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교육학과, 교육학, 청소년 등 교육사회학 전공 요점 정리 1. 교육사회학의 발달 1

반응형

1. 교육사회학의 발달 1

1 사회-교육-문화의 관계


1) 사회와 교육
(1) 사회의 개념 : 둘 이상의 개인의 모임
사회적이라는 의미는 개인적 차원이 아닌 집단적, 정태적이기 보다 상호작용적 또는
동태적(dynamic)인 관계를 의미
- 듀이(J. Dewey) : 교육을 사회적 과정(social process)이라고 규정
- 크리크(E. Krieck) : 교육을 사회적 동화(同化)과정이라고 규정
◆ 교육은 인간을 문화화하는 과정
- 문화화 : 개인이 문화를 습득하여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이는 일생을 통해 일어나는
사회화 과정임
◆ 교육이란 처한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쳐 줌
- 즉, 교육은 인간행동의 발달과 변화를 다룸
◆ 인간행동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이므로 교육은 사회적 과정임
- 인간의 행동은 타인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됨
◆ 교육은 사람들의 사회화를 의식적으로 도모함
◆ 교육은 문화전달이라는 방법으로 한 사회의 영속성을 담당함
◆ 교육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소정의 행동유형을 가르침
◆ 문화는 어떤 집단의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가진 생활양식 또는 사고방식
◆ 교육은 문화 내용을 중심으로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매개하고 그 매개과정을 통하여 문화를
계승, 발전시킴
◆ 교육은 사회화와 문화화를 동시에 포괄하면서 상호 연계해주는 매개작용을 함

 

2 교육사회학의 발달


1) 교육사회학의 태동
(1) 교육사회학의 태동
◆ 19세기 중반 사회학에서 교육의 사회성에 관한 인식과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자각 일어남
◆ 초기 사회학자들은 교육이 사회진보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이며 사회통제를 위해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언급
- 스펜서(Spencer, 1861) : 교육적 지식을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조직화하려고 노력
- 워드(Ward, 1883) : 사회진보를 도모하고 인간을 행복에 이르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교육에 의한 지식의 보급이라고 주장
- 스몰(Small, 1897) : 학교의 관리, 훈육 및 교수법은 사회적인 준거 틀에서
행해져야 한다면서 교육의 사회성을 강조
- 로스(Ross, 1901) : 교육을 사회통제 체제의 기초로 인식함
- 쿨리(Cooley, 1902) : 사회의 본질을 가장 많이 찾고, 경험할 수 있는 장소인
1차 집단으로서 학교의 의미를 언급

 

(2) 교육적 사회학(Educational Sociology)
◆ 사회학의 지식을 교육실천에 응용하려는 실천지향적 경향을 말함
- 워드(Ward, 1922) : 교육에 있어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학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

 

(3) 교육의 사회학(Sociology of Education)
◆ 교육현상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사회학의 지식과 이론을 넓히려는 사회학지향적 조류를 일컬음
- 엔젤(Angell, 1928) : 교육사회학은 단순히 순수 사회과학의 한 분야라고 주장
- 월러(Waller, 1932) : 저서 [교수의 사회학(The sociology of teaching)]에서
교사의 역할을 학생과 지역사회 등에 관련 지어 분석하려는 시도를 함
- 로이터(Reuter, 1935) : 교육사회학자들은 다양한 상황에서의 교육의 형태, 기능, 그리고
발달에 대한 이해, 학교가 현존하는 제도권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발견 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진술


3 교육사회학의 성격


1)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
(1) 로첵(Roucek, 1946) : 1940년대 중반까지의 미국 교육사회학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
◆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의 결정에 응용하는 교육의 실천 보조적 학문으로 간주
- 대표적 학자 : 스미스(Smith), 챈슬러(Chancellor), 쿨스(Cools), 스네텐(Snetton) 등
◆ 충실한 교육 계획은 사회학적 조사연구에 기초를 두어야 하고, 퍼스낼러티의 문화적, 집단적
요인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사회학을 교육의 전 과정에 두루 응용해야 한다는 입장
- 대표적 학자 : 페인(Payne), 솔보(Solbow), 체르니(Cherney), 로첵(Roucek) 등
◆ 일종의 특수사회학, ‘교육의 사회화’를 추구한 사회과학적 접근
- 대표적 학자 : 즈나니에츠키(Znaniecki), 월러(Waller)

 

(2) 페인(Payne, 1927)
◆ 교육사회학이 사회변동의 결정수단이 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의 내용,
교수방법 및 학교조직에 초점을 맞춘 조사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할 것을 강조
(3) 조르보오(Zorbough)
◆ 인격형성의 사회학을 강조
(4) 브라운(Brown)
◆ 교육적 사회학 이론을 재정립함

