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5.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5
65.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5 ■ 발해·통일신라 예술가 2. 통일신라의 예술가 • 통일신라 대표적 화가 1) 솔거 : 분황사, 관음보살상 / 단속사,유마상 / 황룡사, 노송 2) 정화, 홍계 : 흥륜사 보현보살상을 그린 승려화가 3) 금박 유물 ‘선각단화쌍조문 금박’ : 통일신라 시대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여 주며 현대 기술로 재현 불가함 ■ 발해 • 발해의 토기는 고구려계와 말갈계로 구분되며 고구려계는 흑색, 회색계의 높은 온도에서 구운 토기로 표면은 매끈하게 연마되어 있고, 말갈계는 적갈색이며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토기 입구에 덧띠무늬가 부착되어 있음 • 궁전과 관청, 집, 사원, 남아 있는 절터 등을 통해 건축 양식 유추가 가능하고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아 고구려 특유의 난방시설 ‘구들’..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3.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3
63.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3 ■ 발해·통일신라 건축 1. 발해의 건축 양식 • 궁전, 관청, 집, 사원, 남아 있는 절터 등을 통해 건축 양식 유추가능 •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아 고구려 특유의 난방시설 ‘구들’ 사용함 • 발해 건물터에서 잘 다듬은 주춧돌과 녹색유약을 발라 구운 주춧돌 장식, 용머리 상, 화려한 무늬와 기와 등 건축 부재에서 발해 특유의 특징을 알 수 있음 v 용머리 - 건물 기단에 끼워 넣어 장식했던 것으로 형태, 조각기법은 같음 - 귀밑까지 찢어진 입, 날카로운 이빨, 튀어나온 눈, 갈퀴 등 악귀를 물리칠 수 있는 상서로운 용의 모습을 나타냄 2. 통일신라의 건축 양식 1) 도성건축 • 신라시대 이래 경주를 지속적으로 도읍으로 함 • 695년(효소왕 4년) 황룡사를 중심으로..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0. 백제·신라의 문화 5
60. 백제·신라의 문화 5 ■ 백제·신라 장식문화 2. 신라의 장식문화 • 신라는 금세공이 발달하였음 • 김춘추의 복식개혁으로 당나라식 의복 수입하였고, 귀족사이에서 당나라풍의 의복이 유행하기도 함 • 신라 귀족 여성은 숄이나 목도리에 해당하는 표를 둘렀고 보온성보다는 장식성이 강했음 • 머리가 긴 여자를 미인으로 인식하였고 부인들은 얹은 머리를 하기도 함 - 머리에 옥 등의 장식품을 하였고, 귀걸이, 목걸이, 팔찌, 손에는 지환 등으로 치장함 ■ 백제 • 백제는 세 차례 천도하여, 한성시대, 웅진 및 사비시대가 있었고, 중국에서 문물 받아들여 가야와 왜에 전파하여 공유문화권 형성에 중심지였다. • 부여족 계통인 온조집단에 의해 현재 서울지역 중심으로 건국되었고, 4세기 중반 황해도부터 경기, 충청,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9. 백제·신라의 문화 4
59. 백제·신라의 문화 4 ■ 백제·신라 장식문화 1. 백제의 장식문화 • 조각과 공예 : 석조, 금속공예, 토기 등으로 구분됨 한성도읍기 불상 : 금동여래좌상 웅진도읍기 불상 : 금동여래입상 사비도읍기 불상 : 금동석가여래입상 거대한 마애불 형태의 석불로 조성 : 예산 석조사면불상,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태안 마애삼존불입상 등 도검, 장신구, 토기, 기와 등 :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부장품 중 금제관식, 금제귀걸이, 유리동자상 등이 있음 • 무령왕릉의 주요 장식 출토품 - 무령왕릉에서 관은 출토되지 않고 금제 장식만 출토됨 – 금관이 아닌 직물 제작으로 부식되어 없어진 것으로 추측 - 무령왕의 은제 과대는 기록에서는 발견할 수 없으나 왕릉에서 출토됨 - 무령왕의 귀걸이는 원통형 고리를 만들고 2개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