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평가

유아교육학과, 보육교사 필수과목 유아교육평가 요점 정리 9. 관찰기록의 유형

반응형

9강 관찰기록의 유형

 

1. 일화기록법

개념 일화기록 = anecdotal records
일화를 관찰하여 분석하는 것
자연적인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
눈으로 본 행동이나 사건을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기록
행동이나 사건에 대한 관찰자의 판단을 기록하는 것은 아님
관찰행동의 맥락, 대상의 특성, 행동 등의 정보수집에 효율적
관찰행동 이외의 예기치 않은 행동, 사건을 기록할 때 사용
기록 방법 특정 사건, 행동, 발생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
가능하면 관찰과 동시에 기록: 상황보존이 용이
관찰행동을 대단위, 중간단위, 소단위로 나누어 기록
대단위 관찰장면, 관찰분위기 등 전체적인 상황
중단위 관찰장면, 상황, 대상자 등 구체적 상황
소단위 관찰대상의 상호작용, 행동 등 세세한 관찰
일화기록에 포함되는 내용들 관찰 대상의 배경정보 누구, 누구와, 복장, 표정 등
관찰 상황의 배경정보 언제, 어디서, 무엇으로 등
관찰 대상 및 주변인의 행동과 언어 표현 및 반응
관찰 대상의 이차적 행동 및 부가적 행동들
얼굴 표정, 몸짓, 상호작용에 사용된 매체
주변인들의 얼굴 표정, 정서 상태, 사용되는 놀잇감 등
주의할 점 내용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객관적인 자세나 태도를 유지함
행동이나 사건에 대해서만 기록함
주관적인 판단이라고 여겨지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음
- 미정이는 무척이나 아름다운 인형으로(X)
- 성주는 인형으로 호식이를 아주 심하게 때린다(X)
일화와 일화에 대한 관찰자의 해석은 구분하여 기록함
- 일화의 객관성 확보를 위함
- 일화는 원자료이며 원자료와 해석은 달라야 함
관찰행동은 관련 사건, 상황에서 여러 번 관찰하여 기록함
가능하면 관찰한 모든 것을 기록하려고 하는 태도를 가짐
주제어, 대표어, 요약어 등으로 기록하면 효율적으로 기록
일화는 사례이므로 다음 내용은 주의하도록 함
-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일반화하지 않음
- 일반화 대신에 특정 사례에만 결과를 적용하도록 함
- 행동이나 사건에 대해 자의적으로 비판하지 않음
- 행동이나 사건을 주관적으로 해석하여 서술하지 않음
일화기록 시 특정 사건, 행동,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
한 번에 한 가지 사건만을 기록함
사건은 행동 발생 직후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함
관찰 후 전사(transcription)는 반드시 필요함
핵심 단어나 문장을 메모하고 관찰 후 전사
발생 순서대로 기록, 관찰 소요 시간도 함께 기록
장점 시간과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기록할 수 있음
행동의 발생 상황, 발생 배경을 고려한 유아의 행동 이해
유아의 연구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
유아교사가 사용하기에 좋은 평가방법
관찰초점 유아 이외의 다른 유아도 함께 평가 가능
단점 관찰의 객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움
관찰 행동의 분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음
승희와 미정이는 함께 소꿉놀이를 하고 있다. 미정이는 밥상을
차리고 승희는 인형을 돌본다. 미정이가 상에 수저를 하나씩 놓고
있는 동안 승희는 인형에게 우유를 주며 인형에게 무엇인가를 이야기한다.’
간단한 해석 주요행동: 소꿉놀이
주요행동의 하위 행동: 밥상을 차리고 인형을 돌봄
하위 행동의 구체적 표현: 우유를 주며 뭔가 이야기함

 

2. 표본기록법

개념 specimen description
지속적 관찰법이라고도 함
행동의 일화를 가장 자세하고 완전하게 표현하는 관찰
관찰 대상이나 장면을 미리 정해놓고 관찰하는 것
미리 정한 관찰 장면에서 일어나는 것을 집중적으로 기록
특징 관찰 대상 유아의 행동이나 상황을 있는 그대로 수집
관찰 대상 유아의 행동이나 상황을 가능한 많이 수집
제한된 시간과 상황에서 연속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
제한된 시간과 상황에서 관찰하는 것이 일화기록법과 차이
장점 행동의 자세한 기록으로 유아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음
관찰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음
사건 및 행동의 전후 관계를 알 수 있음
단점 기록과 평가에 시간이 많이 걸림
주관적인 해석이나 추론이 나타날 수 있음
한 번에 적은 숫자의 유아를 관찰해야 함
수집된 자료의 분류와 분석이 쉽지 않음

 

