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발과학

(50)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34. 빛과 전자파 2 34. 빛과 전자파 2 3. 자외선 (Ultra Violet) 1) 자외선의 분류 • 자외선은 파장과 에너지에 따라서 UV-A, UV-B, UV-C 등 세 가지로 분류됨 - 400nm ~320nm 까지인 UV-A - 320nm ~280nm 까지인 UV-B - 280nm ~200nm 까지인 UV-C • 물리적 화학적 반응들이 각기 다르며, 인체에 미치는 이로운 작용과 해로운 작용이 인체의 방어기능들과 함께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피부건강을 유지할 수가 있음 (1) UV-A (장파장) - 파장은 400nm ~320nm - 피부의 진피층 하부까지 침투함 - 장기 조사 되면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광독성, 광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남 - 색소침착을 유발, 주름과 피부위축 현상이 나타남 - 피부의 건조화를 일으키..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33. 빛과 전자파 1 33. 빛과 전자파 1 1. 빛과 전자파 • 전자기파(전자파) 모두가 빛이지만, 전자기파 중에서 인간의 눈으로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인 가시광선(可視光線, 눈으로 보는 게 가능한 빛)을 흔히 빛이라고 부름 • 우리 시각기관이 전파를 감지할 수 있었다면 전파도 가시광선이라고 불렸을 것임 • 일반적으로 빛이라고 불리는 가시광선은, 전체 전자기파를 통틀어 보면 그 비중은 매우 작음 ■ 파장 이란? • 빛은 좁은 의미로는,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을 말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를 의미함 • 물리학적으로 볼 때에, 빛이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파장대에 따라 x선에서부터 자외선, 적외선, 전파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 • x선의 경우는 보통 병원에서 사용, 자외선과 적외선은 일상에서도 만날 ..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32. 활성산소 등 32. 활성산소 등 1. 활성산소 1) 활성산소의 정의 • 활성산소(rea ctive oxygen species, RO S) 또는 활성산소종은 산소 원자를 포함한, 화학적으로 반응성 있는 분자임. 생물체내에서 생성되는 산소의 화합물로 생체 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임 2) 활성산소의 생성과정 3 ) 활성산소에 의한 탈모 2. 모발과학과 산화 환원 1) 퍼머넌트 웨이브제 (제 1제, 환원제) 2) 멜라닌 색소 형성 3) 두피의 산화 • 두피의 산화는 곧 노화된 두피를 의미함 3. 항산화제(a nti-oxida nt) 1) 항산화제의 정의 •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우리 몸이 노화되고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물질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31. 산화와 환원 31. 산화와 환원 1) 산화의 정의 • 원래 고전적인 의미의 산화는 산소 원자의 이동을 말하였지만, 이후에는 산소의 이동보다는 수소와 전자, 특히 전자의 이동에 주목함 1) 산화의 정의 • 산화는 반응 속도에 따라서 빠른 산화와 느린 산화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빠른 산 화를 연소라고 함 • 연소의 예시로, 메탄을 연소 시킬 때에 이산화 탄소의 생성이 있음 예) C H4 + 2 O 2 → C O 2 + 2 H2O • 메탄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는 연소 시에 산소 분자를 만나면, 산소 원자 하나 가 메탄의 수소에 접근하여 H2O (물)을 생성하며 다른 산소 원자들은 탄소 원자와 결합한다. 이렇게 탄생한 탄소-산소 원자쌍이 바로 이산화탄소 기체 분자이며, 화학 식으로는 C O 2로 표기한다. • 연소..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30. 두피질환 2 30. 두피질환 2 2. 발모벽 (Trichotillom a nia ) 1) 발모벽의 정의 • 발모벽은 자신의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해 반복적으로 머리카락을 뽑는 질환으로, 충동조절장애에 속함 • 비정상적인 버릇으로 모발을 뽑는 정신증임 • 10살 이하의 우울증이 있는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정신적 치료가 동반되어야함 • 성인에게도 나타남 2) 발모벽의 원인 • 발모벽은 심리적인 원인과 생물학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남 • 심리적 정신과적인 문제와 많이 관련됨 • 전체 환자의 1/4 이상은 심리적 스트레스 상황과 연관되어 발생함 • 심리적 요소로는 부모와 자식 관계의 문제, 혼자 남겨지는 것에 대한 걱정, 최근에 느낀 대상의 상실, 우울, 불안 등이 있음 •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29. 두피질환 1 29. 두피질환 1 1. 모낭염((Folliculitis) 모발의 발생 • 모체에서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수정란은 세포분열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태아로서 인간의 형태를 만들어가는데 일반적으로 태아 9~12주 때에 모낭이 형성되며 12~14주 때 모발이 성장함 • 모발의 발생과정은 전모아기, 모아기, 모항기, 모구성 모항기, 완성모낭으로 나뉨 [전모아기]태생 초기의 표피가 주피,중간층, 배아층으로 나뉘고 배아층의 세포가 밀집하게 되는데 모낭의 형성 이전을 전모아기라 함 모발의 발생 [모항기]모아가 기둥모양으로 진피 내에 깊숙히 형성되는 시기를 말함 [완성모낭]조직의 분화와 모유두의 형성으로 모발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낭을 완성모낭이라 함 1) 모낭염의 정의 • 모낭염은 세균(특히 포도상구균) ..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28. 비듬과 건선의 치료 28. 비듬과 건선의 치료 1) 비듬의 치료 및 예방 • 항생제(抗生劑), 항진균제(抗眞菌濟), 부신피질호르몬제가 근본적으로 사용됨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치료용 샴푸제의 성분 : Seleium sulfide(셀션), zinc pyrithiona te(아연 피리치온), resorcin, ketocona zole(니조랄) 등 성분에 따라서 다양한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음 • 너무 지나치게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머릿결과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설명서에 따라서 일주일에 2~4번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심하지 않을 때는 사용횟수를 줄이는 것이 좋음 • 머리를 감을 때는 손톱 끝이 아닌 손가락으로만 오래 문질러서 거품을 내고 물로 잘 헹구어야 함 • 손톱을 사용하여 비듬을 억지로 긁어내면 피부..
미용사 필기, 실기 시험 대비 모발과학 요점 정리 27. 비듬과 건선 27. 비듬과 건선 1. 비듬 1) 비듬의 정의 • 비듬은 두피에서 각질세포들이 쌀겨 모양으로 탈락되는 표피 탈락물이며 사람 뿐 아니라 개, 고양이 등 에게서도 발생함 • 비듬은 두피의 각질세포와 피부의 지방성분, 그리고 각종 피부의 세균들로 구성됨 2) 비듬의 원인 및 증상 (1) 유전적 요인 -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큼 - 즉 유전적으로 인한 피지 양과 수분 함량이 가장 큰 요인임 (2) 피부질환 - 두피의 심한 인설, 즉 비듬은 두피에 피부병을 일으키는 지루성 피부염, 두피 비강 진, 건선, 아토피 습진, 모공성 홍색 비강진 등의 여러 질환들에서 비듬 현상을 보일 수 있다. - 많은 경우, 비듬은 지루성 피부염의 일환으로 발생하며 따라서 비듬이 많은 사람일수록 지루성 피부염의 가능성이 큼. 심한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