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13. 한국의 현대 디자인과 미래

반응형

13. 한국의 현대 디자인과 미래

 

가. 한국 디자인의 발전
디자인은 산업의 생산성과 관계되는 조형 활동이다. 기능성, 경제성, 조형성 등을 고려
하여 인간 중심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창조적 활동으로 예술과 산업 기술의 만남을 통해
생산성을 바탕으로 예술성과 기술적인 것의 조화로 인간생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디자인은 산업화의 역사가 짧고, 많은 부분 디자인의 변천사에 있어서 정
부주도의 정책적인 진흥과 기업의 발달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서양의 경우처럼 인
물이나 계파, 사조, 스타일로는 분류할 수 없다. 1960년대 중반부터 한국 산업디자인 형성을 주도적으로 이끈 것은 대한민국 상공 미술전(현 산업디자인 전람회)이며, 1970
년대 이후 각 협회들에 의해 수행된 각종 “협회전”을 통해 한국 디자인의 조류가 형성
되었다. 1960년대 척박한 산업 환경에서 도안, 제품 개선안 수준으로 색채에 치중한
디자인 형태에서 1970년대 국내 산업기반 시설의 구축과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수출을
목적으로 제품에 대한 관심을 기울였고, 국민적 디자인 인식전환을 위한 생활용품에 대
한 관심도 기울였다. 또한 1970년 초에 한국디자인포장센터 (KDPC)가 설립되었으며
1977년 디자인포장진흥법을 제정하여 한국 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 작용하
였다.
1985년에 한국디자인포장센터(현재 ‘한국디자인진흥원’)는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가치를 창출하여 국가 및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굿디자인(Good
Design) 마크제를 도입하였다. 1986 아시안게임과 1988 올림픽은 한국디자인사에서
도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전 세계의 언론에 비춰지게 될 올림픽의 디자인은
세계적 수준이어야 했고, 기존의 모방, 표절이 만연하던 디자인계는 높은 수준의 독창
적인 디자인을 추구해야만 했다. 특히 디자인 작업에 최첨단 컴퓨터가 활용되면서 그
래픽디자인 작업의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1990년대는 우리 고유의 전통디자인 개념이 도입된 제품과 상품이 다양하게 발표되었
으며, 국가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으며, 대기업에 의해 제품기술이 중심이 되는 정책으
로 디자인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졌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자동무게조절 덤벨

나. 한국 디자인의 과제
현재 한국의 디자인은 국제 사회의 다변화와 첨단 제품의 급변에 따라 전통적 디자인
의 모방에서 기술 혁신과 디자인 혁신이 질적 도약을 가져왔으며, 우리 고유의 문화의
DNA가 살아 있는 디자인의 글로벌화를 이루어냈다. 세계는 K-Pop을 좋아하고 한국
드라마나 영화에 매료되어 음악, 드라마, 영화와 같은 한류 문화적 콘텐츠가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이제는 한국적 디자인이 세계 속에 자리매김할 차례이다. 우리 대중문화의
파급력은 이제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확장되고 있으며, 그 영역에 있어서도 차츰 패션,
음식, 관광산업, 의료, 과학 등 한국 문화 및 산업 전반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도 스마트 기기, 자동차, 가구 등의 제조업에서의 제
품 디자인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대중문화의 현상으로부터 시작된 한류의 성과
를 디자인 분야의 성과 및 이익 창출로 이어지도록 하여, 한국 디자인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디자인 한류의 원류를 찾아야 하며 한국적 스타일의 디자인으로 개발되
어야 할 것이다.

국산 컨셉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