3. 시간표집법

역사 Olson이 정상아의 습관적인 행동을 연구하고자 개발
짧은 시간 관찰하고 그 행동을 일상행동 표본으로 간주
그 행동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를 측정함
행동의 길이 지속 정도를 측정함
기록시간을 정확히 하려고 분침이 있는 시계를 사용
Olson: 6개 범주로 나누어 5분간 20회 관찰
- 습관을 구강행동(손가락 빨기, 깨물기)
- 콧구멍 후비거나 코를 긁적거리기
-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거나 꼬기
- 눈을 비비거나 눈 깜박거리기
- 귀를 잡아당기거나 눌러대기
- 성기 만지작거리기
또 다른 관찰연구: Parten(1932)의 모래놀이 연구
기록방법 조작적 정의를 통한 관찰행동의 사전 결정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 다양하게 규정되는 용어를 소통가능한 개념으로 만듦
- 오해의 가능성이 있는 개념은 필요함
- : 때리는 행동: 상대방을 손으로 치는 행동
관찰 장면과 관찰의 시간 간격을 결정함 - 관찰장면: 관찰행동이 들어있다고 여겨지는 상황
- 시간간격: 전체 관찰시간의 구분, 10-15초 간격
관찰행동의 기록방법 결정 - 10초 관찰, 5초 기록 / 15초 관찰, 10초 기록
- 관찰시간에 나타나는 행동을 행동목록에 체크함
고려사항 자주 나타나는 행동에 대해서만 적합함
관찰이 가능한 행동일 경우 사용함
관찰 행동의 조작적 정의가 사전에 필요함
관찰 목적을 바탕으로 관찰함
관찰대상 수, 관찰초점, 횟수, 시간 등을 사전에 정함
장점 특정 행동과 문제에 초점을 맞춰서 관찰할 수 있음
행동 발생빈도의 결정 및 빈도에 대한 정보수집에 도움
행동발생 빈도 정보로 평정척도 등의 척도를 개발할 수 있음
단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서술적 방법에 비해 시간과 노력이 절약됨
관찰 대상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관찰과 기록이 가능
관찰 대상과 사전에 라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됨
단점 자주 나타나는 문제나 행동으로 관찰이 제한됨
관찰행동의 발생 상황이나 맥락 정보를 얻을 수 없음
행동 발생빈도에 초점을 두어 행동 간 상호관계를 못 밝힘
코딩 체계를 숙지하지 못하면 관찰 정보를 얻지 못함
미리 정한 행동범주만 사용하므로 관찰의 편파 가능성

시간표집법의 예

4. 사건표집법

개념 사건 표집 = event sampling
특정한 사건이 관찰 대상임
사건이 발생하면 사건 맥락, 전후 관계 등을 자세히 기술
일화기록과 비슷하나 일화기록과 달리 사건발생을 기다림
자료수집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지 미리 알 수 없음
기록방법 관찰하려는 행동에 대한 명확한 조작적 정의가 필요
관찰 행동에 대한 관찰 장소와 시간을 사전에 정함
관찰 행동을 서술적 기록 혹은 주제어 기록인지 정함
기록용지는 가능한 쉽게 기록할 수 있도록 작성
관찰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술하도록 함
관찰 대상자의 행동, 언어적 표현, 분위기 등도 함께 기술
장점 관찰 행동과 상황에 대한 자연적인 정보를 제공함
사건의 전후 맥락 및 부가적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빈번하게 나타나지 않는 행동의 관찰 가능
빈번하게 나타나지 않는 행동의 특성을 밝힐 수 있음
관찰 행동을 기다려 기록하므로 자료수집 시간을 절약
단점 사건 이전의 상태나 상황으로부터 일화를 분리시킴
시간표집법처럼 자료를 쉽게 수량화할 수 없음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의 비교

  시간표집법 사건표집법
관찰목적 행동이나 사건을 이해하고자 함
관찰대상 행동이나 사건의 빈도, 지속시간 행동 순서전후 관계 및 맥락, 흐름
기록방법 행동목록표와 같은 기록용지 이용
세기표체크로 기록
일화기록처럼 기술함
세기표, 체크, 서술방식으로 기록
관찰방법 특정 시간단위에 초점을 둠 특정 사건에 초점을 둠
특징 자주 나타나는 행동의 관찰
정해진 시간 내에 관찰, 기록
행동의 존재유무에 관심
자주 나타나지 않는 행동
정해진 시간은 없음
행동순서나 전후관계, 특성이해 관심
문제점 행동 흐름이나 전후관계는 이해 못함 자료의 수량화 곤란으로 신뢰도가 떨어짐

 

5. 체크리스트

개념 행동목록 = checklist
관찰행동을 행동목록으로 열거하고 행동발생 유무를 표함
알아보고자 하는 행동이나 특성이 나타나면 행동을 표함
질문지 조사연구, 면접법, 시간표집법 등에서 많이 사용
관찰 행동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자 할 때 많이 사용함
시간 흐름에 따른 행동 변화를 알아보고자 할 때 많이 사용
유아의 행동을 누가적으로 작성할 수 있음
기록방법 무엇을 관찰할 것인지를 사전에 결정하는 것이 중요함
관찰 가능한 구체적 행동들이 리스트로 작성되어야 함
리스트는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음
나열된 행동목록을 체크하는 형식도 존재함
체크리스트는 논리적으로 구성되어야 함
체크리스트는 관찰 목적에 맞도록 구성되어야 함
유의할 점 문항은 관찰 가능한 행동을 조작적으로 기술해야 함
문항은 관찰행동을 포괄하고 상호배타적이며 중복되지 않게 함
행동목록의 순서나 위치를 논리적으로 조직
이름, 날짜, 특정 반응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칸을 남겨 둠
장점 간단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음
관찰 대상 유아의 행동 유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기록
행동 발달 및 유아 개인의 단계적 발달상을 기록
특별한 훈련 없이 누구라도 쉽게 사용 가능
단점 행동 출현 유무는 알지만 행동빈도, 질적 정보는 모름
내용을 수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행동목록의 체계적 작성에 시간과 노력이 들어감
관찰자의 경험에 따라 체크리스트 유용성이 결정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