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7. ‘낭만적 사랑’과 연애

공갱! 2024. 3. 18. 09:25
반응형

27. ‘낭만적 사랑’과 연애

1) 숭고한 사랑(sublime love)/ 열정적 사랑(passionate love)/낭만적 사랑


(1) 숭고한 사랑
신을 알기 위해 신에게 헌신하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한 앎이 성취된다는 관념으로 근
본적으로 성찰적


(2) 열정적 사랑
■  일시적/충동적/비현실적/비합리적
- 격렬하게 타자에게 빨려 들어가는 사랑, 일시적 이상화, 성적이고 에로틱한 강박충동
■  일상과 의무로부터의 단절과 기존 제도들로부터 해방시킨다는 의미를 가짐. 사회질서와 의무
라는 관점에서 볼 때 위험하여 대부분의 문화에서 결혼의 골칫거리로 여겨짐
■  하층계급의 고된 노동과 맞지 않아.
- 성적인 자유는 권력의 표현으로 특히 여성이 자기의 독자적인 쾌락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재생산 요구와 일상적 일로부터 해방이 전제되는데 이는 특정 시대 특정 장소의 귀족계층
의 여성들에게만 가능

 

(3) 낭만적 사랑
■  지속적/성찰적/ 현세적/ 합리적인 요소를 가짐
■  숭고한 사랑과 열정적 사랑의 요소를 가지고 있으나 둘 다로부터 구분됨
- 개인의 삶에 어떤 서사(narrative)의 관념을 도입하는데 이는 숭고한 사랑의 성찰성이 확
장된 형식
- ‘로맨스’라는 말 자체가 ‘이야기를 한다.’는 의미로 낭만적 사랑의 발생은 소설의 출현과
대략 비슷하며 이 둘의 결합은 새로 발견된 서사(narrative)의 형식. 어떤 사회적 과정 토
대로 하지 않는 사적이고 개인적인 서사
- 열정적 사랑과 달리 낭만적 사랑이 가진 자유의 이미지는 규범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간
주됨
- 자유와 자아실현이 결합하는 방식. 어떤 이의 삶을 ‘완성’해 줄 수 있을 다른 이에 대한
매혹의 과정. 특정한 타자를 특별한 사람으로 가려내는 성격상의 특성을 가짐. 숭고한 사
랑의 요소가 성적인 열정의 요소들을 지배하는 경향


2) 낭만적 사랑의 배경


(1) 가정의 창조
■  가정(home)이 일과 분리된 명확환 하나의 환경으로 정서적인 공간이 됨


(2) 부모-자식 간의 관계 변화
■  억압적인 빅토리아 시대의 엄격한 아버지의 측면이 가정과 작업장이 분리됨에 따라 그 통치
력이 약해지고 부모 자식 간의 따스한 감정교류가 중요시 됨
■  가족 구성원의 수가 줄어들고 아이들의 연약성과 장기간의 감정적 훈련이 필요해지면서 아
동양육에 대한 여성의 통제권이 증대


(3) 모성의 발명(invention of motherhood)
■  이처럼 어머니에 대한 이상화를 통해 ‘아내이자 어머니’로 여성성과 모성이 결합됨
■  낭만적 사랑은 본질적으로 여성화된 사랑
■  사랑을 키워가는 일은 전적으로 여성들의 과업이 되고 낭만적 사랑의 관념들은 여성의 가정
내에서의 종속과 외부 세계와의 상대적 분리를 동반. 한편 자율성의 모순적 주장이기도 하여
여성들의 권력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함


3) 낭만적 사랑의 이중적 성격


(1) 성찰적 성격
■  낭만적 사랑은 자기-질문을 가정함
- 그 관계가 장기적인 헌신을 지탱할 만큼 충분히 깊은지, 나나 타자는 상대방에 대해 어떻
게 느끼는지 등의 질문
■  열정적 사랑의 욕정과는 달리 정신적 커뮤니케이션을 가정함
- 상대방이 자신의 결여를 메꾸어 불안전한 개인을 완전한 전체로 만들어 주는 것이라 자기
정체성과 관련됨


(2) 급진적 성격
■  ‘남성성’에 대한 적극적이고 급진적인 교전(engagement)의 양식이 될 수도 있음
- 현대의 로맨스는 여주인공이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중세의 낭만적 이야기와 다름
- 여주인공은 거만하고 고집스런 남성성을 길들이고 완화하여 적대를 헌신으로 바꿔 놓을
수 있음
- 능동적으로 사랑을 생산하는 여성의 이미지
■  열정적 사랑의 일시적 이상화와 기독교의 도덕적 가치인 신에 대한 헌신과 같은 지속적인
관여(permanent involvement)의 태도가 결합
■  섹슈얼리티가 임신과 출산의 뿌리 깊은 고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섹슈얼리티가 ‘해방’되고
개인 상호간 교섭의 성질이 될 수 있었음
■  남편과 아내의 일이 공동의 정서적 사업의 동반자로 인식되고 부부관계가 자녀들에 대한 헌
신보다 우선시
■  평등한 개인 간의 감정적 교섭과 협상이라는 측면이 존재


(3) 보수적 성격
■  여성들을 ‘그들의 장소’, 곧 가정에 묶어 두고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
- 낭만적 사랑에 대한 여성들의 꿈은 자주 가정적 종속으로 이어짐
■  성차(gender)의 관점에서 볼 때 불균형적이고 비대칭적임
■  낭만적 사랑은 노골적으로 이성애 커플을 지향하고 일부일처제를 가정함


4) 합류적 사랑(confluent love)


(1) 각기 따로 흘러오던 두 개의 지류가 합쳐져 하나의 강물이 되어 흐르듯, 두 사람
의 정체성이 과거에는 각기 달랐음을 인정한 위에서 다가오는 미래의 시간을 향
해 사랑의 유대를 공유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협상해 가는 사랑


(2) 감정적인 give and take에서 평등을 구현하려 함. 합류적 사랑은 능동적이고 우
발적인 사랑. 따라서 낭만적 사랑의 ‘영원한’, ‘하나뿐이며 유일한’ 특성과 어긋남.


