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강 개성적 존재로서 인간과 교육 2
1. 동기
※ 거의 비슷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지력이 비슷한 두 학생 중 한 학생은 열심히 공부하고 다른 학생은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다고 할 때, 이 차이는 어디에서 연유하는 것일까? 이러한 행동의 개인차는 동기의 개인차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인간행동의 독특성을 이해하는 원천으로서의 동기란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을 인간을 움직이는 힘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동기이론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동기의 의미
- 동기는 유기체의 행동을 활성화하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해주는 힘이다.
- 동기 = 욕구(need) + 추동(drive)
- 욕구(need)는 무언가를 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고, 추동(推動)은 행동으로 나타 나게 만드는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면, 동기는 무언가 하고 싶 어 하는 마음을 행동으로 나타나게 만드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동기 는 보통 욕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예: 성취욕구=성취동기).
cf. 머레이(Murray)의 욕구 분류
- 장기발생적(생리적, 1차적) 욕구 : 식욕, 수면욕, 배설욕, 갈욕, 호흡욕 등
- 심리발생적(심리적, 2차적) 욕구 : 성취욕구, 친애(親愛)욕구, 양호욕구, 구호 (救護)욕구, 공격욕구, 굴욕회피욕구, 유희(遊戱)욕구 등
* 성(性)욕구는 생리적 욕구이기도 하고, 심리적 욕구이기도 하다.
2) 다양한 동기이론
(1) 정신분석적 접근
- 갈등의 심리학 : 정신분석학은 인간이 끊임없이 갈등하고 있는 존재라는 것 을 전제로 하고 있다.
- 인간의 모든 심리적인 사상(事象, event)은 반드시 원인이 있고, 인간행동의 원인의 대부분은 무의식에 있다.
- 인간을 움직이는 힘은 삶의 본능(성 본능, 생식 본능)과 죽음의 본능(공격 본 능)이다.
(2) 행동주의적 접근
- 행동주의(behaviorism)의 창시자는 왓슨(Watson)이다. 왓슨은 심리학 연구에 있어 내성주의(內省主義: introspectionism)를 비판하면서 행동주의를 창시하였 다. 내성주의란 인간의 마음의 세계를 주관적인 관찰에 의해 알아낼 수 있 다고 주장하는 관점인데, 행동주의적 관점에서는 마음의 세계에 대한 주관 적인 관찰은 신뢰로운 방법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 행동주의적 관점에서는 엄격한 과학적 연구의 필요성, 동물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우리 안에 내재하는 자아, 무의식, 혹은 내면의 가상적 실 체(예: 욕구, 동기 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행동을 내적인 것에 근거하여 설명하는 것을 단호히 부정한다. 즉,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인 개념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려 하기보다는 측정과 관찰이 가능한 인간 외부에 있는 원인들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신(新)행동주의자인 헐(Hull)은 전통적인 행동주의자들과는 달리 우리 내부의 어떤 힘의 영향까지 고려하여 ‘행동은 동인, 유인, 그리고 습관강도 간의 상 승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3) 인지주의적 접근
- 인간을 움직이는 힘은 우리의 인지(認知) 또는 사고라고 보는 관점이다. 즉, 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이 나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이 다.
- 대표적인 것이 귀인이론(歸因理論)인데, 이것은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어디 로 돌리느냐 하는 것과 관련된 이론이다.
- 웨이너(Weiner)는 원인의 소재를 세 차원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즉, 내적-외적 차원, 안정적-불안정적 차원, 통제 가능-통제 불가능차원이 그것이다. 내적- 외적 차원은 원인을 내 안에서 찾느냐, 밖에서 찾느냐 하는 것이고, 통제 가 능-통제 불가능 차원은 내 힘으로 통제 할 수 있는 요인에 원인을 돌리느냐 그렇지 않은 요인에 원인을 돌리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안정적-불안정적 차 원은 ‘변화가능성’과 관련된 것으로서 시간의 경과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변 화가능성이 많은 요인은 불안정적인 요인이고, 변화가능성이 적은 요인은 안정적 요인이다.
-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학습에서의 성공과 실패를 외적 요인보다는 내적 요 인, 안정적 요인보다는 불안정적 요인, 통제 불가능한 요인보다는 통제 가능 한 요인에 귀인시킬 때 학습동기는 증가한다.
(4) 사회학습이론적 접근
-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학습이론을 결합해놓은 것으로 이 해될 수 있다. 즉,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학습하는 데에는 외부 환경의 어떤 직접적인 자극(강화) 뿐 아니라 우리 내부의 인지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보다는 인지이론에 더 가깝다 고 볼 수 있다. 이 이론은 반두라(Bandura)에 의해 주창된 것으로서 관찰학 습 또는 모델링(Modeling)이라고도 불리며, 유기체가 어떠한 행동을 시도해 보지 않고서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시행학습(no-trial learning) 이라고도 불린다.
- 동기의 원천으로는 적극적인 목표의 설정,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 의해 영향 받는 가능한 행동결과에 관한 사고와 심상을 들 수 있다.
