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개론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심리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15. 인간발달3

반응형

15. 인간발달3

 

1. 기질과 성격 특성의 발달
1) 기질(temperament)의 특성
- 기질 : 생애초기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반응성과 자기통제의 안정적인 개인차
- 반응성 : 정서적 각성, 주의, 운동 활동성의 속도와 강도
- 자기 조절 : 반응성을 조절하는 전략

 

2) 토머스(Thomas)와 체스(Chess)의 뉴욕종단연구(1956)
▷ 141명의 아동을 신생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추적하여 기질의 발달을 조사함

차원 특성
활동 수준 대근육 활동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
규칙성 수면, 식사, 배설 등의 신체 리듬이 얼마나 규칙적인가?
주의 산만성 환경의 자극이 행동을 얼마나 쉽게 변화시키는가?
접근성/회피 새로운 사물이나 사람에 대해 쉽게 접근하는가?
적응성 환경 변화에 얼마나 적응이 용이한가?
주의 지속성 장난감 가지고 놀기, 책 읽기 등 활동에 몰입하는 시간의 양은 어느
정도인가?
반응 강도 웃기, 울기, 대근육 활동과 같은 반응의 강도는 어느 정도인가?
반응 역치 반응을 불러일으키는데 요구되는 자극의 강도는 어느 정도인가?
기분의 질 대체로 경험하는 정서가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3) 기질의 구조
① 순한 아이(easy child, 40%) : 영아기 때 규칙적인 일과를 빨리 형성, 쾌활, 새로운 경험에 쉽게
적응
② 까다로운 아이(difficult child, 10%) : 일상생활의 불규칙성, 새로운 경험에 더디게 적응, 부정적,
강렬한 반응
③ 더딘 아이(slow-to-warm-up child, 15%) : 비활동적, 환경자극에 대해 온순, 자제하는 반응,
부정적 기분, 새로운 경험에 더디게 반응
▨ 나머지 35%는 어떤 유형에도 속하지 않는 평균적 아동이며 기질 특성의 혼합을 보임

 

4) 기질발달의 생물학적 특성

▷ 억제된, 수줍음 ▷ 억제되지 않은, 사교적
- 부적 반응, 새로운 자극에 대한 철회
- 높은 심박수, 스트레스 호르몬, 스트레스 증상
- 우뇌 전두엽 피질의 활성화가 더 높음
- 정적 반응, 새로운 자극에 대한 접근
- 낮은 심박수, 스트레스 호르몬, 스트레스 증상
- 좌뇌 전두엽 피질의 활성화가 더 높음

5) 기질과 아동 양육: 적합성 모델
▷ 적합성 모델( goodness-of-fit model)
- 적합성은 더 적응적인 기능을 하도록 촉진하기도 하지만, 각 아동의 기질을 인정하는 아동
양육환경을 만들어내는 것도 포함
* 아동의 기질에 맞는 양육을 해야 함을 의미
예) 까다로운 아이의 기질과 맞지 않은 양육방식을 아이를 부적응적으로 양육하는 결과를 낳음
* 부모의 아이에 대한 긍정적, 민감성은 영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까다로움의 감소에 영향을 미침

 

2. 생애 첫 사랑의 경험, 애착
Q. 모르는 성인이 당신을 향해 양손을 뻗어 오므렸다 폈다 한다면?
A. 당황스러워요;;
Q. 그렇다면 아기가 당신을 향해 양손을 뻗어 오므렸다 폈다 한다면?
A. 사랑스러워*^^*
1) 아동기 애착
(1) 애착의 정의
▷ 사회적 선택 (생후 6개월)
- 가까이에서 돌보아 주는 사람과 타인을 구별하기 시작
- 격리불안과 낯가림의 행동을 보이기 시작

▷ 애착(attachment)
- 어떤 특정한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매우 강력한 유대감.
- 특정 대상에 대해 애착을 형성하면 그 대상과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고 싶은 욕구가
생김(양육자)
- 격리불안과 낯가림은 이러한 욕구가 좌절되는 상황에서 발생
- 애착은 나를 지켜주는 대상이 누구인지 확인하고 배워가는 과정을 통해 형성
- 애착을 통해 보호받을 기회를 최대로 하고 나머지 세계를 탐색하는데 안전한 기지를 구축

 

(2) 동물행동학적 이론(ethological theory)
▷ 존 볼비(John Bowlby, 1988)
- 애착형성은 종의 보존과 생존을 위한 본능적 반응의 결과
- 성인은 아기의 특정행동에 반응하는 프로그램이 내장
- 아기는 성인의 보호행동을 유발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장착.
- “아기의 특정행동에 대해 성인은 거의 자동적으로 사랑스러운 감정을 느끼도록 되어있다.”
- 아기들의 울음이나 미소 등 행동은 부모에게 보내는 일종의 신호
- 진화과정에서 부모의 애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행위와 몸짓을 획득했을 가능성이 있음

 

(3) 영아가 어머니에게 애착을 형성하게 되는 결정적 이유?
▷ 대리모실험(원숭이의 애착에 대한 실험) (Harlow, 1959)
- 젖꼭지가 달린 철제인형엄마
VS 천으로 싸인, 백열전구가 있어 따뜻한, (하지만 젖꼭지는 없는) 인형엄마
새끼원숭이는 어떤 엄마를 선택할까??
▷ 접촉위안
- 배고픔의 욕구충족보다 접촉위안이 애착형성에 훨씬 더 중요한 요인
▷ 안정적 애착형성의 결과
- 애착이 형성되고 나면, 아동은 어머니가 항상 자신을 보호해주고 자신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형성
- 어머니가 잠시 시야에서 사라져도 크게 불안해하지 않고, 어머니가 다시 돌아왔을 때 반갑게
맞아주게 됨. 즉, 안정적 애착형성을 통해 어머니에게 자유를 주는 것.

