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비례(Proportion)
비례란 레이아웃 상의 구성요소에서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의 크기와 비율을 말한
다. 균형과 직접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밸런스(균형)나 시메트리(대칭) 보다 더
욱 수리적인 비율에 의하여 전체를 구성한다. 그 중에서도 주어진 길이를 가장 이상적
으로 나누는 길이의 비가 황금비(黃金比)를 이루는 형은 가장 아름답고 조화롭게 보이
는 비율이기 때문에 디자인에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가. 황금비(黃金比)
황금비(黃金比) 또는 황금분할(黃金分割)은 주어진 길이를 가장 이상적으로 둘로 나누
는 비로, 근사값이 약 1.618인 무리수이다. 기하학적으로 황금분할은 유클리드(원론
3, 141)가 정의했으며 개념은 “주어진 선분(線分)을 대(大), 소(小)의 두 부분으로 분
할하여 소(小) 부분 과 대(大) 부분의 비가, 대(大) 부분의 비와 전체의 비와 같게 하는
것”을 말한다. 용어로는 황금분할(Golden Section 또는 Divine Section)이라 하고 그
비를 황금비(Golden Ratio)라 한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신의 비례’로 불리었으며, 비율을 구하는 방법은 피타고라스 정리
에 따라 “직각 삼각형에서 직각을 끼고 있는 두변의 제곱의 합은 빗변의 제곱과 같다.”
라는 것을 이용한다. 즉, 긴 변 과 짧은 변의 길이를 a와 b라고 하면 a : b = b : (a+ b)
인 수식이 성립되는 것으로 그 값은 1 : 1.618 이다.
황금비를 정확히 구하는 값은 간단하다. 숫자 1, 2, 3, 5, 8, 13, 21, 34, 55, …등으
로 숫자가 커짐에 따라 3:5 ≒ 5:8 ≒ 8:13 .... 등의 수열식이 성립된다. 이 수열은 등비수열(等比數列)로서 일명 피보나치 (Fibonacci) 급수(給數)라고 한다. 수열식은 제 3
항의 값이 앞의 두개 항의 수의 합과 같은 원리이며, 연속하는 두 항의 수의 비는 황금
비의 근사치가 되며 뒤의 숫자로 갈수록 그 값이 근사치에 더욱 더 근접하는데 계속해
서 나열해보면 결국 46368 : 75025에 이르러서 1:1.618의 비(ø)가 정확히 맞아 떨어
진다. 그러므로 황금비의 정확한 비례 값은 46368 : 75025이라는 수치인데 황금비의
정확도에 비추어 보면 계산하기 복잡한 수이다.
나. 루트비례
사각형 한 변을 1로 할 때 긴 변의 길이가 루트2(1.414), 루트3(1.732) 등의 무리수로
되는 것으로 루트 직사각형을 이용하여 건축이나 공예, 종이(A 시리즈 규격) 크기 등에
활용된다.
다. 금강비례
금강비례는 서양에서 발달한 황금비와는 다른 우리나라 전통비례로 루트2, 즉
1:1.414 비례와 일치하며 황금비와 같은 아름다움과 실용적인 비례로 평가된다.
'디자인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1. 통일과 변화 (0) | 2023.03.24 |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0. 균형(Balance) (0) | 2023.03.23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8. 질감(texture) (1) | 2023.03.22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7. 디자인의 요소 ( 형(形)과 형태(形態)) (2) | 2023.03.22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6. 디자인의 요소 ( 면(面))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