(5) 인본주의적 접근
- 인본주의 심리학은 1960년대 초에 그 당시까지 가장 영향력 있는 두 가지 심리학의 조류인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에서 바라보는 인간관에 문제가 있음 을 느낀 학자들이 매슬로우(Maslow)의 지휘아래 결속하여 그 대안으로 내놓 은 ‘제 3세력의 심리학’이다. 인본주의적 관점에서는 개인의 자기인식과 자유 의지가 인간행동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cf. 실존주의적 인간관
* 세상 속에서의 실존(being in the world) : 인간의 저마다의 독특한 문제를 지니고, 이 세상을 고통스럽게 경험하면서 살고 있는 존재다.
* 되어 가는 존재(becoming) : 불완전한 인간은 완전과 완성을 향해서 형성 되어 가는 존재다. 이러한 가능성으로서의 인간은 교육에 의해 자신을 완성시켜 나갈 수 있다.
* 창조적 존재(creativity) : 인간은 유전에 의해서도, 환경에 의해서도 ‘결정 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창조적인 힘에 의해 자기 인생을 감독하 고(self-directing), 자신의 인생목표에 부합하는 삶을 자유롭게 만들어 갈 수 있는 존재다.
* 지금 그리고 여기(now & here)의 중요성 : 지금 그리고 여기에서의 경험, 느낌, 생각 등이 그 개인에게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과거에 대한 지나친 집착은 오히려 해가 되며, 매 순간을 최선을 다하여 열심히 사 는 것이 중요하다.
-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 결핍욕구: 결핍되면 반드시 채워져야 하는 욕구.(예: 생리적, 안전, 소속․ 인정․사랑, 자존감의 욕구).
* 성장욕구: 결핍되어도 반드시 채워질 필요는 없는, 하지만 한 인간으로 성 장․발달하기 위해서는 채워질 필요가 있는 욕구.(예: 지적, 심 미적, 자아실현의 욕구).
cf. 자아실현을 방해하는 요인들(Maslow)
* 무지와 의심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이 얼마나 무한한 것인지 잘 모 르고, 또 자신의 능력에 대해 의심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야, 저 사람은 정말로 훌륭한 사람이고, 자아를 실현한 사람인 것 같아” 라고 말하는 그 사람도 실제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능성과 능력을 20%정도 밖에 발휘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 같 은 범인(凡人)이야 자신의 잠재력의 5%, 10% 정도 발휘하고 살고 있는지 도 모른다. 인생을 살다보면 우리는 항상 성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 도 경험한다. 잘 할 때도 있고 못 할 때도 있다. 문제는 실패했을 때 ‘나’ 라는 인간 전체를 부정하고 의심하는 것이다. 노력이 부족해서 나의 가 능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일 뿐, 나라는 인간이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을 때 자아실현에 도달하는 길이 열린다.
* 환경적 요인 : 옛날 조선시대의 여인네들은 남성우위의 전통으로 인해 자 신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계발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여하기가 어려웠다. 학문을 익히고, 사회에 진출하여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자아실현의 길에 들어서는 것이 환경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았던 것이다. 그 때에 비하면 많은 비약적인 발전이 있기는 하였지만, 지금도 여전히 성차별에 대한 논란은 끊이질 않는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우리는 삶의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이 실패를 자신이 의연하게 받아들이고 성장의 밑거름으로 생각할 때 자아실현의 길에 들어설 수 있다고 하였는데, 가 정이나 학교, 사회가 ‘실패의 자유’를 인정해 주지 않는 풍토라면 한 개 인이 자아실현의 길에 들어서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타인을 나 와 같이 소중한 한 인간으로 존중해 주고, 그의 가능성을 믿어 주고, 서 로의 성장을 위해서 격려하고 칭찬하는 풍토에서 자아실현에 도달하는 사람이 많이 나오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 안전욕구 : 아마도 자아실현에 도달하는 데 가장 중요한 방해 요인일 것 같은데,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의 단계 중 안전과 안전에 대한 욕구 때문 이다. 이 안전과 안정에 대한 욕구는 그 위계상 힘이 두 번 째로 센 놈 이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가장 힘이 약한 놈이다. 우리가 우리의 인생에 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여러분은 안전지향적이 되는가 아니면 성장지향적이 되는가? 아마도 대부분은 안전지향적인 결정을 내릴 것이 다. 이것은 안전과 안정을 획득하려는 욕구가 성장하려는 욕구보다도 그 힘이 훨씬 세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 사태는 우리에게 종종 일어나며, 이 때 어떻게 결정하고 선택하느냐에 따라 삶의 모습과 방향은 달라진다. 여기에 우리가 심각히 생각해 보아 야 할 것이 있다.
2. 정서
1) 정서(또는 감정)와 관련된 몇 가지 용어
- emotion(정서, 감정) : 갑자기 생기고, 심한 생리적 변화 동반.
- affect(정동) : 감정을 넓게 통칭할 때 사용.
- mood(기분) : 생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감정.
