은 한나라와 흉노에서 수입한 비단과 금, 은으로 장식하여 입음
• 결혼과 동시에 수의 제작 – 고구려 무덤은 부부 합장 묘 또는 무덤 벽화에 부부
초상화 그려져 있음
• 하늘의 별, 동물 등에서 따온 패턴 무늬 한복과 흰옷 입음
'미용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5.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5 (2) | 2024.01.28 |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4.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4 (2) | 2024.01.27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2.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2 (5) | 2024.01.25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1.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4) | 2024.01.24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0. 근대 19세기 후반의 문화 6 (1)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