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7. 디자인의 요소 ( 형(形)과 형태(形態))

반응형

17. 디자인의 요소 ( 형(形)과 형태(形態))

 

가. 형(shape)
형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구상적인 형과 추상적 형이 있다. 또한 형은 평면적인 경우
와 입체적인 경우가 있는데, 평면적인 형은 선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지며, 입체는 면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모, 네모, 원과 같이 평면적인 것을 형(shape) 또는 형체라고 한다.

 

다양한 도형들

형체는 물건의 표면상의 면적이나 실루엣(silhouette)의 도형이며, 인공적인 것과 자연
물로 된 것도 있다. 또한 형체는 기하학적 형체와 유기적이며 자유로운 형체로 직선형
과 곡선형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눈으로 어떤 형이나 형태를 대하게 될 때 내부의 특정이나 색채, 명암, 질
감 등과 같은 세부 내용보다는 윤곽의 모양이나 1차적 특성들을 먼저 보게 된다. 형의
지각은 윤곽선 또는 형, 색 그리고 명암, 공간적 위치, 운동, 또는 지각 요인들의 결합
등과 같은 구조적이며 표면적인 특성들을 식별함으로써 성취된다. 단순한 형이 복잡한
형보다 더욱 정확하게 혹은 쉽게 지각될 수 있다. 원,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형들은 단순하고 일정한 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타원형이나 또는 사다리꼴과 같은 복
잡한 형들보다 쉽게 인지된다. 그러므로 단순한 형은 일반 대중을 상대로 판단을 요구
하고 쉽게 인식되고 기억되어야 하는 사인이나 심벌 등을 디자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는 요소이다.

면의 무아레(Moires) 패턴
면의 착시

나. 형태(form)
디자인은 형태와 기능의 조화에 의한 인위적인 유기체로 어떻게 의미 있는 형태를 창조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형태는 3차원의 매스(Mass)와 양감(Volume)을 느낄 수
있는 것이며 선, 면, 질감이 존재한다. 형태의 기원은 자연물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바
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는 좁은 의미의 형태는 평면과 공간이며, 넓은 의
미의 형태는 색채와 평면과 공간과의 관계로 구분하였다.

형태가 디자인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 설명되는 이유는 인간이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
거나 사실의 개념을 받아들이려면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하여야 하는데 주로 시각을 통
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 형태의 분류
1) 기하학적 형태
기하학적 형태는 일찍부터 인간생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원시민족의
예술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양식은 대부분의 민족에서 발견되는 자연발생적인 현상으
로 추정된다. 기하학적 형태는 수적 법칙에 의해 생겨난 형이며, 강한 질서를 가져 규
칙적이고 단순하며 명쾌한 조형 감정을 유발한다.
기하학적 문양은 인간의 조형욕구와 창조능력의 표현이라 볼 수 있다. 주류는 직선, 동
심원, 와선 등인데 단순한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준다.

지페를 이용한 기하학적 형태 종이접기
기하학적 모양의 의자와 식탁

2) 유기적 형태
자연계의 형태로 해안의 조약돌, 강물의 흐름, 식물들이 지닌 매끄러운 곡선이나 곡면
등은 유기적인 형태로 순수한 기능적인 형태이다. 인간의 의지와 요구와는 상관없이 형
성되며 일정한 불변의 상태가 아닌 쉼 없이 변화한다. 또한 생명의 성장과 관련이 있으
며 성장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다.

달팽이
연꽃

3) 추상(Abstract) 형태
추상 형태는 자연물 또는 원과 삼각형, 사각형 등 기하학적인 유기적 형태를 추상화하
여 인간의 창작적 미의식에 개성이 강하게 결합된 의도적인 형태이다.

은하성운의 기하학적 형태

4) 순수(Pure) 형태
의도성이 배제된 우연적인 형태로 목적에 대한 결과와 연관성이 없는 형태이다.

우연적 형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