(3) 합류적 사랑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지면 질수록 ‘특별한 사람’의 발견이 갖는 가치
는 떨어지게 되고, ‘특별한 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


(4) 낭만적 사랑과는 다르게 반드시 일부일처제적으로 성적인 배타성을 가정할 필요
는 없음


(5) 타자의 특성에 대한 앎을 중심으로 관계가 이룩된다는 점에서 ‘순수한 관계’(성
감정적으로 평등한 관계로 기존의 성차별적 권력 형태를 무너뜨리는 의미를
가짐)의 한 모델


(6) 합류적 사랑은 관능의 기술을 결혼 관계의 핵심에 도입한 최초의 사랑형태. 성적
쾌락의 상호적 성취를 결혼관계의 유지 또는 해소를 좌우하는 핵심요소로 만듦


5) 이성애 중심주의의 강화


(1) 서구의 18~19세기 여성들 사이에는 상당히 관능적이고 열정적인 우정이 일생 동
안 지속됨


(2) 한국 사회에서도 “여류명사들의 동성연애기”가 잡지에 실릴 만큼 여성들 사이의
동성애는 흔한 것(1931년 명문가 홍옥임과 김용주가 사진을 남기고 자살)


(3) 근대 연애결혼의 이상을 통해 친밀성의 영역에서 남녀 간의 성애가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지만, 그 이전에는 남성은 남성끼리, 여성은 여성끼리 모이는
동성 사회적(homo-social)인 성향이 강했음


(4) 성과 사랑과 결혼의 결합은 이런 친밀성의 구조가 변화하여 결혼한 남녀, 즉 부부
사이가 친밀성의 영역에서 특권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된 것을 의미함. 우정이 애
정보다 덜 중요해지고 비성애적 관계는 성애적 관계보다 열등한 것이 됨


(5) 연애를 하지 않는 사람은 괴팍한 사람으로 상상됨


6) 커플 중심주의


(1) 연애 중심의 현대 사회 풍토 속에서는 커플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 즉 애인이나
배우자가 없는 사람들은 미성숙한 사람, 실패자 또는 낙오자, 또는 괴상한 사람으
로 보는 관념이 있음
■  사회의 제도와 문화도 커플구성을 전제로 함 → 이런 현상을 커플 중심주의라고 함


(2) 이런 편견과 신화를 다루고 있는 한 책(DePaulo와 Bella의 Singled Out: How
Singles are Stereotyped, Stigmatized, and Ignored, and Still Live Happily
Ever After)의 목차들
■  결혼한 사람들이 가장 잘 안다
■  싱글은 오직 한 가지-커플이 되는 것-에만 관심이 있다
■  싱글은 불쌍하고 외로우며 삶은 비극적이다
■  싱글은 어린애처럼 자기중심적이고 미성숙하며, 노는 것 외에는 할 일이 없으므로 시간을 무
가치하게 보낸다.
■  일이 사랑을 보상해주지 않는다.
■  부모가 싱글인 아이들은 불운하다.
■  모든 특전과 수당, 증여, 현금은 커플들에게 주고 그것을 가족가치라고 부르자. 등등


7) 연애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1) 근대적 성별분업의 강화
■  부부애가 중요해진 것은 확실히 아내로서 여성의 지위를 격상시킴
■  그러나 이런 변화는 성별분업의 강화라는 근대의 변화와 함께 이해해야 함
■  아내는 가사를 전담하고 가족들에게 정서적 지원을 하는 사람으로 여겨짐
■  이것은 근대적 여성의 성격을 애정과 특별히 연관시키는 것
■  여성은 부드럽고 의존적인 존재로 묘사되고 집 밖의 노동 세계에 속한 남성의 이미지인 독
립성과 상반되는 것으로 여겨짐
■  ’남성=생계부양자, 여성=정서제공자 또는 가사노동자’라는 성에 따른 일의 분리(성별분업)를
정당화시킴
■  사랑은 노동을 방해하는 것으로서 사랑과 노동을 대립적인 것으로 간주됨


(2) 이성애 중심적인 근대의 낭만적 애정관
■  이 관념 속에는 권력 있는 남성과 권력 없는 여성 간의 성애적 결합이 극도로 낭만화 되어
있음. 낭만적 남녀의 결합은 부유하고, 학력이 높고, 키도 크고, 심지어 나이도 많은 남성과
그러한 권력을 통해 구원받는 여성 간의 결합
■  페미니스트들이 낭만적 사랑을 신화라고 공격하는 이유는 그것이 남녀 연인 사이의 권력관
계를 은폐하고 낭만화 시키면서 여성을 비생산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재현하기 때문임

 

 

 

 

반응형