(5) 쿡크(Cook)
◆ 교육의 지역사회적 배경을 중심으로 연구함
(6) 브루코버(Brookover) :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제시
◆ 사회진보 수단으로서의 교육사회학
- 사회진보와 사회악 제거에 기본이 되는 영역으로 간주하고
사회 개선의 중요한 기능 수행을 강조
- 대표적 학자 : 워드(Word), 굿(Good), 엘우드(Ellwood) 등
◆ 교육목표 설정의 기초를 연구하는 교육사회학
- 사회와 인간의 필요에 의하여 교육의 사회 철학적 측면에서 접근
- 대표적 학자 : 휘니이(Finney), 스네덴(Snedden), 피터스(Petres) 등
◆ 사회화 과정을 분석하는 교육사회학
- 아동의 사회화 과정에 관심을 갖고, 특히 사회적 환경으로서 집단과의 상호작용 과정이
개인에게 주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시도
- 대표적 학자 : 스미스(Smith), 브라운(Brown) 등
◆ 사회에서의 교육의 위치를 분석하는 교육사회학
- 사회 또는 지역사회 안에서 작용하는 교육의 역할을 규명
- 대표적 학자 : 쿡크, 홀링스헤드, 워너(Warner) 등
◆ 학교 안에서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를 분석하는 교육사회학
- 학교사회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 관계와 역할 등을 분석,
또한 학교 내의 구성원들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분석
- 대표적 학자 : 즈나니에츠키(Znaniecki), 맥기(McGee)) 등

 

(7)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은?
◆ 그 대상이 가족, 또래집단, 이웃, 지역사회, 국가 등 전반을 망라하여 내용이 포괄적이고
연구방법도 가설검증 등의 절차가 누락된 원시적인 연구가 많고 그 이론성이 약하기 때문에
학문적 위신을 저하시켰다는 비판을 받음


2) 학문지향적 교육사회학
◆ 1950년에 이르러 교육사회학은 실천지향적 학문에서 순수과학으로 탈바꿈,
가치판단으로부터 사실분석으로 성격이 바뀜
◆ 규범적 또는 응용적인 학문에서 객관도나 정확도가 높은 교육과학으로 재조직함

 

(1) 뒤르캠(Durkheim)
◆ 교육의 본질을 사회학적 접근방식으로 탐색함으로써 교육사회학을 일종의 교육과학으로
확립하고자 노력함
◆ 교육을 사회적 실제로 파악하고, 사회구조의 한 부분으로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것을
교육연구의 핵심으로 봄

 

(2) 스탈컵(Stalcup)
◆ 교육적 사회학은 교육운영 및 과정에 사회학의 일반적 원리와 연구결과를 응용하는
학문이고, 교육의 사회학은 교육체제의 사회학적 과정을 분석 연구하는 학문

 

(3) 브루코버(Brookover)
◆ 1970년대 중반까지의 연구 동향에 관하여 세 가지로 분류함
-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 학생의 성적과 태도 형성에 미치는 이웃, 가족, 사회의 영향을
규명하고 학생의 자아개념, 가치관, 세계관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연구가 주류를 형성
- 1950~1960년대 초반 :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또는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발전으로 나누어 설명하려는 경향이 짙게 나타남
- 1960년대 중/후반 : 학교 내의 인간관계, 역할, 사회적 풍토, 학교문화 등에 관한 연구
◆ 교육의 사회학을 교육체제에서의 인간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으로 규정하고,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
- 교육체제와 사회의 다른 부면과의 관계
- 학교 내의 인간관계
- 학교가 교사와 학생의 행동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4) 파슨스(Parsons)
◆ 사회적 기능 측면에서 사회체제로서의 학교의 내부 구조와 기능을 분석
(5) 그로스(Gross)
◆ 역할분석의 측면에서 학교와 학급의 사회구조와 기능, 학교의 외부환경을 분석
(6) 드리벤(Dreeben)
◆ 사회규범의 습득에 미치는 학교의 사회화 기능을 고찰
(7) 비드웰(Bidwell)
◆ 학교조직의 구조와 과정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분석을 시도

(8) 1963년 이후 연구들은 한결같이 학교의 사회구조와 내부 과정에 주목하여
그것과의 관련 속에서 학생 및 교직원의 역할과 행동을 가치, 태도 수준에서
고찰하려는 특징을 강하게 나타냄
◆ 이러한 경향을 ‘학교사회학’이라고 명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