- feeling(느낌) : 인지적 감정상태.
cf. 정서의 분류 : 7정(희, 노, 애, 구, 애, 오, 욕)/ 플루칙(Plutchick)의 분류
cf. 정서의 3요소 : 생리적, 상황적, 인지적 요소/ 우리가 어떤 감정을 느낀다는 것은 이들 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2) 정서의 생리적 기초
- 뇌의 구조에서 전뇌에 있는 변연계의 일부인 편도체는 정서 및 공격성과 관 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① 자율신경계
- 인간의 인위적인 의도에 의해 조절할 수 없는 신체내부기관을 관장하는 신 경계로서 정서의 경험과 반드시 관련되어 있음.
cf. 체성신경계 : 인간의 인위적인 의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신체기관을 관장하는 신경계(예: 팔이나 다리근육을 조절하는 신경계)
-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뉨. 교감신경계는 위험상황이 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며, 장차 격렬한 활동에 대비시키는 역할을 함.
② 신경전달물질
- 신경절(시냅스)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
- 인간의 정서와 관련이 깊은 신경전달물질
* 도파민 : 쾌락, 즐거움의 정서를 경험케 해 줌. 정신분열증과 관련. 정신분 열증에 사용되는 약물이 대부분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는 작용을 함.
* 노아에피네프린 : 스트레스나 위급상황시 부신선에서 분비. 우울증 등과 관련.
* 세로토닌 : 뇌로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함. 인간이 의지적 행 동을 할 때 운동기능을 조절함. 세로토닌 수준이 낮은 경우 공격적 행 동과 불안반응을 보이고 충동억제력이 감소하여 충동적 행동을 함.
③ 부신
- 콩팥 바로 위에 붙어 있는 내분비 기관
- 호르몬을 분비하여 교감신경계가 조절하고자 하는 목표기관을 활성화함.
(예: 위급상황, 스트레스 상황시 코티졸이라는 호르몬 분비)
3) 정서에 관한 이론
① 신체반응이 정서경험보다 선행한다.(James)
- 상황조건 → 신체반응 → 각성과 평가 → 정서경험
cf. “안면피드백” 가설 : 정서의 경험 결과 얼굴표정이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표정 변화를 ‘지각’(知覺)한 결과 정서를 경험한다.
cf. 자신의 신체적 반응에 대해 어떤 인지적 해석을 내리느냐가 정서경험의 내 용에 영향을 준다. 이 때 우리의 인지적 해석에 영향을 주는 것은 그 상황 조건이 어떤 것이고, 그 상황조건에 대해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느냐이다. 교재에 나와 있는 샥터와 싱어(Schacter & Singer)의 실험은 똑같은 생리적 각성상태가 주변 상황에 대해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행복한 정 서 또는 불쾌한 정서로 다르게 체험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② 신체반응과 정서경험은 동시에 발생한다.(Cannon)
3. 자아개념
※ 자아개념(self concept)이란 내가 나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인데,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자아개념의 종류로는 신체적 자아개념, 학문 적 자아개념, 예술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등이 있다.
1) 실제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 로저스(Rogers)에 의하면 자아는 현실의 나(real self)와 내가 되었으면 하고 바 라는 이상적인 나(ideal self)가 있는데, 이 두 자아 사이에 괴리(gap)가 크면 클 수록 병이 생긴다고 한다.
- 두 자아 사이의 괴리를 줄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현실의 나’를 ‘이상적인 나’에 근접하도록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상적인 나’의 수준을 ‘현실의 나’에 근접하도록 낮추는 것이다.
2) 자아존중감
- 이것은 자신의 기대수준에 비추어 자신을 평가한 결과가 긍정적일 때 생긴다.
- 부정적 자아개념이 누적되어 심해지면 무력감을 학습할 수 있다.
cf. 셀리그만(Seligman)의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다른 사람과의 비 교, 부모나 또래의 평가 등이다.
3) 자기효능감
- 반두라(Bandura)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특정 과제에서 자기 자신이 성공할 것 이라고 상상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 이것은 주로 능력에 대한 자아개념이며, 성취동기와도 관련이 있다.
- 무모한 도전보다는 현실에 근거한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한 도전이 바람직하 다.
4) 자아정체성
- 여러 영역의 자아개념들간에 일관성이 느껴질 때 자아개념의 통합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것을 자아정체성이라고 한다.
- 자아정체성을 경험하려면 정체성 탐색과 혼미를 겪어야 한다. 에릭슨(Erikson) 은 이것을 정체성 위기의 극복과정으로 보았다.
- 자아정체성의 발달수준 : 정체성 혼미상태/ 정체성 조기 완료/ 정체성 유예/ 정 체성 성취
- 자아정체성의 경험과 확립에는 누구보다도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인간과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인문, 교육학 등 인간과 교육 핵심 요점 요약 정리 9.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과 교육 2 (0) | 2022.12.20 |
---|---|
방통대, 인문, 교육학 등 인간과 교육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과 교육 1 (2) | 2022.12.19 |
방통대, 인문, 교육학 등 인간과 교육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개성적 존재로서 인간과 교육 1 (0) | 2022.12.18 |
방통대, 인문, 교육학 등 인간과 교육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생각하는 지적 존재로서 인간과 교육 2 (3) | 2022.12.17 |
방통대, 인문, 교육학 등 인간과 교육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생각하는 지적 존재로서 인간과 교육 1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