 

(4) 애착발달과정
▷ 애착형성의 첫 단계 (출생 ~ 2주)
- 영아가 다른 대상보다 사람을 더 선호하면서 특정 대상을 구별하지 않고 모든 대상에게 애착을
보이는 단계
▷ 애착형성의 두 번째 단계 (6개월 ~ 8개월)
- 영아가 어머니와 타인을 구분하기 시작
- 어머니도 아기의 독특성을 알게 됨
- 상호적 애착의 기초가 형성되지만 애착대상과 떨어지는 데의 저항은 보이지 않음

▷ 애착형성의 세 번째 단계 (6개월- 2세,4세)
- 낯가림(stranger anxiety)
- 애착대상 외의 다른 사람에 대해 저항함
- 애착대상에게 형성해놓은 도식과 어긋나는 대상에 대한 불안 또는 공포반응
- 우리나라 영아 5개월 영아의 35%, 6개월 영아의 63%, 7개월 영아의 69%가 낯가림을 함.
- 아기를 데리고 외출을 자주하면 낯가림이 적어진다는 보고가 있음
▷ 격리불안
- 애착대상에게서 떨어질 때 나타나는 불안반응.
- 애착대상에게서 떨어질수록 강해지는 특징이 있음
- 서구영아의 경우 격리불안이 6-8개월에서 시작, 10-12개월에 절정. 2세경에 소멸
- 우리나라 영아의 경우 격리불안 생성과 절정기는 서구와 동일하나, 사라지는 시기는 4세로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음

 

(5) 애착의 유형
▷ 낯선상황실험(Ainsworth 1973) 네 가지 애착유형
① 안정애착
- 낯선상황에서 어머니가 있는 동안 가끔씩 어머니 곁을 왔다가 상황을 탐색하는 반응을 보임
- 엄마가 다시 돌아오면 엄마를 열렬하게 반김. 곧 두려움 없이 낯선상황을 다시 탐색하게 됨
- 엄마는 아기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함
- 엄마는 아기가 스스로 놀 수 있도록 허용해줌
② 불안정 회피애착
- 엄마가 떠나도 별 동요를 보이지 않고, 엄마가 들어와도 다가가려하지 않고 무시함
- 어머니는 아기의 요구에 무감각
- 엄마는 아기와의 신체적 접촉이 적음
- 화나있거나 초조하며 거부하듯이 아기를 다룸
③ 불안정 저항애착
- 어머니의 접촉시도에 저항하는 경향성이 높음
- 엄마가 있어도 울고 보채지만, 엄마가 떠나면 극심한 불안을 보임
- 엄마가 돌아오면 화를 내면서도 엄마 옆에 있으려 함
- 어머니는 아기의 요구에 무감각하고 아이를 다루는 방식이 어색
- 화가나있지만 아기를 거부하는 느낌은 없음
④ 불안정 혼동애착
- 아기는 회피와 저항이 복합된 반응을 보임
- 엄마가 돌아오면 처음에는 다가가서 안겼다가 화난 듯이 밀어버리거나 엄마에게서 떠나는
양극적 반응을 보임
- 엄마와의 접촉욕구가 강하지만 어머니로부터 무시당하거나 구박받은 데서 오는 공포가 공존하기 때문


2) 성인애착
(1) 낭만적 애착(Romantic attachment)
- 아동기 애착은 양육자와 맺게 되지만, 성장하면서 가족, 친구, 연인 등과도 애착을 형성하게 됨.
▷ 낭만적 애착 (Hazan & Shaver, 1987)
- 아동기 애착과 유사하게 성인도 낭만적 상대로부터 안전, 편안함, 보호의 자원을 얻음.
- 낭만적 애착은 상호호혜적으로 보살핌을 주고받으며 성적인 친밀감이 높은 것이 특징.
- 낭만적 애착관계는 실제적인 관계보다 상징적인 관계
- 상대방이 10분 늦었을 때, 그 행위의 상징성을 해석하는 것
- 낭만적 애착에서 안정애착을 형성한 성인일수록 긍정적 정서, 높은 수준의 신뢰와 책임감, 높은
관계만족도, 상호의존적인 특성을 보임

 

(2) 내적작동모델(Batholomew & Horowitz, 1991)
- 성인애착은 개인의 인지적 표상을 통해서 형성됨
- 자아모델(나는 가치있는 사람인가?), 타인모델(주요 애착대상자가 믿을만하고 의지할 수 있는가?)
두 차원에 의해 형성됨
- 즉, 자기와 타인에게 기대하는 바에 의해 애착이 결정됨

 

(3) 낭만적 애착의 네 가지 유형
▶ 안정형 (긍정적 자아, 긍정적 타인)
- 나는 사랑할 수 있고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는 인식, 다른 사람들은 수용적이고 반응적일
것이라는 기대가 조합됨. 친밀한 관계와 자율을 편히 여김
▶ 몰두형 (부정적 자아, 긍정적 타인)
- 자신에 대한 가치감은 낮으나 타인을 긍정적으로 보고 인정받음으로써 자기 가치를 확인받음
▶ 거부형 (긍정적 자아, 부정적 타인)
- 타인을 부정적으로 지각하여 관계형성에 관심이 없거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독립성을
강조함.
-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거부하고 높은 자존심과 독립심을 유지하면서 낭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실망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 두려움형 (부정적 자아, 부정적 타인)
- 자신은 사랑받을 가치가 없고, 타인으로부터 상처받거나 거부당할까봐 관심을 두려하지 않음
- 친밀한 관계에 불안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회피하는 특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